목차
북한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ppt로 발표자료로 사용하기 좋을것입니다..
북한의 언어적인 부분.. 남한과의 차이.. 변천사.. 언어관에 대해 나와있으며 문화면에는 의식주 풍습 명절 국경일 제사 등이 나왔습니다.. 몇일간 준비한 좋은 자료라 올려드립니다.
북한의 언어적인 부분.. 남한과의 차이.. 변천사.. 언어관에 대해 나와있으며 문화면에는 의식주 풍습 명절 국경일 제사 등이 나왔습니다.. 몇일간 준비한 좋은 자료라 올려드립니다.
본문내용
식 의 주 문 화 (식문화-1)
북한에서는 ‘의식주’를 ‘식의주’라 함.
그만큼 먹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음.
출장이나 여행의 경우에도 ‘량표’라 불리는 양권을 미리 발부받아 매식시 양권과 식대를 함께 지불해야 하는 양표제도를 시행되었음.
된장, 간장, 식용유, 소금 등 부식의 경우는?
☞ 인민반을 통해 배급표가 나와 식료품 상점에서 유상공급 을 받고 있으나 1995년 이후 배급이 중단되었고 식용유 는 김일성 부자 생일때 100g정도 지역에 따라 배급이 되 고 있음.
김치, 콩나물, 두부, 야채 등과 같은 기타부식의 경우는?
☞ 농민시장에서 구입하거나 자체로 만들어 먹는다. 특히, 고기류는 국가적 명절에 특별배급을 통하여 할당되는데, 이를테면 김일성 부자 생일, 노동당창건일 등에 세대 당 돼지고기 등을 수급사정에 따라서 공급품목과 수량을 다 소 달리하여 배급.
식 의 주 문 화 (식문화-2)
계층별 식량배급체계
식 의 주 문 화 (의문화-1)
1970년대까지만 해도 ‘천리마시대와 사회주의 생활양식’ 이라는 구호 아래 남자는 인민복에 레닌모를 쓴 모택동복, 여자는 흰저고리에 검정 통치마 한복이 일반적이었다. 1)
그러다가 1979년 4월 김일성 주석이 “평양시 등 대도시 주변 인민들은 발전하는 시대의 요구에 맞게 유색복장을 해야 한다”는 교시를 내린 후 평양, 원산, 청진 등 대도시 주민들이 양장을 하기 시작했음.
1)조선일보, 2000.6.14, 6.12, ‘인민복’은 1911년 중화민국을 건국한 혁명가 손문이 처음 선보인 것으로, 손문의 호인 중산(中山)을 따 ‘중산복’이라고도 불린다. ‘공산권국가의 정장’으로 통하는 인민복은 북한에서 예복과 평상복으로 함께 사용되고 있다. 소위 ‘닫긴옷’으로 불리는 인민복은 깃끝이 둥글고 목 부분부터 단추로 여미게 되어 있는 북한식 양복이라고 할 수 있다.
식 의 주 문 화 (의문화-3)
1982년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일성이 “여성들이 소매없는
옷과 앞가슴이 많이 패인 옷을 입고 다닌다고 해서 사회주의
양식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한 후 색상과 디자인
도 다양해졌음.
북한에서는 ‘의식주’를 ‘식의주’라 함.
그만큼 먹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음.
출장이나 여행의 경우에도 ‘량표’라 불리는 양권을 미리 발부받아 매식시 양권과 식대를 함께 지불해야 하는 양표제도를 시행되었음.
된장, 간장, 식용유, 소금 등 부식의 경우는?
☞ 인민반을 통해 배급표가 나와 식료품 상점에서 유상공급 을 받고 있으나 1995년 이후 배급이 중단되었고 식용유 는 김일성 부자 생일때 100g정도 지역에 따라 배급이 되 고 있음.
김치, 콩나물, 두부, 야채 등과 같은 기타부식의 경우는?
☞ 농민시장에서 구입하거나 자체로 만들어 먹는다. 특히, 고기류는 국가적 명절에 특별배급을 통하여 할당되는데, 이를테면 김일성 부자 생일, 노동당창건일 등에 세대 당 돼지고기 등을 수급사정에 따라서 공급품목과 수량을 다 소 달리하여 배급.
식 의 주 문 화 (식문화-2)
계층별 식량배급체계
식 의 주 문 화 (의문화-1)
1970년대까지만 해도 ‘천리마시대와 사회주의 생활양식’ 이라는 구호 아래 남자는 인민복에 레닌모를 쓴 모택동복, 여자는 흰저고리에 검정 통치마 한복이 일반적이었다. 1)
그러다가 1979년 4월 김일성 주석이 “평양시 등 대도시 주변 인민들은 발전하는 시대의 요구에 맞게 유색복장을 해야 한다”는 교시를 내린 후 평양, 원산, 청진 등 대도시 주민들이 양장을 하기 시작했음.
1)조선일보, 2000.6.14, 6.12, ‘인민복’은 1911년 중화민국을 건국한 혁명가 손문이 처음 선보인 것으로, 손문의 호인 중산(中山)을 따 ‘중산복’이라고도 불린다. ‘공산권국가의 정장’으로 통하는 인민복은 북한에서 예복과 평상복으로 함께 사용되고 있다. 소위 ‘닫긴옷’으로 불리는 인민복은 깃끝이 둥글고 목 부분부터 단추로 여미게 되어 있는 북한식 양복이라고 할 수 있다.
식 의 주 문 화 (의문화-3)
1982년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일성이 “여성들이 소매없는
옷과 앞가슴이 많이 패인 옷을 입고 다닌다고 해서 사회주의
양식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한 후 색상과 디자인
도 다양해졌음.
추천자료
북한의 교육제도
통일교육 학습지도안(북한말 알기)
북한의 지역별 음식의 특성과 음식의 소개
2009년 2학기 국문학연습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북한의 대표문학사와 장화홍련전)
영어과 의사소통중심학습지도(교육지도), 국어과 북한말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수준별학...
도덕과 교수 학습 과정안(더불어 살기 위한 발걸음 북한에서 온 사람들과 더불어 살기 위한 ...
북한이탈주민 한국사회적응 실태 -새터민 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북한의 문화와 예술
북한의 소프트웨어 발전사
북한이탈주민여성의 사회적응소통프로그램
북 핵과 6자회담 [북한의 경제, 6자회담, 북 핵실험, 경제적 파급효과, 대처 방안]
2017년 1학기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월북작가 박태원과 정지용문학)
2018년 1학기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월북작가 박태원과 정지용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