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참 메시아의 등장에 대한 필연성에 대해 죠시 맥도웰은 반론을 반증하면서 기술하고 있다. 구약성경에는 60개의 메시아에 대한 주요 예언과, 예수 그리스도 한 사람 안에 성취된 약 270가지 사실들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아라는 명제에 대한 반론으로 우연설과 조작설이 있다. 60개의 주요 예언과 이것을 강화시켜 주는 270개의 부분적 예언 전부가 한 사람에 의해 성취 될 경우의 수는 사실 불가능하다. 또한 구약의 예언을 고의적으로 성취하려 한다고 가능한 성질의 것이 아니다.
예수님이 하느님(하나님)께 가는 유일한 길인가라는 의문에 봉착한다. 하느님은 사랑의 본질이면서도, 공의롭고 거룩하신 분이시다. 성경에 명시되었듯 죄의 대가는 죽음이다. 예수님은 인간의 몸을 입으신 하느님이셨다. 그는 스스로 깨끗한 삶을 사셨고, 전적으로 아버지께 순종하였다. 즉 성경의 선언처럼 죄의 대가는 죽음이 끝이라는 명제는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예수님은 죽음을 선택하심으로서 다 이루었다고 선언하신다. 하느님의 본성인 공의로움을 만족시킨 것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를 위해 또한 하느님을 위해 죽음을 선택하신 것이다. 또한 용서에는 대가가 있는 법인데, 하느님과 인류가 화해를 하는 대가는 바로 그리스도의 죽음이다.
마지막으로 죠시 맥도웰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예수님의 실존성을 주장한다. 그의 개인사에서 크리스트교는 교회가 대표되는 기독교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혐오하기까지 했었다. 하지만 기독교는 종교가 아니다. 기독교는 하나님께서 자신과 인간의 관계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찾아오셨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이란 바로 그의 믿음을 그리스도 안에서 갖고 있는 사람들이란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 책은 그리스도의 참된 이해를 끝으로 글을 맺고 있다.
Ⅲ. 결론
역사는 역사서에 기초를 두어 증명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수님은 성경에 근거해 증명해야 한다. 죠내 맥도웰은 이 책의 앞에서 성경의 실재성과 신빙성에 대해 논한 후에 예수님이 부활하였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시했으며, 예수님이 그리스도임을 증명하였다. 즉, 성경이 진리라는 것과 예수님의 존재와 부활, 그가 하느님에게로 가는 유일한 길임을 입증하였으므로 예수에 관한 모든 것은 사실임을 증명한 셈이다. 결국 하느님과 인간의 화해를 위해 속죄의 대가로 죽음을 택하신 예수님의 가르침을 지키며 살아가는 것이 기독교인의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있겠다.
예수님이 하느님(하나님)께 가는 유일한 길인가라는 의문에 봉착한다. 하느님은 사랑의 본질이면서도, 공의롭고 거룩하신 분이시다. 성경에 명시되었듯 죄의 대가는 죽음이다. 예수님은 인간의 몸을 입으신 하느님이셨다. 그는 스스로 깨끗한 삶을 사셨고, 전적으로 아버지께 순종하였다. 즉 성경의 선언처럼 죄의 대가는 죽음이 끝이라는 명제는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예수님은 죽음을 선택하심으로서 다 이루었다고 선언하신다. 하느님의 본성인 공의로움을 만족시킨 것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를 위해 또한 하느님을 위해 죽음을 선택하신 것이다. 또한 용서에는 대가가 있는 법인데, 하느님과 인류가 화해를 하는 대가는 바로 그리스도의 죽음이다.
마지막으로 죠시 맥도웰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예수님의 실존성을 주장한다. 그의 개인사에서 크리스트교는 교회가 대표되는 기독교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혐오하기까지 했었다. 하지만 기독교는 종교가 아니다. 기독교는 하나님께서 자신과 인간의 관계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찾아오셨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이란 바로 그의 믿음을 그리스도 안에서 갖고 있는 사람들이란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 책은 그리스도의 참된 이해를 끝으로 글을 맺고 있다.
Ⅲ. 결론
역사는 역사서에 기초를 두어 증명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수님은 성경에 근거해 증명해야 한다. 죠내 맥도웰은 이 책의 앞에서 성경의 실재성과 신빙성에 대해 논한 후에 예수님이 부활하였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시했으며, 예수님이 그리스도임을 증명하였다. 즉, 성경이 진리라는 것과 예수님의 존재와 부활, 그가 하느님에게로 가는 유일한 길임을 입증하였으므로 예수에 관한 모든 것은 사실임을 증명한 셈이다. 결국 하느님과 인간의 화해를 위해 속죄의 대가로 죽음을 택하신 예수님의 가르침을 지키며 살아가는 것이 기독교인의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Ⅲ
파워포인트 (본론 설명)
맥그리거 XY이론의 의의, 맥그리거 XY이론의 요지, 맥그리거 XY이론의 특징, 맥그리거 XY이론...
국민연금Ⅲ
미혼모 문제와 실태조사 ,해결방안/미혼모의 개념,관점,발생원인,미혼모의 특징,실태,우리나...
미혼모 문제와 실태조사 ,해결방안/미혼모의 개념,관점,발생원인,미혼모의 특징,실태,우리나...
정신지체장애인(지적장애) 사례관리(진행과정평가, 7차 면접, 상담일지 수록)_이론적 고찰, ...
[일본외교][일본][외교][일본외교 성격][일본외교 전개][일본외교 패러다임][일본외교 관련 ...
[성인간호학]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간...
<수업계획서> Ⅲ.청소년을 위한 영양과 식사 (중학교 1학년, 영양과수업지도안, 영양과식사, ...
[2014간호이론A형]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상담이론과 관련해 작성하시오-<주요 개념, 대상자...
Ⅲ. 통치 구조와 정치 활동 2. 중세의 정치 4.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이자겸의 난과 ...
[인간과교육]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
항공물류론 - 해외직구, 해외직구가 항공물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의, 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