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력균형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세력균형론이란.

본론
1. 미국에 의한 한반도 세력균형
2. 미국의 21세기 세계전략과 군사동맹지속과 강화
3. 미국의 첨단전쟁전략
4. 21세기 동아시아의 정상적 세력균형론

결론

한반도의 아시아적 전망.

본문내용

상은 4대 강국으로서 말로는 4강외교라고 부르지만, 그 근본적 목표는 북한견제라는 한반도적 시각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한반도적 시각의 핵심인데 이것을 극복해야 한다. 이 수준을 뛰어넘어 우리외교를 아시아적 전망으로 확장한다는 것은 동아시아질서에서 미국과 일본이 공동주도하는 동맹의 정치에 대한 우리의 종속적 추종에서 벗어나 그것이 한반도와 아시아 전반의 평화에 역기능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비판하면서 그런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미국과 일본의 아시아 및 한반도정책에 우리 견해를 반영시키고 필요할 때는 중국과 러시아와 공동의 인식과 행동도 한다는 외교적 자세를 말한다.
아시아적 전망이라는 것의 두 번째 의미는 미국이 주도하는 동맹정치 중심의 아시아전략, 그리고 미국의 아시아인식의 틀로부터 자율적인 우리 자신의 아시아인식을 지향한다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미국의 동맹정치와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속되고 있는 물리적인 군사적 현존이라는 미국의 아시아전략의 틀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는 것을 말한다. 미국과 함께 하되, 미국의 군사전략과 군사력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부터 탈피한 아시아자율의 안보질서의 틀을 지향한다는 것, 그것이 또한 우리가 지향할 아시아적 전망의 중심적인 문제의식이라고 할 것이다.
중국은 미국이 일본과의 군사동맹을 강화하는 것과 한반도 통일이후에도 미국이 주한미군사력을 계속 유지하려고 하는 것을 미국의 지나친 대아시아 군사정치패권유지전략의 표현으로 판단한다. 중국의 시점에서 주한미군의 지속은 아시아전반에 대한, 그리고 대만을 비롯한 중국 자신의 문제들에 대한 미국의 과잉개입과 과잉지배력의 물적 토대로 기능하는 현재 아시아질서의 반영이라고 인식될 수 있다. 이같은 시점에서 보더라도 한반도에 대한 미군사력 주둔의 지속은 아시아 국가들이 다같이 공감하는 안정자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질서의 반분상태를 지속시키는 긴장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한반도의 우리에게 보다 절실한 문제로 남는 것은 주한미군의 지속은 바로 그러한 맥락으로 인해 통일이전이나 이후에나 한반도가 동아시아에서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평화의 조정자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봉쇄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그럴수록 우리가 동아시아에서 모색할 진정한 세력균형의 정치는 주한미군의 역할 자체를 세력균형과 동일시하는 군사주의적이며 외세의존적인 비정상적 세력균형론에서 벗어나는 것이어야 한다. 주한미군에 의존하지 않는 가운데 한반도에서 남북간의 긴장완화와 평화적인 통일을 이룩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에서 비군사적인 평화틀을 모색하는 공동의 노력에서 한반도가 창의적인 조정자의 역할을 추구하는 것이 우리의 국제정치학이 앞으로 본격적으로 탐구할 바람직한 세력균형론의 전제가 되어야 한다.
♣ 목 차 ♣
서론
세력균형론이란.
본론
1. 미국에 의한 한반도 세력균형
2. 미국의 21세기 세계전략과 군사동맹지속과 강화
3. 미국의 첨단전쟁전략
4. 21세기 동아시아의 정상적 세력균형론
결론
한반도의 아시아적 전망.
  • 가격1,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08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0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