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릿말
2. 원의 간섭
3. 정치체제의 변동
4. 맺음말
2. 원의 간섭
3. 정치체제의 변동
4. 맺음말
본문내용
편 혹은 최고정무기관으로의 전환이라는 해석에 그치지 말고, 도평의사사의 변화가 말해주는 고려사회란 무엇인가를 궁구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3)관제문란
충렬왕 원년 이후 수많은 개정으로 임시적 도감과 각색이 설치되고 혁파되기도 하여 혼란이 심하였다. 이러한 관제개정에 따른 혼란은 정치기구의 기능 자체에도 영향을 끼쳐 정치체제의 체계가 불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4. 맺음말
이제까지 원의 간섭과 정치체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의 침략적인 간섭과 그것에 의한 정치체제의 변화, 반작용에 의한 개선이라는 구도에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른 원제국의 부마국, 속국들과의 비교를 통해 당시 원제국체제 하의 고려를 이해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고려사회전체의 흐름속에서 정치체제의 변화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도 살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쉬운 점을 적어본다. 원의 간섭이라는 측면에서 쌍성 총관부, 동녕부, 탐라 총관부에 의한 영토의 축소문제, 왕위계승과 폐위에 관련된 원의 간섭, 입성론, 원의 빈번한 조공-특히 공녀- 등의 문제들을 다루지 못해서 아쉬움이 남는다. 정치체제의 변화에서는 연대기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있었으며, 개혁을 추진한 배경과 의미, 새로 생긴 기구의 기능과 성격 등을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쉽다.
※참고문헌
14세기 고려사회성격연구반,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994
장동익, 《高麗後期外交史硏究》, 일조각, 199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19, 탐구당, 1996
한국중세사학회, 《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1997
3)관제문란
충렬왕 원년 이후 수많은 개정으로 임시적 도감과 각색이 설치되고 혁파되기도 하여 혼란이 심하였다. 이러한 관제개정에 따른 혼란은 정치기구의 기능 자체에도 영향을 끼쳐 정치체제의 체계가 불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4. 맺음말
이제까지 원의 간섭과 정치체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의 침략적인 간섭과 그것에 의한 정치체제의 변화, 반작용에 의한 개선이라는 구도에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른 원제국의 부마국, 속국들과의 비교를 통해 당시 원제국체제 하의 고려를 이해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고려사회전체의 흐름속에서 정치체제의 변화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도 살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쉬운 점을 적어본다. 원의 간섭이라는 측면에서 쌍성 총관부, 동녕부, 탐라 총관부에 의한 영토의 축소문제, 왕위계승과 폐위에 관련된 원의 간섭, 입성론, 원의 빈번한 조공-특히 공녀- 등의 문제들을 다루지 못해서 아쉬움이 남는다. 정치체제의 변화에서는 연대기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있었으며, 개혁을 추진한 배경과 의미, 새로 생긴 기구의 기능과 성격 등을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쉽다.
※참고문헌
14세기 고려사회성격연구반,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994
장동익, 《高麗後期外交史硏究》, 일조각, 199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19, 탐구당, 1996
한국중세사학회, 《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1997
추천자료
무신정권에 관하여
이승휴의 생애와 그의 사상
한국 역사의 용어 정리
공녀의 기원과 실상 및 그 영향
역옹패설(櫟翁稗說)을 읽고
국사시험문제, 이원목적분류표
조상들의 삶(무신정권기~일제전후까지 사회상과 조상들의 삶 및 주요사건)
중원대륙과 한반도의 조공관계사 - 무역관계를 중심으로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형성과 특징
통합한국사 요약자료
충신인가 아닌가 그것이 문제로다 -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몽고의 침입과 우리의 대응 그리고 그 후
대몽항쟁(몽골항쟁, 몽고침입)의 중요성, 대몽항쟁(몽골항쟁, 몽고침입)의 원인, 대몽항쟁(몽...
공민왕과 신돈의 개혁정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