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과 비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임산부의 표준체중
임신중 비만으로 생기는 문제들
임신 중 섭취 권장량
임산부의 식사 원칙
임산부의 체중 증가
임신중 살찌는 것을 막는 방법
임신과 운동

본문내용

배 가슴 목의 근육이 단련되고 골반 어깨 엉덩이 무릎관절의 긴장이 완화되며 식욕이 왕성해지고 변비도 막을 수 있다. 정상적인 임신부가 운동을 하는 경우 메스꺼움 피로 허리통증 부종 호흡곤란을 경험하는 경우가 줄어든다. 운동을 하는 임신부들은 더 많은 에너지를 느끼고, 자신감도 높으며, 출산도 쉽게 한다.
달리기나 조깅은 부상의 위험이 있고 임신부의 체온이 39도 이상 올라가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신 기회있을 때마다 자주 걷는 것이 좋다. 공기 좋은 곳에서 산책하면 기분도 상쾌하며 태아에게 산소공급도 원활해진다.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납작한 신발을 피하고 신발 높이가 2∼5㎝인 것이 척추를 똑바로 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주 걸으면 발목이 붓는 듯한 느낌도 없어진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아랫배에 압박감을 주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오랫동안 서있는 것도 피해야 한다.
수영은 몸무게의 부담없이 전신을 움직일 수 있다. 유산의 위험성이 높은 임신 초기를 제외하고는 임산부 수영은 좋은 운동이다. 다만 너무 뜨거운 온천이나 차가운 물에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다. 출혈이 있거나 움직일 때 배가 당기면 즉시 수영을 중지해야 한다. 특별히 임신 경과에 이상이 없는 한 가볍게 수영하는 정도로는 유산이나 조산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 단, 임신 중독증을 앓고 잇는 임산부나 쌍둥이를 임신한 임산부는 수영을 해서는 안 된다. 임신 중에는 격한 수영법이나 장시간의 수영은 피해야 하고, 숨을 멈추고 잠수하는 동작은 태아의 산소 부족을 초래하므로 좋지 않다.
에어로빅은 전신운동으로 임신초기에는 권할만하지만 체중이 늘어나면 동작이 어려워지고 관절에 손상이 올 수 있다.
임신 중에 가슴이 커지고 배가 나오면서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므로 운동을 하면서 허리에 부담이 더해지며,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관절이 이완되므로 엉덩이 무릎 발목 등에 부상을 입을 위험이 높다. 가장 문제되는 것은 체온이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과 몸에서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는 것이다. 지나치게 무더운 날에는 격렬한 운동하지 말고, 운동 중에는 가벼운 옷을 입고, 수분을 충분하게 섭취해야 한다. 운동 중에 대화 할 수 있을 정도로 격렬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고, 시간도 45분으로 제한하며, 완전히 지치기 전에 운동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운동을 하다가 현기증이 나거나, 태아의 움직임이 줄어드는 등 이상 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멈추고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 가격2,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1.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