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 정
2 기억 속의 들꽃
보충심화
2 기억 속의 들꽃
보충심화
본문내용
다.
(라) “㉤쥐바라숭꽃……, 이름처럼 정말 이쁜 꽃이구나. 참 앙증맞게도 생겼다.” 또 한바탕 위험한 곡예 끝에 그 애는 기어코 그 쥐바라숭꽃을 꺾어 올려 손에 들고는 냄새를 맡아 보다가 손바닥 사이에 넣어 대궁을 비벼서 양산처럼 팽글팽글 돌리다가 끝내는 머리에 꽂는 것이었다. 다시 이 쪽으로 건너오려는데, 이 때 바람이 휙 불어 명선이의 치맛자락이 훌렁 들리면서 머리에서 꽃이 떨어졌다. 나는 해바라기 모양의 그 작고 노란 쥐바라숭꽃 한 송이가 바람에 날려, 싯누런 흙탕물이 도도히 흐르는 강심을 향해 바람개비처럼 맴돌며 떨어져 내리는 모양을 아찔한 현기증을 느끼며 지켜보고 있었다.
(마) 그리고 명선이는 숙부네가 저를 버리고 도망치던 때의 이야기도 들려 주었다. “실은 말이지, 숙부가 날 몰래 내버리고 도망친 게 아니라 내가 숙부한테서 도망친 거야. 숙부는 기회만 있으면 날 죽일라구 그랬거든.” 숙부가 널 죽이려 한 이유가 뭐냐는 내 질문에 그 애는 무심코 대답하려다 말고 갑자기 입을 꾹 다물더니만, 언제까지고 나를 경계하는 눈으로 잔뜩 노려보고 있었다.
(바) 적막에 싸인 공동 묘지 옆을 지나면서도 나는 조금도 무서운 줄을 몰랐다. 남들처럼 우리도 지금 피란을 가고 있다는 흥분에 사로잡혀 임자 없는 무덤에 뻥 뚫린 여우 구멍을 보면서도 아무렇지도 않았다. 누나는 오히려 한 수 더 떴다. 길가 아카시아 잎을 따 손을 들고 한 개씩 똑똑 떼내면서 누나는 학교 운동장에서나 하는 노래를 입속으로 흥얼거리고 있었다.
(사) 녀석은 엄지와 인지를 붙여 동그라미를 만들어 보였다. 그 동그라미 위에 다른 또 하나의 작은 동그라미가 노란 빛깔을 띠면서 날름 올라앉아 있었다. 뒤란 그늘 속에서도 그것은 충분히 반짝이고 있었다. 그걸 보더니 어머니의 눈에 환하게 불이 켜졌다.
“아아니, 너 고거 금가락지 아니냐!”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금반지는 어느 새 어머니의 손에 건너가 있었다.
[작품 분석] ★★
(가)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
① 박목월의 ‘오줌싸개 지도’라는 시이다.
② 어린 아이의 엄마는 돌아가셨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③ 빨래줄에 내다 걸은 오줌 싼 요를 소재로 삼았다.
④일제 강점기 때, 돈을 벌러 만주로 떠난 우리 민족의 가슴 아픈 삶을 짐작해 볼 수 있다.
⑤ 동일 문장 구조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한다.
① 윤동주의 시이다.
[시대적 배경] ★★★
시대적 배경을 짐작하게 하는 단어가 아닌 것은? ⑤
① ㉠② ㉡③ ㉢
▶
④ ㉣⑤ ㉤
① 일제 강점기 ②, ③ 1950년대 ④ 625전쟁
[작품 분석] ★★
(나)의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⑤
① 가정에 대한 희생적인 사랑이 나타난다.
② 신발 크기를 통해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 강조된다.
③ 시 속의 ‘나’는 고된 삶을 사는 시인으로 표현된다.
④ 초저녁을 시간적 배경으로 한다.
▶
⑤ 고달픈 현실에 대한 좌절과 회의가 나타난다.
⑤ 화자는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는 힘들고 괴로움을 느끼지만 사랑하는 자식들을 보면서 행복감을 느끼고 있다.
[문단의 이해] ★★
(다)~(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③
①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② 전쟁으로 인한 각박함과 비정함이 드러난다.
▶
③ ‘나’는 소설의 주인공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④ 명선이의 죽음으로 소설이 마무리된다.
⑤ 순수 소설, 현대 소설, 단편 소설이다.
③ ‘나’는 관찰자이고, 주인공은 ‘명선이’이다.
[소설의 등장 인물] ★★
(다)~(사)의 등장 인물에 대한 성격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④
① 어머니전쟁으로 인해 손익을 따지는 각박한 인물
② 나명선이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순수한 인물
③ 누나피란을 소풍으로 즐겁게 여기는 철없는 인물
▶
④ 명선부끄럼이 많고, 천진난만한 인물
⑤ 숙부재물을 위해 혈육까지 죽이려는 비정한 인물
④ 명선 : 적극적이고 당돌하다.
[소설의 소재] ★★★
(다)~(사)에서 명선이가 전쟁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한 수단이자, 각박한 어른의 인심을 드러내 주는 소재를 찾아 쓰시오. 금반지
금반지는 명선이의 생존 수단이자 인간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탐욕을 상징한다.
금반지
[제목의 의미] ★★★
(다)~(사)의 제목을 ‘기억 속의 들꽃’이라 한 이유를 쓰시오.‘나’가 어린 시절에 있었던 일을 회상한 것이므로 ‘기억 속에’라는 말을 썼고, ‘들꽃’은 명선이를 뜻한다.
‘나’가 어린 시절에 있었던 일을 회상한 것이므로 ‘기억 속에’라는 말을 썼고, ‘들꽃’은 명선이를 뜻한다.
(라) “㉤쥐바라숭꽃……, 이름처럼 정말 이쁜 꽃이구나. 참 앙증맞게도 생겼다.” 또 한바탕 위험한 곡예 끝에 그 애는 기어코 그 쥐바라숭꽃을 꺾어 올려 손에 들고는 냄새를 맡아 보다가 손바닥 사이에 넣어 대궁을 비벼서 양산처럼 팽글팽글 돌리다가 끝내는 머리에 꽂는 것이었다. 다시 이 쪽으로 건너오려는데, 이 때 바람이 휙 불어 명선이의 치맛자락이 훌렁 들리면서 머리에서 꽃이 떨어졌다. 나는 해바라기 모양의 그 작고 노란 쥐바라숭꽃 한 송이가 바람에 날려, 싯누런 흙탕물이 도도히 흐르는 강심을 향해 바람개비처럼 맴돌며 떨어져 내리는 모양을 아찔한 현기증을 느끼며 지켜보고 있었다.
(마) 그리고 명선이는 숙부네가 저를 버리고 도망치던 때의 이야기도 들려 주었다. “실은 말이지, 숙부가 날 몰래 내버리고 도망친 게 아니라 내가 숙부한테서 도망친 거야. 숙부는 기회만 있으면 날 죽일라구 그랬거든.” 숙부가 널 죽이려 한 이유가 뭐냐는 내 질문에 그 애는 무심코 대답하려다 말고 갑자기 입을 꾹 다물더니만, 언제까지고 나를 경계하는 눈으로 잔뜩 노려보고 있었다.
(바) 적막에 싸인 공동 묘지 옆을 지나면서도 나는 조금도 무서운 줄을 몰랐다. 남들처럼 우리도 지금 피란을 가고 있다는 흥분에 사로잡혀 임자 없는 무덤에 뻥 뚫린 여우 구멍을 보면서도 아무렇지도 않았다. 누나는 오히려 한 수 더 떴다. 길가 아카시아 잎을 따 손을 들고 한 개씩 똑똑 떼내면서 누나는 학교 운동장에서나 하는 노래를 입속으로 흥얼거리고 있었다.
(사) 녀석은 엄지와 인지를 붙여 동그라미를 만들어 보였다. 그 동그라미 위에 다른 또 하나의 작은 동그라미가 노란 빛깔을 띠면서 날름 올라앉아 있었다. 뒤란 그늘 속에서도 그것은 충분히 반짝이고 있었다. 그걸 보더니 어머니의 눈에 환하게 불이 켜졌다.
“아아니, 너 고거 금가락지 아니냐!”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금반지는 어느 새 어머니의 손에 건너가 있었다.
[작품 분석] ★★
(가)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
① 박목월의 ‘오줌싸개 지도’라는 시이다.
② 어린 아이의 엄마는 돌아가셨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③ 빨래줄에 내다 걸은 오줌 싼 요를 소재로 삼았다.
④일제 강점기 때, 돈을 벌러 만주로 떠난 우리 민족의 가슴 아픈 삶을 짐작해 볼 수 있다.
⑤ 동일 문장 구조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한다.
① 윤동주의 시이다.
[시대적 배경] ★★★
시대적 배경을 짐작하게 하는 단어가 아닌 것은? ⑤
① ㉠② ㉡③ ㉢
▶
④ ㉣⑤ ㉤
① 일제 강점기 ②, ③ 1950년대 ④ 625전쟁
[작품 분석] ★★
(나)의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⑤
① 가정에 대한 희생적인 사랑이 나타난다.
② 신발 크기를 통해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 강조된다.
③ 시 속의 ‘나’는 고된 삶을 사는 시인으로 표현된다.
④ 초저녁을 시간적 배경으로 한다.
▶
⑤ 고달픈 현실에 대한 좌절과 회의가 나타난다.
⑤ 화자는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는 힘들고 괴로움을 느끼지만 사랑하는 자식들을 보면서 행복감을 느끼고 있다.
[문단의 이해] ★★
(다)~(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③
①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② 전쟁으로 인한 각박함과 비정함이 드러난다.
▶
③ ‘나’는 소설의 주인공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④ 명선이의 죽음으로 소설이 마무리된다.
⑤ 순수 소설, 현대 소설, 단편 소설이다.
③ ‘나’는 관찰자이고, 주인공은 ‘명선이’이다.
[소설의 등장 인물] ★★
(다)~(사)의 등장 인물에 대한 성격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④
① 어머니전쟁으로 인해 손익을 따지는 각박한 인물
② 나명선이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순수한 인물
③ 누나피란을 소풍으로 즐겁게 여기는 철없는 인물
▶
④ 명선부끄럼이 많고, 천진난만한 인물
⑤ 숙부재물을 위해 혈육까지 죽이려는 비정한 인물
④ 명선 : 적극적이고 당돌하다.
[소설의 소재] ★★★
(다)~(사)에서 명선이가 전쟁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한 수단이자, 각박한 어른의 인심을 드러내 주는 소재를 찾아 쓰시오. 금반지
금반지는 명선이의 생존 수단이자 인간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탐욕을 상징한다.
금반지
[제목의 의미] ★★★
(다)~(사)의 제목을 ‘기억 속의 들꽃’이라 한 이유를 쓰시오.‘나’가 어린 시절에 있었던 일을 회상한 것이므로 ‘기억 속에’라는 말을 썼고, ‘들꽃’은 명선이를 뜻한다.
‘나’가 어린 시절에 있었던 일을 회상한 것이므로 ‘기억 속에’라는 말을 썼고, ‘들꽃’은 명선이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