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3.물상 산화와 환원 반응-2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51~100번

정답

본문내용

응성이 큰 금속이 (-)극이 된다.
③ (-)극에서는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④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⑤ 전자를 얻기 쉬운 금속이 (+)극이 된다.
96. 아연판과 구리판을 묽은 황산 속에 넣고 이들을 도선으로 연결할 때 일어나는 반응은 ?
① 구리판이 녹아 들어간다.
② 아연판이 (+)극이 된다.
③ 구리판에서 구리가 석출된다.
④ 아연판에서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⑤ 도선을 통해 전자가 구리판에서 아연판으로 흘러간다.
97. 다음 금속 중 묽은 황산에 넣었을 때 수소 기체가 발생하지 않는 금속은 ?
① Zn② Fe [공릉, 자양]
③ Mg④ Al
⑤ Cu
98. 볼타 전지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구리판의 표면에 수소 기포가 달라붙어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전류가 약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을 무엇이 라고 하는지 쓰시오. [윤중]
99. 볼타 전지에서 (-)극의 금속으로 Zn판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금속은 ?
① 은② 탄소
③ 마그네슘④ 수은
⑤ 백금
100. 볼타 전지에서 전자와 전류의 이동 방향은 ?
전자 전류
① Zn → CuCu → Zn
② C → ZnZn → Cu
③ Cu → Zn Cu → Zn
④ Zn →CuZn → Cu
⑤ Zn → Cu불규칙함
51. ①
염기성 산화물을 찾는 문제이다.
52. ④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이어야 한다.
53. ⑤
산화와 환원 반응은 항상 동시에 일어난다.
54. ⑤
55. ⑤
물질이 수소와 화합하는 것은 환원이다.
56. ⑤
57. ⑤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수용액에 금속 이온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음 금속을 넣으면 반응하지 않는다.
58. ③
CuSO4+Fe→FeSO4+Cu에서
Fe → Fe2++2 (산화)
Cu2++2 → Cu (환원)이므로
용액 중의 Cu2+(푸른색)수는 감소하고 Fe2+(녹색)수는 증가한다. 또 용액 중의 SO42-의 수는 변함이 없다.
59. ①
이온화 경향 : Mg>Cu, Zn>Ag, X>Zn, Mg>X
60. ⑤
코크스는 환원제로, 그리고 열원으로 쓰인다.
61. ③
산소를 얻거나 수소를 잃는 반응이 산화이다.
62. ④
이온화되기 쉬운 것이 이온으로 된다.
63. ①
반응 모형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g+ZnSO4 → MgSO4+Zn
이 때 마그네슘이 아연보다 이온화 세기가 센 금속이므로 Mg은 전자를 잃고 Mg2+로 산화되며 Zn2+은 전자를 얻어 Zn으로 환원된다.
64. ③
산화
2CuO+C → 2Cu + CO2
환원
65. ②
전류의 방향으로 보아 (가)가 (-)극이다. 따라서 이온화 세기가 큰 아연이 (가)극이 되어야 하고 두 금속의 이온화 세기의 차가 클수록 전압이 높아지므로 (나)극은 은이 되어야 한다.
66. ⑤
아연이 가장 잘 반응하고, 구리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67. ①
물질이 수소를 잃는 것이 산화이다.
68. ③
금은 은보다 이온화되기 어렵다.
69. ②
상대방을 산화시키는 것이 산화제이다.
70. ③
Zn+2H++2Cl- → Zn2++H2+2Cl-에서 Zn2+의 수는 증가하고 H+의 수는 감소하지만, Cl-의 수는 변하지 않는다.
71. ①
72. Zn, H+
73. ①
화학 전지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74. ⑤
금속이 전자를 내놓기 쉬운 정도가 다름을 이용한 것이다.
75. ①
화학 전지에서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이 전자를 내놓는다.
76. ④
볼타 전지의 (+)극에서는 수소 이온이 전자를 받아 수소 기체로 발생된다.
77. ⑤
화학 변화는 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로 변하는 것으로, 열의 출입이 따르므로 온도 변화가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물에 녹지 못하나, 금속의 이온은 물에 녹게 된다. 용액의 푸른색은 Cu2+ 때문이다. 위 변화는 Zn+CuSO4 → ZnSO4+Cu(Zn+Cu2+ → Zn2++Cu)이다.
78. ③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것이 산화제이다. 산화제에는 염소, 과산화수소, 이산화망간 등이 있고, 환원제에는 수소, 탄소,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이 있다. 어떤 물질이 전자를 잃거나 산소와 결합하는 반응이 산화이다.
79. ④
전자를 잃는 것이 산화이다.
80. ⑤
산화환원 반응은 원자들 사이에 전자를 주고 받는 변화이며, 이온화, 이온의 반응, 중화 반응과는 다르다.
81. ②
반응성은 K>Mg>Al>Zn>Fe>Sn>Cu>Ag의 순이다. 이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금속은 이온으로 녹아 들어가지 못한다.
82. ②
환원제는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이다. 따라서, 산소와 잘 결합하고 전자를 잘 잃는, 반응성이 큰 금속이 많이 쓰인다.
83. ④
탄소 막대 : (+)극
아연통 : (-)극
NH4Cl 용액 : 전해질
MnO2 : 소극제
84. ④
염의 수용액에 넣은 금속이 수용액 중의 금속 이온보다 이온화 세기가 클 때 넣어 준 금속은 이온화되어 녹고 용액 중의 금속 이온은 금속으로 환원되어 석출된다. 따라서 실험 (가)에서 Fe>Cu, 실험 (다)에서 Zn>Fe이므로 이 두 실험의 결과를 통해 Zn>Fe>Cu임을 알 수 있다.
85. ④
Mg>Fe, Fe>Cu
86. ①
87. ③
88. ④
㉠ B>A, ㉡ B>C, ㉢ A>C ∴ B>A>C
89. ③
자신이 환원된 물질을 찾아야 한다.
90. ②
91. ②
배 밑 바닥의 철판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 아래쪽에는 철보다 이온화 되기 쉬운 금속을 매달아 놓는다.
92. 염화암모늄 용액
묽은 황산은 전해질이다.
93. ②
이산화망간은 (+)극에서 발생한 수소와 반응하여 물을 만든다.
94. ②
볼타 전지, 건전지 모두 (-)극으로는 아연이 이용된다.
95. ③
화학 전지의 (-)극에서는 산화 반응이, (+)극에서는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96. ④
아연이 구리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전자를 내놓고 산화된다.
97. ⑤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구리, 수은, 은, 백금, 금 등의 금속은 산에 녹지 않는다.
98. 분극 현상
99. ③
100. ①
전자는 (-)극에서 (+)극으로 흐른다. 전류의 방향은 전자의 흐름이 밝혀지기 이전에, (+)극에서 (-)극으로 흐르는 것으로 약속하였기 때문에 지금도 그 방향을 전류의 방향으로 정의하고 있다.

키워드

환원,   화학,   물진,   산화제,   핵심,   기출,   문제,   답안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