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③ 개구리의 피부 세포 ④ 개구리의 근육 세포
⑤ 사람의 정자 세포
28. 체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방추사에 매달려 세포의 중앙에 늘어서는 시기는 ? (신동, 대청)
① 간기 ② 전기
③ 중기 ④ 후기
⑤ 말기
29. 양파를 재료로 체세포 분열을 관찰할 때 염색체나 염색 분체가 보이지 않는 시기는 ? (도봉여, 상명사대부속)
① 간기 ② 전기
③ 중기 ④ 후기
⑤ 말기
3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시기는 언제인가 ? (가원, 숙명여)
세포 분열이 끝난 후 다음 분열을 시작하기 전까지의 시기이다.
세포가 자라서 세포 분열을 준비한다.
둥근 핵과 인이 존재한다.
31. 오른쪽 그림은 체세포 분열의 간기와 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핵 A의 염색체 수가 20개라면 핵 B의 염색체 수는 몇 개인가 ? (대림여, 노원)
32. 다음 생물 중에서 체세포 분열이 일어나면 몸의 크기가 자라는 것은 ?
① 아메바 ② 세균 (강일, 대원)
③ 짚신벌레 ④ 해캄
⑤ 유글레나
33. 양파의 체세포 분열 과정을 관찰하는 실험 중에서 뿌리 끝을 에탄올과 아세트산의 혼합액에 넣는 이유는 ? (당산서, 동국사대부속)
① 핵을 염색하기 위해서
② 조직을 연하게 하기 위해서
③ 염색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④ 재료가 잘 펴지게 하기 위해서
⑤ 기포가 잘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
34. 그림 (가)는 뿌리 끝의 종단면의 구조이다. 그림 (나)와 같은 세포를 관찰하기에 가장 알맞은 곳은 ? (광남, 서초)
① A② B
③ C ④ D
⑤ E
35. 양파의 체세포 분열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염색되는 것은 ? (고덕, 영등포)
① 핵막 ② 방추사
③ 염색체 ④ 인
⑤ 중심체
36. 세포 분열 때만 나타나는 끈 또는 막대 모양을 한 것으로, 유전 물질과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경성, 대명)
① DNA② 염색체
③ 방추사 ④ 중심체
⑤ 인
37. 체세포 분열 관찰 실험시 보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
(구정, 동명여)
거즈로 싼 양파의 뿌리 조각을 60℃ 정도의 묽은 염산에 5~10분간 담가 둔다.
① 염색체를 잘 보기 위하여
② 세포를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③ 세포를 파괴시키기 위하여
④ 조직을 연하게 하기 위하여
⑤ 염색체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38. 식물 세포의 분열이 동물 세포의 분열과 특히 다른 점은 ? (동명, 한산)
① 방추사가 나타난다. ② 세포판이 나타난다
③ 원형질이 함입된다. ④ 염색 분체가 나타난다.
⑤ 간기가 매우 짧다.
39. 사람의 염색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배명, 이수)
① 사람의 염색체는 모두 46쌍이다.
② 여자의 염색체가 남자의 염색체보다 많다.
③ 남자의 성 염색체는 XY이다.
④ 여자의 상염색체는 1쌍이다.
⑤ 남자의 염색체는 47개이다.
(핵심 기출 문제 정답)
1. ②
다세포 생물은 체세포 분열에 의하여 세포 수가 늘어나면 몸의 크기가 자라게 된다. 2. ②
(나) 과정은 핵이나 염색체를 염색하는 과정이며 (다) 과정은 재료를 고정하는 과정이다.
3. ④
염산은 조직을 연하게 하여 서로 잘 분리되도록 한다.
4. ③
양파의 뿌리 끝부분에는 생장점이 있다.
5. (가)-(다)-(라)-(나)
체세포 분열 실험은 재료 준비 → 고정 → 해리 → 염색 → 관찰의 순으로 진행한다.
6. ①
단세포 생물의 세포 분열은 곧 생식이 된다.
7. ③
다세포 생물의 생장은 체세포 분열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생물의 크기가 클수록 세포 수가 많다.
8. ⑤
9. ②
뿌리 끝 부분에 뿌리골무가 보호하는 분열 조직이 있다.
10. ③
식물 세포에는 동물 세포에 없는 세포벽이 있다.
11. ③
12. 6 + XY
사람의 염색체는 상염색체가 44개이며, 성 염색체는 여자가 XX, 남자는 XY로 표기된다.
13. (가)-(나)-(라)-(다)
14. ①
고릴라나 감자의 염색체수는 사람보다 많은 48개이다.
15. ②
체세포 분열 과정 중 말기에 식물 세포는 세포판의 형성으로, 동물 세포는 원형질 만입에 의해 2개의 딸세포가 된다.
16. 세포
세포는 생물체의 몸을 이루는 체세포와 자손을 퍼뜨리는 데 관여하는 생식 세포로 구분된다.
17. ①
고정 → 해리 → 염색
① : 해리
② : 고정
③ : 염색
18. 중기
염색체가 세포 중앙에 배열되는 시기에 염색체 관찰이 적당하다.
19. ③
식물 세포는 이것이 안에서 밖으로 발달하면서 세포벽이 된다.
20. ①
한 개의 핵이 두 개로 나누어지는 것을 핵분열이라고 한다.
21. ③
모세포가 한 번 체세포 분열하면 두 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지고, 딸세포는 자라 모세가 된 후 또 다시 체세포 분열을 한다.
22. ①
23. ④
세포 분열은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이 있는데 감수 분열은 생식 소에서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때 일어난다.
24. 23 개
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는 체세포의 반이다.
25. ①
식물에서는 분열하는 곳이 정해져 있다.
26. ④
세포를 살아 있을 때의 상태와 같이 보존하여야 한다. (고정)
27. ⑤
세포는 체세포와 생식 세포가 있다.
28. ③
염색체의 수와 모양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다.
29. ①
염색체는 전기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중기에 가장 잘 관찰되고 후기에는 염색 분체로 분리되어 말기까지 계속된다.
30. 간기
체세포 분열은 간기 → 전기 → 중기 → 후기 → 말기의 순으로 진행된다.
31. 20 개
체세포 분열을 하면 염색체의 수는 변하지 않는다.
32. ④
33. ③
34. ④
35. ③
36. ②
세포가 분열할 때 핵속에 있는 유전자가 단백질과 결합하여 생기는 것으로, 특정한 염색액에 염색이 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37. ④
뿌리는 여러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한 층으로 분리시켜야 세포를 자세히 관찰 할 수 있다.
38. ②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는 세포질 분열 방법이 다르다.
39. ③
사람의 염색체수 : 46 개
남자 - 44 + XY
여자 - 44 + XX
(상)(성)
⑤ 사람의 정자 세포
28. 체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방추사에 매달려 세포의 중앙에 늘어서는 시기는 ? (신동, 대청)
① 간기 ② 전기
③ 중기 ④ 후기
⑤ 말기
29. 양파를 재료로 체세포 분열을 관찰할 때 염색체나 염색 분체가 보이지 않는 시기는 ? (도봉여, 상명사대부속)
① 간기 ② 전기
③ 중기 ④ 후기
⑤ 말기
3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시기는 언제인가 ? (가원, 숙명여)
세포 분열이 끝난 후 다음 분열을 시작하기 전까지의 시기이다.
세포가 자라서 세포 분열을 준비한다.
둥근 핵과 인이 존재한다.
31. 오른쪽 그림은 체세포 분열의 간기와 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핵 A의 염색체 수가 20개라면 핵 B의 염색체 수는 몇 개인가 ? (대림여, 노원)
32. 다음 생물 중에서 체세포 분열이 일어나면 몸의 크기가 자라는 것은 ?
① 아메바 ② 세균 (강일, 대원)
③ 짚신벌레 ④ 해캄
⑤ 유글레나
33. 양파의 체세포 분열 과정을 관찰하는 실험 중에서 뿌리 끝을 에탄올과 아세트산의 혼합액에 넣는 이유는 ? (당산서, 동국사대부속)
① 핵을 염색하기 위해서
② 조직을 연하게 하기 위해서
③ 염색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④ 재료가 잘 펴지게 하기 위해서
⑤ 기포가 잘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
34. 그림 (가)는 뿌리 끝의 종단면의 구조이다. 그림 (나)와 같은 세포를 관찰하기에 가장 알맞은 곳은 ? (광남, 서초)
① A② B
③ C ④ D
⑤ E
35. 양파의 체세포 분열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떨어뜨렸을 때 염색되는 것은 ? (고덕, 영등포)
① 핵막 ② 방추사
③ 염색체 ④ 인
⑤ 중심체
36. 세포 분열 때만 나타나는 끈 또는 막대 모양을 한 것으로, 유전 물질과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경성, 대명)
① DNA② 염색체
③ 방추사 ④ 중심체
⑤ 인
37. 체세포 분열 관찰 실험시 보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
(구정, 동명여)
거즈로 싼 양파의 뿌리 조각을 60℃ 정도의 묽은 염산에 5~10분간 담가 둔다.
① 염색체를 잘 보기 위하여
② 세포를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③ 세포를 파괴시키기 위하여
④ 조직을 연하게 하기 위하여
⑤ 염색체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38. 식물 세포의 분열이 동물 세포의 분열과 특히 다른 점은 ? (동명, 한산)
① 방추사가 나타난다. ② 세포판이 나타난다
③ 원형질이 함입된다. ④ 염색 분체가 나타난다.
⑤ 간기가 매우 짧다.
39. 사람의 염색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배명, 이수)
① 사람의 염색체는 모두 46쌍이다.
② 여자의 염색체가 남자의 염색체보다 많다.
③ 남자의 성 염색체는 XY이다.
④ 여자의 상염색체는 1쌍이다.
⑤ 남자의 염색체는 47개이다.
(핵심 기출 문제 정답)
1. ②
다세포 생물은 체세포 분열에 의하여 세포 수가 늘어나면 몸의 크기가 자라게 된다. 2. ②
(나) 과정은 핵이나 염색체를 염색하는 과정이며 (다) 과정은 재료를 고정하는 과정이다.
3. ④
염산은 조직을 연하게 하여 서로 잘 분리되도록 한다.
4. ③
양파의 뿌리 끝부분에는 생장점이 있다.
5. (가)-(다)-(라)-(나)
체세포 분열 실험은 재료 준비 → 고정 → 해리 → 염색 → 관찰의 순으로 진행한다.
6. ①
단세포 생물의 세포 분열은 곧 생식이 된다.
7. ③
다세포 생물의 생장은 체세포 분열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생물의 크기가 클수록 세포 수가 많다.
8. ⑤
9. ②
뿌리 끝 부분에 뿌리골무가 보호하는 분열 조직이 있다.
10. ③
식물 세포에는 동물 세포에 없는 세포벽이 있다.
11. ③
12. 6 + XY
사람의 염색체는 상염색체가 44개이며, 성 염색체는 여자가 XX, 남자는 XY로 표기된다.
13. (가)-(나)-(라)-(다)
14. ①
고릴라나 감자의 염색체수는 사람보다 많은 48개이다.
15. ②
체세포 분열 과정 중 말기에 식물 세포는 세포판의 형성으로, 동물 세포는 원형질 만입에 의해 2개의 딸세포가 된다.
16. 세포
세포는 생물체의 몸을 이루는 체세포와 자손을 퍼뜨리는 데 관여하는 생식 세포로 구분된다.
17. ①
고정 → 해리 → 염색
① : 해리
② : 고정
③ : 염색
18. 중기
염색체가 세포 중앙에 배열되는 시기에 염색체 관찰이 적당하다.
19. ③
식물 세포는 이것이 안에서 밖으로 발달하면서 세포벽이 된다.
20. ①
한 개의 핵이 두 개로 나누어지는 것을 핵분열이라고 한다.
21. ③
모세포가 한 번 체세포 분열하면 두 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지고, 딸세포는 자라 모세가 된 후 또 다시 체세포 분열을 한다.
22. ①
23. ④
세포 분열은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이 있는데 감수 분열은 생식 소에서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때 일어난다.
24. 23 개
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는 체세포의 반이다.
25. ①
식물에서는 분열하는 곳이 정해져 있다.
26. ④
세포를 살아 있을 때의 상태와 같이 보존하여야 한다. (고정)
27. ⑤
세포는 체세포와 생식 세포가 있다.
28. ③
염색체의 수와 모양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다.
29. ①
염색체는 전기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중기에 가장 잘 관찰되고 후기에는 염색 분체로 분리되어 말기까지 계속된다.
30. 간기
체세포 분열은 간기 → 전기 → 중기 → 후기 → 말기의 순으로 진행된다.
31. 20 개
체세포 분열을 하면 염색체의 수는 변하지 않는다.
32. ④
33. ③
34. ④
35. ③
36. ②
세포가 분열할 때 핵속에 있는 유전자가 단백질과 결합하여 생기는 것으로, 특정한 염색액에 염색이 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37. ④
뿌리는 여러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한 층으로 분리시켜야 세포를 자세히 관찰 할 수 있다.
38. ②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는 세포질 분열 방법이 다르다.
39. ③
사람의 염색체수 : 46 개
남자 - 44 + XY
여자 - 44 + XX
(상)(성)
추천자료
복제인간의 윤리적 문제
인간복제와 윤리문제
<실험>생쥐 난자 채취 및 발생 관찰
노인기의 영양
[유전자][유전자정보][유전자연구][게놈연구]유전자의 구조와 역할, 유전자정보의 중요성, 유...
[다시마][다시마의 특징][다시마의 영양성분][다시마의 성장][다시마의 양성][다시마의 방출]...
4. 유사분열 관찰_결과
(강추) DNA의 유전 (Heredity)에서의 역할
생명 복제 설명자료
동물발생학 - 배우자 형성 과정에 대해 정리[정자의 형성과정, 난자의 형성과정]
[노화][노화 이론][건강][피부][자외선][노화 치료방법][피부노화][운동][호르몬]노화의 이론...
항돌연변이의 생체내 기작
생명공학과 인간의 삶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