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자의 짜임
2. 주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2. 주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필순이 바르게 된 것은 ? (잠신, 성산)
① <그림> ②
③ ④
⑤
64. 다음 중 잘못 쓰인 것은 ? (일신여, 성사)
① 그들은 化田을 일구어 겨우 연명해 왔다.
② 은미네는 萬石꾼 부자이다.
③ 우리 나라에서는 石油가 생산되지 않는다.
④ 우리 별 1 호는 人工위성이다.
⑤ 우리 나라 해안가에도 공룡의 化石이 남아 있다.
핵심기출문제 ………
1. ②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상형자
2. ⑤
물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는 상형글자이다.
3. ④
① 일, ② 월, ③ 수, ⑤ 천
4. ②
총획수란 부수를 포함한 획수를 말한다.
5. ④
모든 한자는 모양, 소리, 뜻의 세 부분으로 되어있다.
6. ①
대부분의 한자는 부수 부분과 획수 부분이 더해져서 이루어진다.
7. ④
상형 :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지사 : 생각이나 뜻을 나타낸 글자.
8. ②
문장의 뜻을 생각하면서 글자의 뜻을 풀이해 본다.
9. ②
①은 지사자, ②, ③, ④, ⑤는 상형자이다.
10. ①
나무 목
11. ⑤
흙 토
12. ④
① 月, ② 日, ③ 正, ⑤ 川
13. ③
① 하나 일② 달 월
④ 물 수 ⑤ 나무 목
14. ④
①, ②, ③, ⑤는 상형자이고, ④는 지사자이다.
15. ⑤
16. ①
② ‘말’―‘미’, ③ ‘상’―‘운’, ④ ‘호’―‘녀’, ⑤ ‘공’―‘광’
17. ④18. ③19. ③20. ②21. ③
22. ③23. ④
24. ③
‘땅’ 혹은 ‘흙’의 뜻을 갖는 글자.
25. ③
川 : 내(천)
26. ②
좌우가 대칭인 글자는 가운데를 먼저 쓰고 바깥을 쓰나, 반대로 쓰는 예외 글자도 있다.
27. ⑤
모양을 본뜬 글자(상형자)는 대부분 제부수 글자이다.
28. ④
① 해, ② 불, ③ 물, ⑤ 산
29. ⑤
千 : 十부 1획
30. ②
木과 水
人과 八
31. ③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32. ③
33. ④
水(수) : 물火(화) : 불
34. ①
水(수) : 물木(목) : 나무
土(토) : 흙雨(우) : 비
石(석) : 돌
35. ③
火山 : 땅 속의 가스 또는 마그마가 분출하는 산
36. ①
一(일) : 하나
日(일) : 날
37. ⑤
雨水 : 2월 18일경으로,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음
38. ①
不은 자음 /ㄷ/과 /ㅈ/앞에서는 ‘부’로 발음된다.
39. ①
大↔小, 多↔少
40. ③
41. ②
法<水, 5 획>
42. ③
相<目, 4 획>, 妹<女, 5 획>, 望<月, 7 획>, 問<口, 8 획>
43. ④
어릴 때의 버릇이 평생을 간다는 뜻이다.
44. ④45. ③46. ①47. ⑤
48. ①
우리 선조 들은 오랜 옛날부터 한자(漢字)를 사용하여 왔다.
49. ⑤
한자어
50. ④
총획수는 글자 전체를 쓰는 데 필요한 획수이다.
51. ①
한자의 3 요소는 형(形 : 모양), 음(音 : 소리), 의(義 : 뜻)이다.
52. ④
‘化’의 부수는 匕임
53. ④
(얼음 빙)이 正字이고 氷이 속자
54. ⑤
55. ①
상형의 원리이다.
56. ③
이럴 경우, 우선 한자어를 음으로 읽어보자. 수력, 인력… 어색한 것은?
57. ②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가 대칭일 때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
58. ①
一日 : (일) 날
日月 : (일) 해
59. ③
상형자가 아닌 한자
60. ④
가로획을 먼저 쓴다.
61. ②
日月 : 해와 달, 세월
62. ⑤
‘力’은 ‘힘’이란 뜻을 가졌다. ‘역행’은 ‘힘써 행함,’ ‘역점’은 ‘힘을 특별히 주는 곳’이란 뜻이다.
63. ①
64. ①
화전 : 원시적 농경법의 하나로 산이나 들에 불을 지르고 파 일구어 농사를 짓는 밭.
1. 다음 빈 칸에 들어갈 한자의 모양, 음, 뜻을 쓰시오. (이수, 성덕여)
모양
木
㉠
水
음
㉡
석
수
뜻
나무
돌
㉢
2.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문광여, 한양)
그 사람은 木石같이 무뚝뚝하다.
3.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원촌, 홍대사대부속)
오백 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 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재-
4. 다음 □에 들어갈 글자를 쓰시오. (중대사대부속, 오주)
日 月 火 水 □ 金 土
5. 다음 한자의 뜻과 음을 쓰시오. (오륜, 중앙여)
(1) 木
(2) 川
6.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오금, 중원)
세계 곳곳의 화산에서 용암이 분출하고 있다.
7. 다음 글에 나오는 한자의 독음을 차례대로 쓰시오. (풍납, 중평)
山 절로 水 절로 山水 간에 나도 절로
8. 밑줄 친 부분의 뜻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풍납여, 천호)
해가 지면 달이 뜬다.
9. 다음 밑줄 친 글자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진선여, 청운)
강원도의 광산에서 많은 금이 나온다고 하였다.
10. 다음 그림에서 만들어진 글자를 쓰시오. (휘문, 충암)
<그림>
11. ‘큰아버지’를 나타내는 말을 한자(漢字)로 쓰시오. (한영, 한천)
12. ‘土木’을 해석해 보시오. (한산, 환일)
13.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쓰시오. (청담, 창일)
歲月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
14. ‘바를 정’자를 한자로 쓰시오. (중동, 천일)
15. 다음에서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정신여, 윤중)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16.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잠실, 인수)
삼백 육십 칠만 이천 원
17. ‘이만 육천 사백 칠’을 한자로 쓰시오. (잠신, 장충여)
18. ‘水’를 ‘물’이라고 하는 것은 한자의 3 요소 중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
(일신여, 장충)
19.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가원, 옥정)
만일 시간이 있었다면 그곳에 갔을텐데…
20. ‘백’과 ‘천’을 한자로 쓰시오. (이수, 장훈)
十→백→천→萬
주관식 기출문제
1. ㉠ 石 ㉡ 목 ㉢ 물
2. 목석
3. 山川
4. 木
5. (1) 나무, 목 (2) 내, 천
6. 火山
7. 산, 수, 산수
8. 日, 月
9. 金
10. 力
11. 伯父
12. 흙과 나무
13. 세월
14. 正
15. 山
16. 參百六拾七萬貳千
17. 二萬六千四百七
18. 뜻
19. 萬一
20. 百, 千
① <그림> ②
③ ④
⑤
64. 다음 중 잘못 쓰인 것은 ? (일신여, 성사)
① 그들은 化田을 일구어 겨우 연명해 왔다.
② 은미네는 萬石꾼 부자이다.
③ 우리 나라에서는 石油가 생산되지 않는다.
④ 우리 별 1 호는 人工위성이다.
⑤ 우리 나라 해안가에도 공룡의 化石이 남아 있다.
핵심기출문제 ………
1. ②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상형자
2. ⑤
물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는 상형글자이다.
3. ④
① 일, ② 월, ③ 수, ⑤ 천
4. ②
총획수란 부수를 포함한 획수를 말한다.
5. ④
모든 한자는 모양, 소리, 뜻의 세 부분으로 되어있다.
6. ①
대부분의 한자는 부수 부분과 획수 부분이 더해져서 이루어진다.
7. ④
상형 :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지사 : 생각이나 뜻을 나타낸 글자.
8. ②
문장의 뜻을 생각하면서 글자의 뜻을 풀이해 본다.
9. ②
①은 지사자, ②, ③, ④, ⑤는 상형자이다.
10. ①
나무 목
11. ⑤
흙 토
12. ④
① 月, ② 日, ③ 正, ⑤ 川
13. ③
① 하나 일② 달 월
④ 물 수 ⑤ 나무 목
14. ④
①, ②, ③, ⑤는 상형자이고, ④는 지사자이다.
15. ⑤
16. ①
② ‘말’―‘미’, ③ ‘상’―‘운’, ④ ‘호’―‘녀’, ⑤ ‘공’―‘광’
17. ④18. ③19. ③20. ②21. ③
22. ③23. ④
24. ③
‘땅’ 혹은 ‘흙’의 뜻을 갖는 글자.
25. ③
川 : 내(천)
26. ②
좌우가 대칭인 글자는 가운데를 먼저 쓰고 바깥을 쓰나, 반대로 쓰는 예외 글자도 있다.
27. ⑤
모양을 본뜬 글자(상형자)는 대부분 제부수 글자이다.
28. ④
① 해, ② 불, ③ 물, ⑤ 산
29. ⑤
千 : 十부 1획
30. ②
木과 水
人과 八
31. ③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32. ③
33. ④
水(수) : 물火(화) : 불
34. ①
水(수) : 물木(목) : 나무
土(토) : 흙雨(우) : 비
石(석) : 돌
35. ③
火山 : 땅 속의 가스 또는 마그마가 분출하는 산
36. ①
一(일) : 하나
日(일) : 날
37. ⑤
雨水 : 2월 18일경으로,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음
38. ①
不은 자음 /ㄷ/과 /ㅈ/앞에서는 ‘부’로 발음된다.
39. ①
大↔小, 多↔少
40. ③
41. ②
法<水, 5 획>
42. ③
相<目, 4 획>, 妹<女, 5 획>, 望<月, 7 획>, 問<口, 8 획>
43. ④
어릴 때의 버릇이 평생을 간다는 뜻이다.
44. ④45. ③46. ①47. ⑤
48. ①
우리 선조 들은 오랜 옛날부터 한자(漢字)를 사용하여 왔다.
49. ⑤
한자어
50. ④
총획수는 글자 전체를 쓰는 데 필요한 획수이다.
51. ①
한자의 3 요소는 형(形 : 모양), 음(音 : 소리), 의(義 : 뜻)이다.
52. ④
‘化’의 부수는 匕임
53. ④
(얼음 빙)이 正字이고 氷이 속자
54. ⑤
55. ①
상형의 원리이다.
56. ③
이럴 경우, 우선 한자어를 음으로 읽어보자. 수력, 인력… 어색한 것은?
57. ②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가 대칭일 때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
58. ①
一日 : (일) 날
日月 : (일) 해
59. ③
상형자가 아닌 한자
60. ④
가로획을 먼저 쓴다.
61. ②
日月 : 해와 달, 세월
62. ⑤
‘力’은 ‘힘’이란 뜻을 가졌다. ‘역행’은 ‘힘써 행함,’ ‘역점’은 ‘힘을 특별히 주는 곳’이란 뜻이다.
63. ①
64. ①
화전 : 원시적 농경법의 하나로 산이나 들에 불을 지르고 파 일구어 농사를 짓는 밭.
1. 다음 빈 칸에 들어갈 한자의 모양, 음, 뜻을 쓰시오. (이수, 성덕여)
모양
木
㉠
水
음
㉡
석
수
뜻
나무
돌
㉢
2.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문광여, 한양)
그 사람은 木石같이 무뚝뚝하다.
3.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원촌, 홍대사대부속)
오백 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 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재-
4. 다음 □에 들어갈 글자를 쓰시오. (중대사대부속, 오주)
日 月 火 水 □ 金 土
5. 다음 한자의 뜻과 음을 쓰시오. (오륜, 중앙여)
(1) 木
(2) 川
6.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오금, 중원)
세계 곳곳의 화산에서 용암이 분출하고 있다.
7. 다음 글에 나오는 한자의 독음을 차례대로 쓰시오. (풍납, 중평)
山 절로 水 절로 山水 간에 나도 절로
8. 밑줄 친 부분의 뜻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풍납여, 천호)
해가 지면 달이 뜬다.
9. 다음 밑줄 친 글자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진선여, 청운)
강원도의 광산에서 많은 금이 나온다고 하였다.
10. 다음 그림에서 만들어진 글자를 쓰시오. (휘문, 충암)
<그림>
11. ‘큰아버지’를 나타내는 말을 한자(漢字)로 쓰시오. (한영, 한천)
12. ‘土木’을 해석해 보시오. (한산, 환일)
13.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쓰시오. (청담, 창일)
歲月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
14. ‘바를 정’자를 한자로 쓰시오. (중동, 천일)
15. 다음에서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정신여, 윤중)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16.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잠실, 인수)
삼백 육십 칠만 이천 원
17. ‘이만 육천 사백 칠’을 한자로 쓰시오. (잠신, 장충여)
18. ‘水’를 ‘물’이라고 하는 것은 한자의 3 요소 중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
(일신여, 장충)
19.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가원, 옥정)
만일 시간이 있었다면 그곳에 갔을텐데…
20. ‘백’과 ‘천’을 한자로 쓰시오. (이수, 장훈)
十→백→천→萬
주관식 기출문제
1. ㉠ 石 ㉡ 목 ㉢ 물
2. 목석
3. 山川
4. 木
5. (1) 나무, 목 (2) 내, 천
6. 火山
7. 산, 수, 산수
8. 日, 月
9. 金
10. 力
11. 伯父
12. 흙과 나무
13. 세월
14. 正
15. 山
16. 參百六拾七萬貳千
17. 二萬六千四百七
18. 뜻
19. 萬一
20. 百, 千
추천자료
[운영체제론] 운영체제의 정의
인적자원관리(HRM) 정의, 인적자원개발(HRD)부문 변화 추세, 기업내 인적자원개발(HRD)체제 ...
[교장선출보직제]교장선출보직제의 정의, 의의, 필요성, 전제조건과 교장선출보직제를 통한 ...
[경영학] M&A의 정의, 동기, 목적, 동향과 국내외 기업 주요사례 및 리스크와 해결방안
[지식기반경제사회]지식기반경제사회의 정의, 지식기반경제사회의 형성, 지식기반경제사회의 ...
[협동학습]협동학습의 정의, 협동학습의 방법, 협동학습과 발화교육, 협동학습과 통일교육, ...
아담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공정성과 정의,노동가치설,이신론적 시각
지리교육(지리수업) 정의, 지리교육(지리수업) 필요성, 지리교육(지리수업) 내용, 지리교육(...
사이버 문화의 개념, 정의, 특징, 공헌, 사이버 문화의 부정적인 측면, 사이버 문화 기독교 ...
정치학 관련 용어정리, 정의
교회사란 무엇인가 - 교회사의 정의, 교회사의 신학적인 위치, 교회사의 철학적인 요소, 교회...
[의학] 당뇨병의 정의, 원인과 대책
가치관_ 가치관의 개념(정의), 특성(특징), 유형(종류), 변화
일본의 연극 [가부키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