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예상문제
2. 주관식 답
2. 주관식 답
본문내용
山樂水’와 짜임이 같은 한자 성어는 ?
① 家家戶戶
② 此日彼日
③ 非一非再
④ 有口無言
⑤ 同苦同樂
5. 다음 중 문장 구조가 다른 하나는 ?
① 父耕田
② 兒讀書
③ 鳥宿林
④ 母愛我
⑤ 父生我
6. 다음 한자들을 자전(字典)에서 찾고자 할 때, ‘心’ 부수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은 ?
① 億
② 愛
③ 思
④ 情
⑤ 快
7. 다음 문장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
恩 如 海
① 父母
② 兄弟
③ 君王
④ 校長
⑤ 婦人
8.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
① 人情(인성)
② 勞苦(수고)
③ 句讀(구독)
④ 讀破(독파)
⑤ 恩惠(은해)
9. 한자어의 해석 순서가 다른 하나는 ?
① 我登山
② 白花開
③ 人有情
④ 兒讀書
⑤ 恩如海
10. □ 안에 한자를 넣어 한자어를 만들 때, 어울리지 않는 것은 ?
精 + □
① 讀
② 身
③ 通
④ 力
⑤ 氣
(11~13) 다음을 보고 답하시오.
虎死留( )A 人死留( )
11. 보기의 ( ) 안에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
① 名, 皮
② 皮, 名
③ 名, 名
④ 皮, 皮
12. 위의 A에 들어갈 토로 알맞은 것은 ?
① 은
② 이
③ 요
④ 이나
13. 위의 문장에서 쓰인 수사법은 ?
① 대구법
② 과장법
③ 은유법
④ 직유법
14. 다음 중 부수가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習 - 羽
② 于 - 十
③ 吾 - 口
④ 千 - 十
15. ‘日入於西方’에서, ‘方’의 뜻은 ?
① 네모
② 방위
③ 바야흐로
④ 모나다
16. ‘日入於西方’에서, 찾을 수 없는 성분은 ?
① 주어
② 서술어
③ 보어
④ 목적어
17. 다음 중 ‘吾’와 같은 뜻의 한자가 아닌 것은 ?
① 余
② 我
③ 予
④ 汝
18. 다음 중 부수가 다른 하나는 ?
① 五
② 里
③ 井
④ 于
19. ‘우물 안 개구리’란 우리 속담과 의미가 같은 성어는 ?
① 坐井觀天
② 吾鼻三尺
③ 食後景
④ 草綠同色
20. ‘無足之言’에서 ‘足’과 그 쓰임이 같은 것은 ?
① 滿足
② 充足
③ 不足
④ 手足
21. 다음 중 ‘觀’과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
① 主
② 客
③ 綠
④ 光
22.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성어는 ?
이름은 달라도 성질이나 내용은 같다는 뜻
① 草綠同色
② 坐井觀天
③ 吾鼻三尺
④ 三歲之習
23. ‘無足之言 飛于千里’에서 ‘飛’와 의미상 통하는 한자는 ?
① 綠
② 落
③ 觀
④ 至
24. 1인칭 대명사가 아닌 것은 ?
① 我
② 彼
③ 吾
④ 余
25. 다음 중 ‘留’와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
① 尺
② 宿
③ 意
④ 學
26.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
① 坐井
② 登山
③ 無足
④ 觀天
27. 다음 중 ‘習’과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
① 性
② 字
③ 學
④ 井
28. 다음 중 ‘깨끗함’을 나타내는 한자어는 ?
① 到達
② 明白
③ 白日
④ 潔白
⑤ 白露
29. 다음 중 서로 관계가 없는 한자어 하나는 ?
① 元日
② 端午
③ 省墓
④ 寒食
⑤ 秋夕
30.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한자가 잘못 쓰인 것은 ?
① 성실한 마음으로 일에 임하자. - 成實
② 친구 간의 정을 우정이라 한다. - 友情
③ 나라의 흥망이 우리 손에 달렸다. - 興亡
④ 일요일마다 등산을 한다. - 登山
⑤ 늦가을을 만추라고 한다. - 晩秋
31. 다음 한자와 잘 어울리는 한자는 ?
愛, 家, 立, 亡, 歌, 花
① 人
② 學
③ 國
④ 加
⑤ 民
(핵심예상문제 정답)
1. ②
樂山(요산)
2. ②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3. ③
戶(호) 집
皮(피) 가죽
白(백) 희다
色(색) 색깔
4. ⑤
② 이 날 저 날로 미루다.
⑤ 고통을 함께하고 즐거움을 함께하다.
5. ③
①,②,④,⑤ : 주술목 구조
③ : 주술보 구조
6. ①
億(人, 13)
7. ①
‘은혜가 바다와 같다.’
勤(근) : 부지런하다
8. ④
讀┌(독) : 읽다
└(두) : 귀절
9. ②
白花開 : 흰 꽃이 피었다.
10. ②
11. ②
12. ③
13. ①
14. ②
15. ②
16. ④
17. ④
吾 : 1인칭 대명사 = 余, 我, 予
汝 : 2인칭 대명사
18. ②
五, 于, 井의 부수는 ‘二’
里는 제부수한자
19. ①
坐井觀天(좌정관천) : 우물에 앉아 하늘을 본다.
20. ④
無足之言 ; 발 없는 말.
足 발 : 手足
넉넉하다 : 滿足, 充足, 不足
21. ③
① 主觀(주관) ② 客觀(객관)
④ 觀光(관광)
22. ①
草綠同色(초록동색) : 풀빛과 녹색은 같은 색.
飛于千里 : 천리까지 날아간다.
至 : 이르르다.
23. ④
24. ②
1인칭 대명사 : 我, 吾, 余(나)
2인칭 대명사 : 汝(너)
3인칭 대명사 : 彼(저, 그)
25. ①
② 留宿(유숙) ③ 留意(유의)
④ 留學(유학)
26. ③
① 坐/井 ② 登/山
③ 無足 ④ 觀/天
27. ④
① 習性 ② 習字 ③ 學習
28. ④
29. ③
30. ①
31. ③
(주관식 문제)
1. ‘晝’의 상대자를 쓰시오.
2. 다음 ( ) 안에 들어갈 적당한 글자를 쓰라.
┌ 악 : (1)
樂 ├ (2) : 즐겁다
└ (3) : 좋아하다
3. ‘日出於□方’에서 빈 칸에 적당한 한자를 쓰시오.
4. ‘愛人如己’를 우리말로 새 길 때 , 가장 나중에 새겨지는 한자를 쓰시오.
5. 다음 문장의 풀이 순서를 쓰시오.
恩 如 海
( ) ( ) ( )
6.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臣 □ 君 - 신하가 임금을 섬기다.
7. 다음 □ 에 들어갈 첩어를 쓰라.
形形□□ : 가지 각색
8.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라.
적을 정당하게 평가하는 것보다 더 큰 이익은 없다.
9.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은혜를 모르는 자식을 두기란, 독사에 물리는 것보다 더 고통스럽다.
10. ‘日入則爲□’의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11. ‘日出於東方’에서 서술어를 쓰시오.
12. 다음를 보고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라.
山靑 : 주술 관계
着服 : ( ) 관계
13. 다음의 한자와 반대의 뜻을 가진 한자를 쓰라.
公
(주관식 답)
1. 夜
2. ⑴음 ⑵ 락 ⑶ 요
3. 東
4. 如
5. ⑴⑶⑵
6. 事
7. 色色
8. 正當
9. 恩惠
10. 夜
11. 出
12. 술목
13. 私
① 家家戶戶
② 此日彼日
③ 非一非再
④ 有口無言
⑤ 同苦同樂
5. 다음 중 문장 구조가 다른 하나는 ?
① 父耕田
② 兒讀書
③ 鳥宿林
④ 母愛我
⑤ 父生我
6. 다음 한자들을 자전(字典)에서 찾고자 할 때, ‘心’ 부수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은 ?
① 億
② 愛
③ 思
④ 情
⑤ 快
7. 다음 문장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
恩 如 海
① 父母
② 兄弟
③ 君王
④ 校長
⑤ 婦人
8.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
① 人情(인성)
② 勞苦(수고)
③ 句讀(구독)
④ 讀破(독파)
⑤ 恩惠(은해)
9. 한자어의 해석 순서가 다른 하나는 ?
① 我登山
② 白花開
③ 人有情
④ 兒讀書
⑤ 恩如海
10. □ 안에 한자를 넣어 한자어를 만들 때, 어울리지 않는 것은 ?
精 + □
① 讀
② 身
③ 通
④ 力
⑤ 氣
(11~13) 다음을 보고 답하시오.
虎死留( )A 人死留( )
11. 보기의 ( ) 안에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
① 名, 皮
② 皮, 名
③ 名, 名
④ 皮, 皮
12. 위의 A에 들어갈 토로 알맞은 것은 ?
① 은
② 이
③ 요
④ 이나
13. 위의 문장에서 쓰인 수사법은 ?
① 대구법
② 과장법
③ 은유법
④ 직유법
14. 다음 중 부수가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習 - 羽
② 于 - 十
③ 吾 - 口
④ 千 - 十
15. ‘日入於西方’에서, ‘方’의 뜻은 ?
① 네모
② 방위
③ 바야흐로
④ 모나다
16. ‘日入於西方’에서, 찾을 수 없는 성분은 ?
① 주어
② 서술어
③ 보어
④ 목적어
17. 다음 중 ‘吾’와 같은 뜻의 한자가 아닌 것은 ?
① 余
② 我
③ 予
④ 汝
18. 다음 중 부수가 다른 하나는 ?
① 五
② 里
③ 井
④ 于
19. ‘우물 안 개구리’란 우리 속담과 의미가 같은 성어는 ?
① 坐井觀天
② 吾鼻三尺
③ 食後景
④ 草綠同色
20. ‘無足之言’에서 ‘足’과 그 쓰임이 같은 것은 ?
① 滿足
② 充足
③ 不足
④ 手足
21. 다음 중 ‘觀’과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
① 主
② 客
③ 綠
④ 光
22.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성어는 ?
이름은 달라도 성질이나 내용은 같다는 뜻
① 草綠同色
② 坐井觀天
③ 吾鼻三尺
④ 三歲之習
23. ‘無足之言 飛于千里’에서 ‘飛’와 의미상 통하는 한자는 ?
① 綠
② 落
③ 觀
④ 至
24. 1인칭 대명사가 아닌 것은 ?
① 我
② 彼
③ 吾
④ 余
25. 다음 중 ‘留’와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
① 尺
② 宿
③ 意
④ 學
26.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
① 坐井
② 登山
③ 無足
④ 觀天
27. 다음 중 ‘習’과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
① 性
② 字
③ 學
④ 井
28. 다음 중 ‘깨끗함’을 나타내는 한자어는 ?
① 到達
② 明白
③ 白日
④ 潔白
⑤ 白露
29. 다음 중 서로 관계가 없는 한자어 하나는 ?
① 元日
② 端午
③ 省墓
④ 寒食
⑤ 秋夕
30.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한자가 잘못 쓰인 것은 ?
① 성실한 마음으로 일에 임하자. - 成實
② 친구 간의 정을 우정이라 한다. - 友情
③ 나라의 흥망이 우리 손에 달렸다. - 興亡
④ 일요일마다 등산을 한다. - 登山
⑤ 늦가을을 만추라고 한다. - 晩秋
31. 다음 한자와 잘 어울리는 한자는 ?
愛, 家, 立, 亡, 歌, 花
① 人
② 學
③ 國
④ 加
⑤ 民
(핵심예상문제 정답)
1. ②
樂山(요산)
2. ②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3. ③
戶(호) 집
皮(피) 가죽
白(백) 희다
色(색) 색깔
4. ⑤
② 이 날 저 날로 미루다.
⑤ 고통을 함께하고 즐거움을 함께하다.
5. ③
①,②,④,⑤ : 주술목 구조
③ : 주술보 구조
6. ①
億(人, 13)
7. ①
‘은혜가 바다와 같다.’
勤(근) : 부지런하다
8. ④
讀┌(독) : 읽다
└(두) : 귀절
9. ②
白花開 : 흰 꽃이 피었다.
10. ②
11. ②
12. ③
13. ①
14. ②
15. ②
16. ④
17. ④
吾 : 1인칭 대명사 = 余, 我, 予
汝 : 2인칭 대명사
18. ②
五, 于, 井의 부수는 ‘二’
里는 제부수한자
19. ①
坐井觀天(좌정관천) : 우물에 앉아 하늘을 본다.
20. ④
無足之言 ; 발 없는 말.
足 발 : 手足
넉넉하다 : 滿足, 充足, 不足
21. ③
① 主觀(주관) ② 客觀(객관)
④ 觀光(관광)
22. ①
草綠同色(초록동색) : 풀빛과 녹색은 같은 색.
飛于千里 : 천리까지 날아간다.
至 : 이르르다.
23. ④
24. ②
1인칭 대명사 : 我, 吾, 余(나)
2인칭 대명사 : 汝(너)
3인칭 대명사 : 彼(저, 그)
25. ①
② 留宿(유숙) ③ 留意(유의)
④ 留學(유학)
26. ③
① 坐/井 ② 登/山
③ 無足 ④ 觀/天
27. ④
① 習性 ② 習字 ③ 學習
28. ④
29. ③
30. ①
31. ③
(주관식 문제)
1. ‘晝’의 상대자를 쓰시오.
2. 다음 ( ) 안에 들어갈 적당한 글자를 쓰라.
┌ 악 : (1)
樂 ├ (2) : 즐겁다
└ (3) : 좋아하다
3. ‘日出於□方’에서 빈 칸에 적당한 한자를 쓰시오.
4. ‘愛人如己’를 우리말로 새 길 때 , 가장 나중에 새겨지는 한자를 쓰시오.
5. 다음 문장의 풀이 순서를 쓰시오.
恩 如 海
( ) ( ) ( )
6.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臣 □ 君 - 신하가 임금을 섬기다.
7. 다음 □ 에 들어갈 첩어를 쓰라.
形形□□ : 가지 각색
8.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라.
적을 정당하게 평가하는 것보다 더 큰 이익은 없다.
9.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은혜를 모르는 자식을 두기란, 독사에 물리는 것보다 더 고통스럽다.
10. ‘日入則爲□’의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11. ‘日出於東方’에서 서술어를 쓰시오.
12. 다음를 보고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라.
山靑 : 주술 관계
着服 : ( ) 관계
13. 다음의 한자와 반대의 뜻을 가진 한자를 쓰라.
公
(주관식 답)
1. 夜
2. ⑴음 ⑵ 락 ⑶ 요
3. 東
4. 如
5. ⑴⑶⑵
6. 事
7. 色色
8. 正當
9. 恩惠
10. 夜
11. 出
12. 술목
13. 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