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한문 3-07 예상 모의고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간고사 제2회

2. 중간고사 제2회 정답

본문내용

③ 배우다 (예)
④ 기쁘다 (열)
⑤ 만들다 (조)
11. 다음 문장의 주제로 적당한 것은?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① 忠
② 孝
③ 信
④ 愛
⑤ 勇
12.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 한자어는?
죽어서까지 은혜를 잊지 않고 갚다.
① 結草報恩
② 先公後私
③ 明若觀火
④ 首丘初心
⑤ 外華內貧
13. 한자의 음이 서로 다른 것은?
① 勸 … 卷
② 決 … 結
③ 第 … 制
④ 題 … 材
⑤ 展 … 全
14. 다음 한자들의 공통점은?
酒, 取, 視, 化, 和
① 뜻이 같다.
② 음이 같다.
③ 총획수가 같다.
④ 부수의 위치가 같다.
⑤ 부수를 제외한 획수가 같다.
15. ‘늘 글을 읽는다’는 뜻을 지닌 한자 성어는?
① 手不釋卷
② 溫故知新
③ 日就月將
④ 靑雲之志
⑤ 理想追求
16. 다음에서 밑줄 친 한자의 뜻이 서로 통하는 것은?
溫故知新
① 開
② 益
③ 習
④ 讀
⑤ 釋
17. ‘日就月將’의 풀이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해가 뜨면 달이 진다.
② 해가 지면 달이 뜬다.
③ 해와 달은 하늘에 있다.
④ 날이 모여 달이 된다.
⑤ 날로 달로 진보한다.
18. ‘품은 뜻이 원대함’이라는 한자어를 쓰고자 할 때, □□에 알맞은 것은?
□□千里
① 抱負
② 渴求
③ 熱誠
④ 志在
⑤ 忍若
19. ‘將’과 결합한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① 將星
② 明將
③ 將次
④ 將來
⑤ 將兵
20. 다음과 같은 짜임을 지닌 한자성어는?
人材養成: 인재를 양성함.
① 自我省察
② 全人敎育
③ 他山之石
④ 手不釋卷
⑤ 日就月將
21. 다음 한자어의 음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獨立運動 - 독립운동
② 民族精氣 - 민족정신
③ 一片丹心 - 일편단심
④ 送舊迎新 - 송구영신
⑤ 螢窓雪案 - 형창설안
22. ‘목적어+서술어’의 4자 성어가 아닌 것은?
① 白衣民族
② 事故防止
③ 綠地保存
④ 骨材採取
⑤ 休紙收去
23. ‘生命重視’에서의 ‘重’의 뜻과 다르게 쓰이고 있는 것은?
① 重要
② 重生
③ 重事
④ 重大
⑤ 重位
24. 서로 비슷한 말끼리 이루어진 한자어는?
① 道路
② 吉兆
③ 看病
④ 速度
⑤ 親和
25. 한자어의 해석이 어색한 것은?
① 服藥 : 옷과 약.
② 致富 : 부를 이루다.
③ 過信 : 지나치게 믿다.
④ 甘草 : 단맛이 나는 풀
⑤ 殺傷 : 죽이고 다치게 하다.
26. 문장 속의 한자어가 잘못 쓰인 것은?
① 어제는 우리 아버지의 月給날이어서 우리 식구가 외식을 했다.
② 우리 한문 선생님은 매우 嚴格하시다.
③ 내 친구 지선이가 首席으로 졸업을 하게 되겠지.
④ 그는 국가 대표 有道 선수였다.
⑤ 저번의 극기 훈련에서는 ‘歡迎의 밤’행사가 재미있었어.
27. ‘平’과 뜻이 비슷한 글자는?
① 均
② 和
③ 登
④ 統
⑤ 就
28. 다음 중, 한자어의 음과 뜻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毛 : 털모
② 永 : 얼음 빙
③ 崇 : 높이다 숭
④ 守 : 지키다 수
⑤ 例 : 본보기 례
29. 다음 밑줄 친 한자의 뜻으로 바른 것은?
學 如 逆 水
① ~와 같다.
② ~을 위하다.
③ ~만 못하다.
④ ~로 가다.
⑤ ~을 보다.
30. 다음 시조의 주제를 고사 성어로 나타낸 것 중 가장 알맞은 것은?
오 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 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재>
① 麥秀之歎
② 風樹之歎
③ 亡羊之歎
④ 望雲之情
⑤ 先見之明
31.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한자는?
□業 必日新
人不□ 不知道
□而時習之 不亦說乎
① 敎
② 學
③ 新
④ 親
⑤ 進
32. 다음 주어진 한자와 관계 깊은 것은?
新聞, 放送, 記事, 廣告
① 科學
② 政治
③ 言論
④ 經濟
⑤ 敎育
33. 다음 밑줄 친 한자어 중 잘못 쓰여진 것을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
우리에게는 人門을 尊重하고 自然을 아끼고 自身과 共同體의 일을 自主的으로 실천하려는 精神이 있다.
34. 다음 □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初□不變 意□堅固
35. 다음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日 就 □ □
날로 나아가고 달로 나아감(나날이 발전함)
(중간고사 제2회 정답)
1. ①
2. ⑤
3. ④
4. ③
5. ⑤
6. ④
7. ③
8. ③
9. ②
10. ④
11. ②
12. ①
13. ④
14. ④
15. ①
16. ③
17. ⑤
18. ④
19. ②
20. ③
21. ②
22. ①
23. ②
24. ①
25. ①
26. ④
27. ①
28. ②
29. ①
30. ①
31. ②
32. ③
33. 人間
34. 志
35. 月將

키워드

한자,   한자어,   독음,   부수,   제부수,   짜임,   쓰임,   풀이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2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