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자 풀이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4. 해답과 풀이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4.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음의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세화여중, 신창)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것을 ‘送( )迎新’이라고 한다.
① 新② 舊
③ 祝④ 賀
60. ‘感’과 어울려 쓰기에 어색한 한자는? (은광여중, 경성)
① 所② 多
③ 下④ 動
61. 다음 중 한자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세륜, 광장)
① 姓名 : 성과 이름.
② 感謝 : 고맙게 여김.
③ 問安 : 웃어른께 안부를 여쭘.
④ 感天 : 느낌이 많음.
62.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이수, 공릉)
① 安否② 送舊
③ 問安④ 感天
63. ‘安’과 어울려 쓰기에 어색한 한자는? (석촌, 구의)
① 便② 心
③ 目④ 住
64. 다음 중 낱말의 앞에 쓰일 때 본래의 음이 변하는 글자는?
① 賀② 禮 (일신여중, 광남)
③ 誠④ 迎
객관식 기출문제
1. ③
勤(근) : 부지런하다
敎(교) : 가르치다
校(교) : 학교
2. ②
3. ④
① 11획 ② 11획 ③ 13획 ⑤ 12획
4. ④
한자의 짜임
① 상형 ② 지사 ③ 회의 ④ 형성 ⑤ 지사
5. ③
書 : 원본참조
6. ①
② 주술, ③, ④, ⑤ 수식 관계
7. ④
8. ⑤
우리말 어순과 같은 순서로 해석하는 한자어를 찾을 것.
9. ①
상형 :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10. ③
글자의 모양을 잘 살펴보고 독음해 볼 것.
귀가 : 집에 돌아옴
11. ④
12. ③
① 安(편안할 안) ② 否(아닐 부) ③ 迎(맞을 영) ④ 賀(축하할 하)
13. ④
③ 謝(사례할 사) ④ 感(느낄 감)
14. ①
新(새 신)↔舊(옛 구)
15. ②
賀(축하할 하)
16. ④
送(보낼 송)↔迎(맞을 영)
17. ③
問의 부수는 ‘口’이다.
18. ①
第(제)―차례
飯(반)―밥
育(육)―기르다
19. ③
한자의 짜임
中, 三 : 지사
名 : 회의
20. ④
業(木)
育(肉(月))
第(竹(笠))
21. ②
한자어의 짜임
入 / 學 : 학교에 들어감
22. ②
편할(편)
便
똥, 오줌(변)
23. ①
禮의 부수는 示
※衣의 변형된 부수는
24. ②
주소는 편지의 겉봉에 쓴다.
25. ③
‘貴下’는 받는 이의 이름 밑에 쓴다.
26. ④
송구영신(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연하장에 주로 씀.
27. ④
公衆 : 사회의 여러 사람.
志士 : 기개가 높고 포부가 큰 사람
多事 : 일이 많음
28. ③
‘努’는 형성자임.
29. ③
돌아오다 복
復
다시 부
30. ①
‘태어나다’, ‘스스로 생겨나다’, ‘살아 움직이다’등의 단어와 구별해 보아야 한다.
31. ③
① 19 ② 17 ④ 13 ⑤ 13
32. ③
학교의 시설물이란,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들어 놓은 모든 설비
33. ①
① 주술 관계
34. ②
名門 : 유명한 문벌
35. ④
①②③⑤ : 술보
學校 : 배우는 집(수식)
36. ②
문안에 대한 설명.
37. ①
① 新(새 신) ※ 親(친할 친) ② 姓(성 성) ③ 否(아닐 부)
38. ③
舊의 부수는 ‘’가 아님에 주의할 것.
39. ④
謝, 感, 住는 형성자.
名은 회의자.
40. ①
問安 : 안부를 여쭘.
41. ②
졸업에는 축하 편지가 적당함.
42. ①
43. ②
貴下, 足下는 편지를 받는 이의 이름 밑에 쓰는 말로서 상대편을 높이어
일컫는 말.
44. ④
住所가 없으면 편지가 배달되지 않는다.
45. ①
開 : 열다 개
聞 : 듣다 문
46. ③
한자의 음
校 : 학교 교
敎 : 가르치다 교
47. ④
校, 呼, 飯 : (뜻부분 + 음부분)
名 : (뜻부분 + 뜻부분)
48. ②
業(木) 朝(月)
立(立) 育(肉(月)
時(日)
會(曰)
49. ③
呼名 : 이름을 부르다.
50. ④
한자어의 활용
曾 : 일찌기 증
會 : 모이다 회
各 : 각각 각
名 : 이름 명
末 : 끝 말
未 : 아니다 미
51. ①
② 子 ③ 巾 ④ ⑤ 曰
52. ②
전체와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 관계
53. ③
下校 :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감(술보)
① 수식 ② 주술 ③ 술보 ④ 대등 ⑤ 술목
54. ③
① 학교에 들어가다
②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
④ 학교에서 공부하는 사람
⑤ 학문을 닦는 일
學問 : 지식을 배워서 익힘
55. ②
貴中 : 편지를 받는 쪽의 기관이나 단체 이름 뒤에 써서 상대편을 높이는 말.
56. ③
귀할 귀―貴重
貴
높임말의 접두어―貴下
57. ②
① 편안, 변소 ② 편지, 편안 ③ 편지, 변소 ④ 편안, 대변
편할(편), 소식(편)
便
똥, 오줌(변)
58. ④
편지에서는 일반적으로 안부를 제일 먼저 물음.
59. ②
‘送舊迎新’에 대한 설명.
60. ③
① 所感 ② 多感 ④ 動感
61. ④
感天 : 하늘을 감동시킴.
62. ①
① 安 ↔ 否 ② 送│舊 ③ 問│安 ④ 感│天
63. ③
① 便安 ② 安心 ④ 安住
64. ②
禮(예절 례)
1. ‘入學’과 ‘授業’과 ‘自習’의 짜임을 각각 써 보자. (한영, 예일여중)
2. ‘問安便紙’의 음을 쓰시오. (신암, 신창)
3. ‘주소’를 한자로 쓰시오. (한산, 동국사대부속)
4. ‘新年賀禮’의 음을 쓰시오. (아주, 양정)
5. ‘送舊迎新’의 뜻을 쓰시오. (청담, 영등포)
6. 다음 단어의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 갈 한자를 쓰시오. (언주, 명지여중)
□ 長(학교의 어른), 開□(학교를 열다.)
7. 다음을 축약형의 한자어로 쓰시오. (중동, 상경)
登校 + 下校 → □ □ □
8. ‘산에 오르다’를 한자로 써 보자. (역삼, 명지)
9.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정신여중, 오산)
교문을 나서는 학생들의 표정이 밝다.
10.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오금, 목동)
유명한 문벌 또는 훌륭한 가문 ― □ □
11. 다음에서 밑줄 친 한자어의 상대어를 한자로 쓰시오. (풍납, 상명사대부속)
나는 종례가 끝나자 서둘러 下校를 했다.
12.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쓰시오. (오륜, 방학)
오늘 講堂에서 ‘환경과 인간’에 대한 강연이 있었다.
주관식 기출문제
1. 술보, 술목, 수식
2. 문안 편지
3. 住所
4. 신년 하례
5.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
6. 校
7. 登下校
8. 登山
9. 校門
10. 名門
11. 登校
12. 강당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것을 ‘送( )迎新’이라고 한다.
① 新② 舊
③ 祝④ 賀
60. ‘感’과 어울려 쓰기에 어색한 한자는? (은광여중, 경성)
① 所② 多
③ 下④ 動
61. 다음 중 한자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세륜, 광장)
① 姓名 : 성과 이름.
② 感謝 : 고맙게 여김.
③ 問安 : 웃어른께 안부를 여쭘.
④ 感天 : 느낌이 많음.
62.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이수, 공릉)
① 安否② 送舊
③ 問安④ 感天
63. ‘安’과 어울려 쓰기에 어색한 한자는? (석촌, 구의)
① 便② 心
③ 目④ 住
64. 다음 중 낱말의 앞에 쓰일 때 본래의 음이 변하는 글자는?
① 賀② 禮 (일신여중, 광남)
③ 誠④ 迎
객관식 기출문제
1. ③
勤(근) : 부지런하다
敎(교) : 가르치다
校(교) : 학교
2. ②
3. ④
① 11획 ② 11획 ③ 13획 ⑤ 12획
4. ④
한자의 짜임
① 상형 ② 지사 ③ 회의 ④ 형성 ⑤ 지사
5. ③
書 : 원본참조
6. ①
② 주술, ③, ④, ⑤ 수식 관계
7. ④
8. ⑤
우리말 어순과 같은 순서로 해석하는 한자어를 찾을 것.
9. ①
상형 :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10. ③
글자의 모양을 잘 살펴보고 독음해 볼 것.
귀가 : 집에 돌아옴
11. ④
12. ③
① 安(편안할 안) ② 否(아닐 부) ③ 迎(맞을 영) ④ 賀(축하할 하)
13. ④
③ 謝(사례할 사) ④ 感(느낄 감)
14. ①
新(새 신)↔舊(옛 구)
15. ②
賀(축하할 하)
16. ④
送(보낼 송)↔迎(맞을 영)
17. ③
問의 부수는 ‘口’이다.
18. ①
第(제)―차례
飯(반)―밥
育(육)―기르다
19. ③
한자의 짜임
中, 三 : 지사
名 : 회의
20. ④
業(木)
育(肉(月))
第(竹(笠))
21. ②
한자어의 짜임
入 / 學 : 학교에 들어감
22. ②
편할(편)
便
똥, 오줌(변)
23. ①
禮의 부수는 示
※衣의 변형된 부수는
24. ②
주소는 편지의 겉봉에 쓴다.
25. ③
‘貴下’는 받는 이의 이름 밑에 쓴다.
26. ④
송구영신(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연하장에 주로 씀.
27. ④
公衆 : 사회의 여러 사람.
志士 : 기개가 높고 포부가 큰 사람
多事 : 일이 많음
28. ③
‘努’는 형성자임.
29. ③
돌아오다 복
復
다시 부
30. ①
‘태어나다’, ‘스스로 생겨나다’, ‘살아 움직이다’등의 단어와 구별해 보아야 한다.
31. ③
① 19 ② 17 ④ 13 ⑤ 13
32. ③
학교의 시설물이란,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들어 놓은 모든 설비
33. ①
① 주술 관계
34. ②
名門 : 유명한 문벌
35. ④
①②③⑤ : 술보
學校 : 배우는 집(수식)
36. ②
문안에 대한 설명.
37. ①
① 新(새 신) ※ 親(친할 친) ② 姓(성 성) ③ 否(아닐 부)
38. ③
舊의 부수는 ‘’가 아님에 주의할 것.
39. ④
謝, 感, 住는 형성자.
名은 회의자.
40. ①
問安 : 안부를 여쭘.
41. ②
졸업에는 축하 편지가 적당함.
42. ①
43. ②
貴下, 足下는 편지를 받는 이의 이름 밑에 쓰는 말로서 상대편을 높이어
일컫는 말.
44. ④
住所가 없으면 편지가 배달되지 않는다.
45. ①
開 : 열다 개
聞 : 듣다 문
46. ③
한자의 음
校 : 학교 교
敎 : 가르치다 교
47. ④
校, 呼, 飯 : (뜻부분 + 음부분)
名 : (뜻부분 + 뜻부분)
48. ②
業(木) 朝(月)
立(立) 育(肉(月)
時(日)
會(曰)
49. ③
呼名 : 이름을 부르다.
50. ④
한자어의 활용
曾 : 일찌기 증
會 : 모이다 회
各 : 각각 각
名 : 이름 명
末 : 끝 말
未 : 아니다 미
51. ①
② 子 ③ 巾 ④ ⑤ 曰
52. ②
전체와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 관계
53. ③
下校 :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감(술보)
① 수식 ② 주술 ③ 술보 ④ 대등 ⑤ 술목
54. ③
① 학교에 들어가다
②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
④ 학교에서 공부하는 사람
⑤ 학문을 닦는 일
學問 : 지식을 배워서 익힘
55. ②
貴中 : 편지를 받는 쪽의 기관이나 단체 이름 뒤에 써서 상대편을 높이는 말.
56. ③
귀할 귀―貴重
貴
높임말의 접두어―貴下
57. ②
① 편안, 변소 ② 편지, 편안 ③ 편지, 변소 ④ 편안, 대변
편할(편), 소식(편)
便
똥, 오줌(변)
58. ④
편지에서는 일반적으로 안부를 제일 먼저 물음.
59. ②
‘送舊迎新’에 대한 설명.
60. ③
① 所感 ② 多感 ④ 動感
61. ④
感天 : 하늘을 감동시킴.
62. ①
① 安 ↔ 否 ② 送│舊 ③ 問│安 ④ 感│天
63. ③
① 便安 ② 安心 ④ 安住
64. ②
禮(예절 례)
1. ‘入學’과 ‘授業’과 ‘自習’의 짜임을 각각 써 보자. (한영, 예일여중)
2. ‘問安便紙’의 음을 쓰시오. (신암, 신창)
3. ‘주소’를 한자로 쓰시오. (한산, 동국사대부속)
4. ‘新年賀禮’의 음을 쓰시오. (아주, 양정)
5. ‘送舊迎新’의 뜻을 쓰시오. (청담, 영등포)
6. 다음 단어의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 갈 한자를 쓰시오. (언주, 명지여중)
□ 長(학교의 어른), 開□(학교를 열다.)
7. 다음을 축약형의 한자어로 쓰시오. (중동, 상경)
登校 + 下校 → □ □ □
8. ‘산에 오르다’를 한자로 써 보자. (역삼, 명지)
9.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정신여중, 오산)
교문을 나서는 학생들의 표정이 밝다.
10.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오금, 목동)
유명한 문벌 또는 훌륭한 가문 ― □ □
11. 다음에서 밑줄 친 한자어의 상대어를 한자로 쓰시오. (풍납, 상명사대부속)
나는 종례가 끝나자 서둘러 下校를 했다.
12.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쓰시오. (오륜, 방학)
오늘 講堂에서 ‘환경과 인간’에 대한 강연이 있었다.
주관식 기출문제
1. 술보, 술목, 수식
2. 문안 편지
3. 住所
4. 신년 하례
5.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
6. 校
7. 登下校
8. 登山
9. 校門
10. 名門
11. 登校
12. 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