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의중간고사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河
③ 誠 - 姓④ 鳥 - 島
48. 다음 중 한자어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晴雨 : 날이 갬과 비가 내림.
② 生活 : 죽을 사람을 살려 줌.
③ 見本 : 본보기로 보여 주는 상품.
④ 安否 : 편안함과 편안하지 아니함.
49. 다음 중 ‘讀’과 어울려 쓸 수 없는 한자는?
① 通② 速
③ 精④ 養
50. ‘雲’과 한자의 형성 원리가 같지 않은 것은?
① 問② 賀
③ 高④ 精
51. 다음 아래의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당한 것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것을
‘( )舊迎新’이라고 한다.
① 送② 耕
③ 省④ 記
52. 다음 중 부수가 잘못 연결된 것은?
① 省 - 目② 暑- 日
③ 風 - 風④ 聞 - 門
53. ‘갠 하늘’을 뜻하는 한자어는?
① 白雲② 晴天
③ 風雲④ 寒署
54.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① 品貴(품귀)② 學業(수업)
③ 助長(고장)④ 他心(작심)
55. 한자어의 짜임 표시가 잘못된 것은?
① 始 ↔ 終② 國 ∥ 立
③ 敎 育 ④ 白 │ 眉
56. ‘呼名’과 짜임이 같은 것은?
① 人造② 知音
③ 黑白④ 朝會
57. 한자어의 짜임이 같은 것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① 樂山 … 授業② 入學 … 登校
③ 彼此 … 靑雲④ 父傅 … 時急
58. 회의자에 해당하는 것은?
① 行② 生
③ 課④ 答
⑤ 女
59. ‘夫’의 쓰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 人夫② 大丈夫
③ 匹夫④ 夫婦
⑤ 農夫
60. ‘父’자를 활용하여 한자어를 만들 때, ㉠, ㉡에 차례로 맞는 것은?
( ㉠ )父 - 父 - 父( ㉡ )
① 伯, 分② 工, 母
③ 叔, 上④ 伯, 子
⑤ 農, 母
61. 다음 한자의 부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夫 - 夫② 弟 - 弓
③ 族 - 矢④ 母 - 母
⑤ 祖 - 且
62. 뜻이 비슷한 한자끼리 연결된 것은?
① 夫 - 父② 男 - 兄
③ 妻 - 婦④ 母 - 女
⑤ 家 - 族
63.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① 父母② 子女
③ 妻子④ 兄弟
⑤ 子婦
64. ‘집의 정문’을 뜻하는 한자어는?
① 南門② 大門
③ 小門④ 閉門
⑤ 後門
65. ‘服’의 쓰임이 다른 하나는?
① 韓服② 洋服
③ 心腹④ 校服
⑤ 冬服
66. 한자의 총획이 바른 것은?
① 飛 - 9② 語 - 13
③ 國 - 12④ 船 - 10
⑤ 登 - 13
67. 다음 중 ‘便’자의 음이 다른 하나는?
① 大便② 便安
③ 便紙④ 便利
68. 다음 중 ‘感’과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① 動② 所
③ 天④ 住
69. 다음 중 한자의 음을 틀리게 연결한 것은?
① 賀 - 가② 住 - 주
③ 姓 - 성④ 送 - 송
70. ‘讀破’의 뜻으로 알맞는 것은?
① 책을 험하게 취급함.
② 책을 끝까지 다 읽어냄.
③ 책을 읽고서 독후감을 씀.
④ 책을 읽고 나서 남에게 줌.
71. 다음 아래는 무엇을 설명한 말인가?
바쁜 틈을 타서 어렵게 공부함.
① 手不釋卷② 熱河日記
③ 至誠感天④ 晝耕夜讀
72. ‘手不釋卷’의 뜻은?
① 언제나 글을 읽음.
② 책을 읽지는 않고 들고만 다님.
③ 맨손으로 책을 들고 다니지 않음.
④ 책을 묶은 끈이 풀어지지 않게 조심함.
73. 다음 중 ‘不’의 음이 다른 하나는?
① 不動② 不知
③ 不讀書④ 不學
74. 다음 중 ‘讀’과 같은 독서법은?
① 多讀② 速讀
③ 目讀 ④ 精讀
75.다음의 □ 안에 공통으로 들어 갈 숫자는?
唯□無二 始終如□
① 一② 二
③ 三④ 十
76. 다음 성어의 □ 안에 들어 갈 한자가 맞는 것은?
① 東西□北 → 男② 白□視 → 安
③ 意□揚揚 → 氣④ 紅□點 → 日
77. 성어의 풀이 순서가 다른 하나는?
① 樂山樂水② 溫故知新
③ 非一非再④ 國泰民安
78. 다음 중 상대자로 이루어진 성어는?
① 明明白白② 是是非非
③ 句句節節④ 正正堂堂
79. 성어의 속뜻이 틀린 것은?
① 三日天下 : 얼마 가지 못하는 권력
② 作心三日 : 결심이 오래 못 감
③ 非一非再 : 오직 하나이지 둘도 아님
④ 他山之石 : 다른 사람의 부족함도 자기 수양에 도움이 됨
80. 중학교의 ‘敎科’가 아닌 것은?
① 國語② 數學
③ 自然④ 漢文
⑤ 英語
81. 새김 순서가 우리말과 같은 것은?
① 學生② 出席
③ 下校④ 樂山
⑤ 入學
82.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바르게 옮겨 쓴 것은?
① 교실 수업 …………………………… 手業
② 야구의 명문 ………………………… 明門
③ 사제간의 정이 도탑다. …………… 師第
④ 등교 길에 친구들과 인사 ………… 登校
⑤ 우리 학교는 공립 학교이다. ……… 工立
83. 한자어의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敎室(교실)② 弟子(첩자)
③ 圖書(도서)④ 講堂(강당)
⑤ 應答(응답)
84. ‘여러 사람이 모여서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議案② 改議
③ 動議④ 表決
⑤ 會議
85. 부수 글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父, 瓦② 生, 居
③ 名, 入④ 音, 母
⑤ 齒, 育
86. 한자어의 짜임 표시가 바른 것은?
① 技 ↔ 術② 問 = 答
③ 樂 │ 園④ 數 學
⑤ 開 ↔ 會
87. ‘會議’에 사용되는 한자어가 아닌 것은?
① 再請② 發言
③ 討議④ 授業
⑤ 表決
모의중간고사
1. ④ 34. ② 67. ①
2. ② 35. ④ 68. ④
3. ② 36. ③ 69. ①
4. ⑤ 37. ① 70. ②
5. ④ 38. ⑤ 71. ④
6. ② 39. ② 72. ①
7. ① 40. ① 73. ④
8. ③ 41. ② 74. ③
9. ④ 42. ④ 75. ①
10. ① 43. ③ 76. ③
11. ② 44. ② 77. ④
12. ④ 45. ① 78. ②
13. ④ 46. ③ 79. ③
14. ① 47. ④ 80. ③
15. ③ 48. ② 81. ①
16. ② 49. ④ 82. ④
17. ④ 50. ③ 83. ②
18. ① 51. ① 84. ⑤
19. ③ 52. ④ 85. ①
20. ④ 53. ② 86. ④
21. ② 54. ① 87. ④
22. ① 55. ④
23. ④ 56. ②
24. ② 57. ③
25. ① 58. ①
26. ④ 59. ④
27. ② 60. ④
28. ④ 61. ②
29. ③ 62. ③
30. ③ 63. ⑤
31. ② 64. ②
32. ② 65. ③
33. ④ 66. ①
③ 誠 - 姓④ 鳥 - 島
48. 다음 중 한자어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晴雨 : 날이 갬과 비가 내림.
② 生活 : 죽을 사람을 살려 줌.
③ 見本 : 본보기로 보여 주는 상품.
④ 安否 : 편안함과 편안하지 아니함.
49. 다음 중 ‘讀’과 어울려 쓸 수 없는 한자는?
① 通② 速
③ 精④ 養
50. ‘雲’과 한자의 형성 원리가 같지 않은 것은?
① 問② 賀
③ 高④ 精
51. 다음 아래의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당한 것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것을
‘( )舊迎新’이라고 한다.
① 送② 耕
③ 省④ 記
52. 다음 중 부수가 잘못 연결된 것은?
① 省 - 目② 暑- 日
③ 風 - 風④ 聞 - 門
53. ‘갠 하늘’을 뜻하는 한자어는?
① 白雲② 晴天
③ 風雲④ 寒署
54.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① 品貴(품귀)② 學業(수업)
③ 助長(고장)④ 他心(작심)
55. 한자어의 짜임 표시가 잘못된 것은?
① 始 ↔ 終② 國 ∥ 立
③ 敎 育 ④ 白 │ 眉
56. ‘呼名’과 짜임이 같은 것은?
① 人造② 知音
③ 黑白④ 朝會
57. 한자어의 짜임이 같은 것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① 樂山 … 授業② 入學 … 登校
③ 彼此 … 靑雲④ 父傅 … 時急
58. 회의자에 해당하는 것은?
① 行② 生
③ 課④ 答
⑤ 女
59. ‘夫’의 쓰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 人夫② 大丈夫
③ 匹夫④ 夫婦
⑤ 農夫
60. ‘父’자를 활용하여 한자어를 만들 때, ㉠, ㉡에 차례로 맞는 것은?
( ㉠ )父 - 父 - 父( ㉡ )
① 伯, 分② 工, 母
③ 叔, 上④ 伯, 子
⑤ 農, 母
61. 다음 한자의 부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夫 - 夫② 弟 - 弓
③ 族 - 矢④ 母 - 母
⑤ 祖 - 且
62. 뜻이 비슷한 한자끼리 연결된 것은?
① 夫 - 父② 男 - 兄
③ 妻 - 婦④ 母 - 女
⑤ 家 - 族
63.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① 父母② 子女
③ 妻子④ 兄弟
⑤ 子婦
64. ‘집의 정문’을 뜻하는 한자어는?
① 南門② 大門
③ 小門④ 閉門
⑤ 後門
65. ‘服’의 쓰임이 다른 하나는?
① 韓服② 洋服
③ 心腹④ 校服
⑤ 冬服
66. 한자의 총획이 바른 것은?
① 飛 - 9② 語 - 13
③ 國 - 12④ 船 - 10
⑤ 登 - 13
67. 다음 중 ‘便’자의 음이 다른 하나는?
① 大便② 便安
③ 便紙④ 便利
68. 다음 중 ‘感’과 어울려 쓸 수 없는 것은?
① 動② 所
③ 天④ 住
69. 다음 중 한자의 음을 틀리게 연결한 것은?
① 賀 - 가② 住 - 주
③ 姓 - 성④ 送 - 송
70. ‘讀破’의 뜻으로 알맞는 것은?
① 책을 험하게 취급함.
② 책을 끝까지 다 읽어냄.
③ 책을 읽고서 독후감을 씀.
④ 책을 읽고 나서 남에게 줌.
71. 다음 아래는 무엇을 설명한 말인가?
바쁜 틈을 타서 어렵게 공부함.
① 手不釋卷② 熱河日記
③ 至誠感天④ 晝耕夜讀
72. ‘手不釋卷’의 뜻은?
① 언제나 글을 읽음.
② 책을 읽지는 않고 들고만 다님.
③ 맨손으로 책을 들고 다니지 않음.
④ 책을 묶은 끈이 풀어지지 않게 조심함.
73. 다음 중 ‘不’의 음이 다른 하나는?
① 不動② 不知
③ 不讀書④ 不學
74. 다음 중 ‘讀’과 같은 독서법은?
① 多讀② 速讀
③ 目讀 ④ 精讀
75.다음의 □ 안에 공통으로 들어 갈 숫자는?
唯□無二 始終如□
① 一② 二
③ 三④ 十
76. 다음 성어의 □ 안에 들어 갈 한자가 맞는 것은?
① 東西□北 → 男② 白□視 → 安
③ 意□揚揚 → 氣④ 紅□點 → 日
77. 성어의 풀이 순서가 다른 하나는?
① 樂山樂水② 溫故知新
③ 非一非再④ 國泰民安
78. 다음 중 상대자로 이루어진 성어는?
① 明明白白② 是是非非
③ 句句節節④ 正正堂堂
79. 성어의 속뜻이 틀린 것은?
① 三日天下 : 얼마 가지 못하는 권력
② 作心三日 : 결심이 오래 못 감
③ 非一非再 : 오직 하나이지 둘도 아님
④ 他山之石 : 다른 사람의 부족함도 자기 수양에 도움이 됨
80. 중학교의 ‘敎科’가 아닌 것은?
① 國語② 數學
③ 自然④ 漢文
⑤ 英語
81. 새김 순서가 우리말과 같은 것은?
① 學生② 出席
③ 下校④ 樂山
⑤ 入學
82.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바르게 옮겨 쓴 것은?
① 교실 수업 …………………………… 手業
② 야구의 명문 ………………………… 明門
③ 사제간의 정이 도탑다. …………… 師第
④ 등교 길에 친구들과 인사 ………… 登校
⑤ 우리 학교는 공립 학교이다. ……… 工立
83. 한자어의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敎室(교실)② 弟子(첩자)
③ 圖書(도서)④ 講堂(강당)
⑤ 應答(응답)
84. ‘여러 사람이 모여서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議案② 改議
③ 動議④ 表決
⑤ 會議
85. 부수 글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父, 瓦② 生, 居
③ 名, 入④ 音, 母
⑤ 齒, 育
86. 한자어의 짜임 표시가 바른 것은?
① 技 ↔ 術② 問 = 答
③ 樂 │ 園④ 數 學
⑤ 開 ↔ 會
87. ‘會議’에 사용되는 한자어가 아닌 것은?
① 再請② 發言
③ 討議④ 授業
⑤ 表決
모의중간고사
1. ④ 34. ② 67. ①
2. ② 35. ④ 68. ④
3. ② 36. ③ 69. ①
4. ⑤ 37. ① 70. ②
5. ④ 38. ⑤ 71. ④
6. ② 39. ② 72. ①
7. ① 40. ① 73. ④
8. ③ 41. ② 74. ③
9. ④ 42. ④ 75. ①
10. ① 43. ③ 76. ③
11. ② 44. ② 77. ④
12. ④ 45. ① 78. ②
13. ④ 46. ③ 79. ③
14. ① 47. ④ 80. ③
15. ③ 48. ② 81. ①
16. ② 49. ④ 82. ④
17. ④ 50. ③ 83. ②
18. ① 51. ① 84. ⑤
19. ③ 52. ④ 85. ①
20. ④ 53. ② 86. ④
21. ② 54. ① 87. ④
22. ① 55. ④
23. ④ 56. ②
24. ② 57. ③
25. ① 58. ①
26. ④ 59. ④
27. ② 60. ④
28. ④ 61. ②
29. ③ 62. ③
30. ③ 63. ⑤
31. ② 64. ②
32. ② 65. ③
33. ④ 66.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