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3. 주관식 기출문제
4.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3. 주관식 기출문제
4.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③ 余④ 已
26. 다음 아래의 밑줄친 한자 대신 쓸 수 있는 것은 ? (한양, 방배)
佳 花 滿 開
① 發② 落
③ 登④ 來
27. ‘霜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명지, 한영)
① 음은 ‘상엽’이다.② ‘단풍’을 의미한다.
③ 가을에 피는 꽃의 총칭이다.④ ‘서리 맞은 잎’이라는 뜻이다.
28. ‘滿’의 부수는 ? (광명, 대치)
① 入② 水
③ 艸④ 同
29.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 (상일여, 정신여)
① 泰山 : 진산② 草綠 : 초록
③ 風波 : 풍피④ 報道 : 도보
⑤ 報恩 : 보사
30. ‘花’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한자는 ? (명지여, 이수)
① 林② 露
③ 雨④ 男
⑤ 風
31. 한자의 부수의 위치가 다른 하나는 ? (광명북, 대청)
① 泰② 露
③ 無④ 恩
⑤ 意
32. 다음 문장에서 한자어가 잘못 쓰인 것은 ? (한산, 풍납여)
① 내가 다니던 초등 학교는 山村에 있었다.
② 그는 내 생명의 恩人이다.
③ 어제는 태풍으로 인하여 波高가 심했다.
④ 여름에 너무 霜出이 심한 옷을 입는 것은 예의에 벗어난다.
⑤ 저 언덕이 비행기가 落下한 곳이다.
33. ‘落’의 쓰임이 다른 하나는 ? (목일, 장충)
① 下落② 落葉
③ 村落④ 落花
⑤ 落水
34. 한자의 뜻이 바른 것은 ? (성내, 당산)
① 思 : 은혜② 綠 : 인연
③ 吟 : 읊다④ 和 : 알다
⑤ 奉 : 크다
35. 다음 중, 한자의 뜻을 바르게 연결지은 것은 ? (서라벌, 일신여)
① 雪-서리② 解-풀다
③ 飛-걷다④ 肥-여위다
⑤ 氷-물
36.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석되는 것은 ? (잠신, 건대사대부속)
~이 ~하다.
① 白雪② 萬物
③ 山高④ 花鳥
⑤ 山川
37. 다음 글의 ( )안에 들어갈 적당한 한자는 ? (경성, 강동)
봄은 만물이 生( )하는 계절이다.
① 動② 高
③ 深④ 快
⑤ 飛
38. 다음 중 ‘月’과 어울릴 수 없는 글자는 ? (서울여, 오주)
① 出② 白
③ 落④ 解
⑤ 明
핵심기출문제 ………
1. ②
鳥-조 雪-설
烏-오 雲-운
動-동 高-고
重-중 鎬-호
2. ③
3. ②
①, ③~⑤ 주술 관계, ② 수식관계
4. ③
5. ④
眞(진) : 참
6. ②
惡 :
7. ①
악 : 나쁘다
惡
오 : 미워하다
설 : 말하다
說 열 : 기쁘다
세 : 달래다
8. ②
相(상) : 서로, 재상, 모습
9. ③
대등 관계의 성어란 뜻이 서로 대등한 한자끼리 연이어 결합된 성어를 말한다.
10. ①
11. ②
12. ④
草 → : 뜻+早 : 음
間 → 門(문)+日(해)
13. ④
한자어의 짜임
① 달이 밝다② 하늘과 땅
③ 풀과 나무④ 높은 산
14. ②
15. ⑤
動態 : 움직여 나아가는 상태.
16. ④
17. ②
흐르는 물은 정이 없음 → 무심히 흘러감.
18. ④
19. ②
‘’은 4획임.
20. ②
① 雨 : 비(우) ② 雪 : 눈(설)
③ 雲 : 구름(운) ④ 霜 : 서리(상)
21. ①
① 炎 : 불꽃, 더위(염) ② 快 : 상쾌할(쾌)
③ 獨 : 홀로(독) ④ 滿 : 가득찰(만)
22. ④
① 異 : 다를(이) ② 二 : 두(이)
③ 耳 : 귀(이) ④ 己 : 몸(기)
23. ②
余(나 여) : 1인칭 대명사
汝(너 여) : 2인칭 대명사
24. ①
① 綠 : 푸를(록) ② 滿 : 찰(만)
③ 葉 : 잎(엽) ④ 佳 : 아름다울(가)
25. ④
① 子 : 2인칭 대명사
② 我 : 1인칭 대명사
③ 余 : 1인칭 대명사
④ 已 : 이미(이)
26. ①
열다
開
피다 = 發
27. ③
霜葉(상엽) : 서리 맞은 잎 = 단풍
28. ②
滿의 부수는 水()
29. ②
‘花’는 艸(뜻)+化(음)으로 된 형성자이다.
30. ②
‘露’의 부수는 ‘雨’임.
31. ②
32. ④
‘波高’ : 파도의 높이, ‘露’와 ‘霜’
33. ③
‘落’에는 ‘마을’이란 뜻과 ‘떨어지다’의 뜻이 있다.
34. ③
緣 : 인연 연
綠 : 푸르다 록
恩 : 은혜 은
思 : 생각 사
35. ②
한자의 뜻 알기
36. ③
주술 관계의 한자어
37. ①
생동
38. ④
月과 어울릴 수 있는 글자
39. ③
1. ‘天高馬肥’와 관련 있는 계절을 한자로 쓰시오. (잠실, 일신여)
2. 다음 한자의 부수와 부수를 뺀 나머지 획수를 쓰시오. (서운, 단국대부속)
(1) 價 : ( )
(2) 最 : ( )
3. ‘인간 생활의 3대 요소’를 3자의 한자로 쓰시오. (청담, 여의도)
4. 십이지지 가운데 ‘원숭이’를 뜻하는 자를 쓰시오. (방배, 윤중)
5. ‘地厚草木生’에서 서술어로 쓰인 글자를 모두 찾아 쓰시오. (대원, 동덕여)
6. ‘結草報恩’의 해석 순서를 써 보자. (창일, 노원)
7. ‘자연을 즐기며 시를 지음’이란 뜻의 4자 성어를 써 보자. (광명북, 예일여)
8. 다음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언남, 성내)
이른 봄 解氷期에는 안전 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9. 십이지 가운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동물을 일컫는 자를 한자로 쓰시오.
(노원, 영파여)
10. ‘天高日月明’에서, 서술어로 쓰인 글자를 모두 쓰시오. (천호, 홍대사대부속)
11.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고명, 배명)
믿음, 소망, 사랑 ⇒ □□□
12.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숙명여, 과천문원)
처마 끝에서 빗물이 떨어지고 있다.
13. 다음 한자어를 해석하라. (역삼, 고명)
水深 :
深水 :
14. 다음과 같은 뜻을 지닌 한자어를 만들 때,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수서, 청운)
참된 값어치 - 眞□
15.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서초, 경원)
㉠선행이야말로 ㉡인생 최대의 즐거움이다.
16. 다음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육갑(六甲)에서 찾아 쓰시오. (과천, 잠신)
1592년은 □□왜란이 일어난 해이다.
주관식 기출문제 …………
1. 秋
2. (1) 人, 13획 (2) 曰, 8획
3. 衣, 食, 住
4. 申
5. 厚, 生
6. 草結報恩
7. 吟風弄月
8. 해빙기
9. 辰
10. 高, 明
11. 信, 望, 愛
12. 落
13. 물이 깊다, 깊은 물
14. 價
15. ㉠善行, ㉡人生
16. 壬辰
26. 다음 아래의 밑줄친 한자 대신 쓸 수 있는 것은 ? (한양, 방배)
佳 花 滿 開
① 發② 落
③ 登④ 來
27. ‘霜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명지, 한영)
① 음은 ‘상엽’이다.② ‘단풍’을 의미한다.
③ 가을에 피는 꽃의 총칭이다.④ ‘서리 맞은 잎’이라는 뜻이다.
28. ‘滿’의 부수는 ? (광명, 대치)
① 入② 水
③ 艸④ 同
29.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 (상일여, 정신여)
① 泰山 : 진산② 草綠 : 초록
③ 風波 : 풍피④ 報道 : 도보
⑤ 報恩 : 보사
30. ‘花’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한자는 ? (명지여, 이수)
① 林② 露
③ 雨④ 男
⑤ 風
31. 한자의 부수의 위치가 다른 하나는 ? (광명북, 대청)
① 泰② 露
③ 無④ 恩
⑤ 意
32. 다음 문장에서 한자어가 잘못 쓰인 것은 ? (한산, 풍납여)
① 내가 다니던 초등 학교는 山村에 있었다.
② 그는 내 생명의 恩人이다.
③ 어제는 태풍으로 인하여 波高가 심했다.
④ 여름에 너무 霜出이 심한 옷을 입는 것은 예의에 벗어난다.
⑤ 저 언덕이 비행기가 落下한 곳이다.
33. ‘落’의 쓰임이 다른 하나는 ? (목일, 장충)
① 下落② 落葉
③ 村落④ 落花
⑤ 落水
34. 한자의 뜻이 바른 것은 ? (성내, 당산)
① 思 : 은혜② 綠 : 인연
③ 吟 : 읊다④ 和 : 알다
⑤ 奉 : 크다
35. 다음 중, 한자의 뜻을 바르게 연결지은 것은 ? (서라벌, 일신여)
① 雪-서리② 解-풀다
③ 飛-걷다④ 肥-여위다
⑤ 氷-물
36.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석되는 것은 ? (잠신, 건대사대부속)
~이 ~하다.
① 白雪② 萬物
③ 山高④ 花鳥
⑤ 山川
37. 다음 글의 ( )안에 들어갈 적당한 한자는 ? (경성, 강동)
봄은 만물이 生( )하는 계절이다.
① 動② 高
③ 深④ 快
⑤ 飛
38. 다음 중 ‘月’과 어울릴 수 없는 글자는 ? (서울여, 오주)
① 出② 白
③ 落④ 解
⑤ 明
핵심기출문제 ………
1. ②
鳥-조 雪-설
烏-오 雲-운
動-동 高-고
重-중 鎬-호
2. ③
3. ②
①, ③~⑤ 주술 관계, ② 수식관계
4. ③
5. ④
眞(진) : 참
6. ②
惡 :
7. ①
악 : 나쁘다
惡
오 : 미워하다
설 : 말하다
說 열 : 기쁘다
세 : 달래다
8. ②
相(상) : 서로, 재상, 모습
9. ③
대등 관계의 성어란 뜻이 서로 대등한 한자끼리 연이어 결합된 성어를 말한다.
10. ①
11. ②
12. ④
草 → : 뜻+早 : 음
間 → 門(문)+日(해)
13. ④
한자어의 짜임
① 달이 밝다② 하늘과 땅
③ 풀과 나무④ 높은 산
14. ②
15. ⑤
動態 : 움직여 나아가는 상태.
16. ④
17. ②
흐르는 물은 정이 없음 → 무심히 흘러감.
18. ④
19. ②
‘’은 4획임.
20. ②
① 雨 : 비(우) ② 雪 : 눈(설)
③ 雲 : 구름(운) ④ 霜 : 서리(상)
21. ①
① 炎 : 불꽃, 더위(염) ② 快 : 상쾌할(쾌)
③ 獨 : 홀로(독) ④ 滿 : 가득찰(만)
22. ④
① 異 : 다를(이) ② 二 : 두(이)
③ 耳 : 귀(이) ④ 己 : 몸(기)
23. ②
余(나 여) : 1인칭 대명사
汝(너 여) : 2인칭 대명사
24. ①
① 綠 : 푸를(록) ② 滿 : 찰(만)
③ 葉 : 잎(엽) ④ 佳 : 아름다울(가)
25. ④
① 子 : 2인칭 대명사
② 我 : 1인칭 대명사
③ 余 : 1인칭 대명사
④ 已 : 이미(이)
26. ①
열다
開
피다 = 發
27. ③
霜葉(상엽) : 서리 맞은 잎 = 단풍
28. ②
滿의 부수는 水()
29. ②
‘花’는 艸(뜻)+化(음)으로 된 형성자이다.
30. ②
‘露’의 부수는 ‘雨’임.
31. ②
32. ④
‘波高’ : 파도의 높이, ‘露’와 ‘霜’
33. ③
‘落’에는 ‘마을’이란 뜻과 ‘떨어지다’의 뜻이 있다.
34. ③
緣 : 인연 연
綠 : 푸르다 록
恩 : 은혜 은
思 : 생각 사
35. ②
한자의 뜻 알기
36. ③
주술 관계의 한자어
37. ①
생동
38. ④
月과 어울릴 수 있는 글자
39. ③
1. ‘天高馬肥’와 관련 있는 계절을 한자로 쓰시오. (잠실, 일신여)
2. 다음 한자의 부수와 부수를 뺀 나머지 획수를 쓰시오. (서운, 단국대부속)
(1) 價 : ( )
(2) 最 : ( )
3. ‘인간 생활의 3대 요소’를 3자의 한자로 쓰시오. (청담, 여의도)
4. 십이지지 가운데 ‘원숭이’를 뜻하는 자를 쓰시오. (방배, 윤중)
5. ‘地厚草木生’에서 서술어로 쓰인 글자를 모두 찾아 쓰시오. (대원, 동덕여)
6. ‘結草報恩’의 해석 순서를 써 보자. (창일, 노원)
7. ‘자연을 즐기며 시를 지음’이란 뜻의 4자 성어를 써 보자. (광명북, 예일여)
8. 다음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언남, 성내)
이른 봄 解氷期에는 안전 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9. 십이지 가운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동물을 일컫는 자를 한자로 쓰시오.
(노원, 영파여)
10. ‘天高日月明’에서, 서술어로 쓰인 글자를 모두 쓰시오. (천호, 홍대사대부속)
11.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고명, 배명)
믿음, 소망, 사랑 ⇒ □□□
12.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숙명여, 과천문원)
처마 끝에서 빗물이 떨어지고 있다.
13. 다음 한자어를 해석하라. (역삼, 고명)
水深 :
深水 :
14. 다음과 같은 뜻을 지닌 한자어를 만들 때,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수서, 청운)
참된 값어치 - 眞□
15.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서초, 경원)
㉠선행이야말로 ㉡인생 최대의 즐거움이다.
16. 다음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육갑(六甲)에서 찾아 쓰시오. (과천, 잠신)
1592년은 □□왜란이 일어난 해이다.
주관식 기출문제 …………
1. 秋
2. (1) 人, 13획 (2) 曰, 8획
3. 衣, 食, 住
4. 申
5. 厚, 生
6. 草結報恩
7. 吟風弄月
8. 해빙기
9. 辰
10. 高, 明
11. 信, 望, 愛
12. 落
13. 물이 깊다, 깊은 물
14. 價
15. ㉠善行, ㉡人生
16. 壬辰
추천자료
교육의 이론적 이해
[과외]중학 1-07 예상 모의고사 1
[과외]중학 한문 1-17 삼성 정정당당
[과외]중학 한문 2-14 입지 유비무환
[과외]중학 한문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01
[과외]중학 한문 2-2학기 중간 예상문제 08
[과외]중학 한문 3-1학기 기말 예상문제 14
[과외]중학 한문 3-2학기 중간 예상문제 11
국어 기출 정리노트
한국기업들의 브랜드 네이밍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특성과 음성문자체계,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 로마자표...
[번역][중국어번역][한중번역][한국어번역][국어번역][독일어번역][한독번역][영어번역][한영...
[국문학개론]- 언어 규범 정책의 방향 (국어 생활의과제, 언어 정책사에 나타난 언어 규범의 ...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분류,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오역,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품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