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른 것은 ?
① 여름에 태풍의 피해를 많이 입는다. (선화예술, 풍납)
② 북부에는 냉대 식물이, 남부에는 아열대 작물이 자란다.
③ 전 국토의 80% 이상이 산지로 평야의 발달이 미약하다.
④ 혼슈, 홋카이도, 시코쿠, 규슈 등 4개의 큰 섬 외에도 많은
섬이 있다.
⑤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으로 해양성 기후를 이루어,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크다.
40. 일본 농업의 특색으로 틀린 것은 ? (연희여, 중동)
① 쌀은 자급 자족이 가능하다.
② 밀, 콩, 사료 등은 대부분 수출한다.
③ 품종 개량, 농토의 집약화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많다.
④ 대도시 부근에는 근교 농업이 발달하여 채소, 우유를 생산한다.
⑤ 산지가 많고 경지 면적이 좁지만, 기호와 토질이 농업에 알맞다.
41. 다음 <보기> 중에서 일본의 수산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묶은 것은 ?
(월촌, 역삼)
㉠ 해안선이 단조로워 어항 발달에 불리하다.
㉡ 어획고가 세계적으로 많아 수산물을 가장 많이 수출한다.
㉢ 최근 세계 각국의 수자원 보호와 영해의 확대로 원양 어업이 감소
하고 있다.
㉣ 양식업과 수산 가공업이 발달했다.
㉤ 세계 4대 어장인 북서 태평양 어장에 위치하고 있다.
① ㉠, ㉢, ㉤② ㉡, ㉢, ㉣
③ ㉡, ㉢, ㉤④ ㉢, ㉣, ㉤
⑤ ㉠, ㉡, ㉤
42. 일본의 자연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신목, 언북)
① 훗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 등의 섬으로 이루어졌다.
② 화산, 온천이 많으며 지진과 해일의 피해가 크다.
③ 남북 간의 기후 차이가 크다.
④ 국토의 80% 이상이 평야로, 농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⑤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난 습윤하다.
[43~44] 다음 지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43. ㉮ 해류와 ㉯ 해류가 만나서 형성하는
세계적인 어장은 ? (성산, 가락)
① 북서 태평양 어장
② 북동 태평양 어장
③ 북서 대서양 어장
④ 북동 대서양 어장
⑤ 남태평양 어장
44. ㉮ 해류가 일본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 (성덕여, 배명)
① 겨울에 A 지역에 많은 눈을 내린다.
②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③ 연중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다.
④ B 지역에 태풍의 피해가 심하다.
⑤ 기온의 남북차가 크다.
45. 일본의 농업 특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경희, 오금)
① 기후와 토질 조건이 농업에 알맞다.
② 토지 이용은 매우 집약적으로 행해진다.
③ 쌀 이외의 밀, 콩, 사료 등도 국내 자급이 가능하다.
④ 최근에는 정책적으로 쌀 생산량을 줄이고 있다.
⑤ 식생활의 변화로 근교 농업이 발달하고 있다.
46. 일본 자연 환경의 특색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청운, 동원)
① 지진과 해일이 자주 일어난다.
② 수천 개의 섬으로 되어 있다.
③ 산지가 적고 평야가 넓다.
④ 연중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다.
⑤ 활화산과 온천이 많다.
47. 일본에 살고 있는 재일 동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대부분 강제로 이주하였다. (강남여, 오륜)
② 제 2 차 대전 중에는 210만 명에 달했다.
③ 주로 오사카, 도쿄 등지에 살고 있다.
④ 대부분 일본의 시민권을 확보했다.
⑤ 오늘날 재일 동포의 수는 70만 명에 달한다.
핵심기출문제 ………
1. ③
중국의 평야 지대는 강수량에 따라 밭농사, 벼농사 지역으로 구분된다.
2. ④
<보기>는 중국의 화남 지방에 관한 내용이다.
3. ⑤
F : 서부 산지와 고원
G : 건조 기후 지역
4. ④
C는 황하 유역의 비옥한 황토 지대이다.
5. ②, ⑤
중국의 지형은 크게 동부의 평야, 서부의 산지와 고원, 북부의 사막으로
구분된다.
6. ①
중국은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한족과 그 외 50여개의 소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7. ③
중국의 석유는 둥베이 지방의 다칭을 비롯하여 보하이 만과 서부 내륙 등지
에서 생산된다.
8. ④
중국은 쌀 생산량이 세계 1위이나 많은 인구 때문에 식량을 수입한다.
9. ②
타이완은 대부분 중국 본토에서 이주해 간 한족으로 구성된다.
10. ④
11. ⑤
12. ③
석유 산지 - 다칭, 보하이 만, 서부 내륙 등지
13. ①
중국 동부의 하천 유역에는 넓은 평야가 발달하였다.
14. ②
중국의 서부는 높은 고원과 산지가 많으며 건조한 기후가 나타난다.
15. ②
중국의 동부는 계절풍 지대로 북쪽으로 갈수록 겨울 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 강수량이 적어지고 기온도 점차 내려간다. 따라서 논농사보다 밭농사 지대가 많이 분포한다.
16. ④
황하 유역은 황토 지대로서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고 오랫동안 중국인의 생활 중심지가 되어 왔다.
17. ③
18. ②
19. ③
20. B, C
21. ②
22. ⑤
23. ⑤
타이완은 근래에 경공업 중심의 각종 공업이 급속히 발달하여 무역 흑자가
늘어나고 있다.
24. ③
몽골은 중국 북쪽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대부분 사막과 초원인데, 최근에는
정착 생활자가 늘어나고 있다.
25. ①
26. ④
27. ①
28. ④
29. ①
30. ②
31. ①
32. ㉠, ㉢, ㉤
33. ②
일본은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 되어 있으며 난류의 영향으로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34. ②
중국 민족은 대부분 한족이다.
35.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일본은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등 큰 4 개의 섬과 수천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36. ②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일본의 북서 해안은 겨울에 눈이 많다.
37. ④
38. ④
39. ⑤
일본의 자연 환경
섬나라
해양성 기후
남북 기온차가 크다.
태풍 피해
40. ②
일본은 많은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농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41. ④
일본은 세계적 수산업 국가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많다.
42. ④
국토의 80% 이상이 산지여서 평야가 적다.
43. ①
쿠로시오 난류와 쿠릴 한류가 만나는 일본 근해는 세계 최대의 어장을 형성한다.
44. ③
쿠로시오 난류는 일본의 기후를 온난 다습하게 하는 기후 요소이다.
45. ③
쌀은 농업 기술의 발달과 식생활의 변화로 자급이 가능하고, 밀을 비롯한 잡곡은 수입에 의존한다.
46. ③
47. ④
① 여름에 태풍의 피해를 많이 입는다. (선화예술, 풍납)
② 북부에는 냉대 식물이, 남부에는 아열대 작물이 자란다.
③ 전 국토의 80% 이상이 산지로 평야의 발달이 미약하다.
④ 혼슈, 홋카이도, 시코쿠, 규슈 등 4개의 큰 섬 외에도 많은
섬이 있다.
⑤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으로 해양성 기후를 이루어,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크다.
40. 일본 농업의 특색으로 틀린 것은 ? (연희여, 중동)
① 쌀은 자급 자족이 가능하다.
② 밀, 콩, 사료 등은 대부분 수출한다.
③ 품종 개량, 농토의 집약화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많다.
④ 대도시 부근에는 근교 농업이 발달하여 채소, 우유를 생산한다.
⑤ 산지가 많고 경지 면적이 좁지만, 기호와 토질이 농업에 알맞다.
41. 다음 <보기> 중에서 일본의 수산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묶은 것은 ?
(월촌, 역삼)
㉠ 해안선이 단조로워 어항 발달에 불리하다.
㉡ 어획고가 세계적으로 많아 수산물을 가장 많이 수출한다.
㉢ 최근 세계 각국의 수자원 보호와 영해의 확대로 원양 어업이 감소
하고 있다.
㉣ 양식업과 수산 가공업이 발달했다.
㉤ 세계 4대 어장인 북서 태평양 어장에 위치하고 있다.
① ㉠, ㉢, ㉤② ㉡, ㉢, ㉣
③ ㉡, ㉢, ㉤④ ㉢, ㉣, ㉤
⑤ ㉠, ㉡, ㉤
42. 일본의 자연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신목, 언북)
① 훗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 등의 섬으로 이루어졌다.
② 화산, 온천이 많으며 지진과 해일의 피해가 크다.
③ 남북 간의 기후 차이가 크다.
④ 국토의 80% 이상이 평야로, 농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⑤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난 습윤하다.
[43~44] 다음 지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43. ㉮ 해류와 ㉯ 해류가 만나서 형성하는
세계적인 어장은 ? (성산, 가락)
① 북서 태평양 어장
② 북동 태평양 어장
③ 북서 대서양 어장
④ 북동 대서양 어장
⑤ 남태평양 어장
44. ㉮ 해류가 일본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 (성덕여, 배명)
① 겨울에 A 지역에 많은 눈을 내린다.
②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③ 연중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다.
④ B 지역에 태풍의 피해가 심하다.
⑤ 기온의 남북차가 크다.
45. 일본의 농업 특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경희, 오금)
① 기후와 토질 조건이 농업에 알맞다.
② 토지 이용은 매우 집약적으로 행해진다.
③ 쌀 이외의 밀, 콩, 사료 등도 국내 자급이 가능하다.
④ 최근에는 정책적으로 쌀 생산량을 줄이고 있다.
⑤ 식생활의 변화로 근교 농업이 발달하고 있다.
46. 일본 자연 환경의 특색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청운, 동원)
① 지진과 해일이 자주 일어난다.
② 수천 개의 섬으로 되어 있다.
③ 산지가 적고 평야가 넓다.
④ 연중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다.
⑤ 활화산과 온천이 많다.
47. 일본에 살고 있는 재일 동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대부분 강제로 이주하였다. (강남여, 오륜)
② 제 2 차 대전 중에는 210만 명에 달했다.
③ 주로 오사카, 도쿄 등지에 살고 있다.
④ 대부분 일본의 시민권을 확보했다.
⑤ 오늘날 재일 동포의 수는 70만 명에 달한다.
핵심기출문제 ………
1. ③
중국의 평야 지대는 강수량에 따라 밭농사, 벼농사 지역으로 구분된다.
2. ④
<보기>는 중국의 화남 지방에 관한 내용이다.
3. ⑤
F : 서부 산지와 고원
G : 건조 기후 지역
4. ④
C는 황하 유역의 비옥한 황토 지대이다.
5. ②, ⑤
중국의 지형은 크게 동부의 평야, 서부의 산지와 고원, 북부의 사막으로
구분된다.
6. ①
중국은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한족과 그 외 50여개의 소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7. ③
중국의 석유는 둥베이 지방의 다칭을 비롯하여 보하이 만과 서부 내륙 등지
에서 생산된다.
8. ④
중국은 쌀 생산량이 세계 1위이나 많은 인구 때문에 식량을 수입한다.
9. ②
타이완은 대부분 중국 본토에서 이주해 간 한족으로 구성된다.
10. ④
11. ⑤
12. ③
석유 산지 - 다칭, 보하이 만, 서부 내륙 등지
13. ①
중국 동부의 하천 유역에는 넓은 평야가 발달하였다.
14. ②
중국의 서부는 높은 고원과 산지가 많으며 건조한 기후가 나타난다.
15. ②
중국의 동부는 계절풍 지대로 북쪽으로 갈수록 겨울 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 강수량이 적어지고 기온도 점차 내려간다. 따라서 논농사보다 밭농사 지대가 많이 분포한다.
16. ④
황하 유역은 황토 지대로서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고 오랫동안 중국인의 생활 중심지가 되어 왔다.
17. ③
18. ②
19. ③
20. B, C
21. ②
22. ⑤
23. ⑤
타이완은 근래에 경공업 중심의 각종 공업이 급속히 발달하여 무역 흑자가
늘어나고 있다.
24. ③
몽골은 중국 북쪽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대부분 사막과 초원인데, 최근에는
정착 생활자가 늘어나고 있다.
25. ①
26. ④
27. ①
28. ④
29. ①
30. ②
31. ①
32. ㉠, ㉢, ㉤
33. ②
일본은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 되어 있으며 난류의 영향으로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34. ②
중국 민족은 대부분 한족이다.
35.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일본은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등 큰 4 개의 섬과 수천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36. ②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일본의 북서 해안은 겨울에 눈이 많다.
37. ④
38. ④
39. ⑤
일본의 자연 환경
섬나라
해양성 기후
남북 기온차가 크다.
태풍 피해
40. ②
일본은 많은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농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41. ④
일본은 세계적 수산업 국가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많다.
42. ④
국토의 80% 이상이 산지여서 평야가 적다.
43. ①
쿠로시오 난류와 쿠릴 한류가 만나는 일본 근해는 세계 최대의 어장을 형성한다.
44. ③
쿠로시오 난류는 일본의 기후를 온난 다습하게 하는 기후 요소이다.
45. ③
쌀은 농업 기술의 발달과 식생활의 변화로 자급이 가능하고, 밀을 비롯한 잡곡은 수입에 의존한다.
46. ③
47.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