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예상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③ 적당한 밝기④ 공해없는 환경
⑤ 교육을 받는 일
13. 주택 계획시 고려할 사항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① 안정성② 보건성
③ 능률성④ 예술성
⑤ 고정성
14. 주택에서 평면 계획을 할 때 고려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공간이 서로 쾌적하게 배치한다.
②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능률적으로 배치한다.
③ 남쪽은 일조가 좋으므로 침실과 부엌이 적당하다.
④ 동선의 유연함, 거리의 가까움, 독립성 등을 고려한다.
⑤ 거실은 남쪽이 좋고 햇빛과 통풍이 잘 되는 곳이 적당하다.
15. 다음 중 동선 계획에 고려되어야 하는 점은 ?
① 각 공간의 방위를 고려해야 한다.
② 건축비와 건축미를 중시해야 한다.
③ 거리가 가깝고 편리해야 한다.
④ 건축물의 경제성을 중시해야 한다.
⑤ 공간의 대칭성과 안정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16. 쾌적한 느낌을 주는 실내 습도의 범위는?
① 15 ∼ 30%② 30 ∼ 45%
③ 50 ∼ 65%④ 65 ∼ 80%
⑤ 80 ∼ 95%
17. 건물의 통풍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부적절한 것은 ?
① 실내 온도와 습도에 관계된다.
② 실내 기후를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③ 북쪽에는 큰 창을, 남쪽에는 작은 창을 만든다.
④ 바람이 불어오는 쪽과 반대쪽에 창이 있어야 한다.
⑤ 창의 위치, 크기 등에 의해 다르다.
18. 실내의 습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① 습도가 높으면 옷이 눅눅해진다.
② 습도가 높으면 상쾌하다.
③ 습도가 높으면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④ 습도가 낮으면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⑤ 습도가 낮으면 내장 재료에 금이 가기도 한다.
19. 주택을 설계할 때 기능상 필요한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공동 생활 공간은 급배수 설비가 필요하다.
② 개인 생활 공간은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③ 가사 작업 공간은 동선이 길어야 한다.
④ 위생 공간은 자유스러운 공간이 되어야 한다.
⑤ 통로 공간은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20. 다음 중 소규모 주택에서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면 좋지 않은 것은 ?
① 식당과 부엌② 거실과 침실
③ 거실과 부엌④ 거실과 식당
⑤ 욕실과 화장실
21. 다음 중 동쪽에 배치하는 것이 좋은 것은 ?
① 침실과 부엌② 욕실과 화장실
③ 현관과 거실④ 거실과 식당
⑤ 거실과 화장실
22. 주택을 건축할 때 다음과 같은 일을 하는 단계는?
생활상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한다.
적절한 건축 공간을 설정한다.
건축물을 모양을 정한다.
① 건축 계획② 건축 구상
③ 건축 시공④ 건축 설계
⑤ 완공 검사
23. 광 속의 90∼100% 를 천장 또는 벽 등에 반사시켜 비치게 하는 조명 방식은 ?
① 직접 조명② 전반 확산 조명
③ 국부 조명④ 간접 조명
⑤ 반간접 조명
24. 여름철의 실내 온도는 밖의 온도보다 몇 도 정도 낮추면 시원한가 ?
① 1 ∼ 2℃② 2 ∼ 4℃
③ 4 ∼ 5℃④ 6 ∼ 8℃
⑤ 8 ∼ 10℃
25. 실내의 습도가 높을 때 부엌, 욕실, 세탁실 등에는 ( )을 설치하여 수중기를 배출시키고, ( )를 사용하여 수증기의 확산을 막는다. ( )안에 알맞는 말은 ?
(1) (2) (1) (2)
① 환기 팬, 방습제② 난로, 환기 팬
③ 환기 팬, 가습기④ 방습제, 난로
⑤ 가습기, 방습제
26. 주거 생활에 필요한 공간을 기능별로 구분할 때 취침, 공부 등과 같은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은 ?
① 통로 공간② 개인 생활 공간
③ 가사 작업 공간④ 공동 생활 공간
⑤ 생리 위생 공간
27. 가사 작업 공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
①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② 작업의 동선이 짧아야 한다.
③ 다른 공간과의 연결이 편리해야 한다.
④ 가족들이 쉽게 모일 수 있어야 한다.
⑤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어야 한다.
28. 주택을 기능상 필요한 공간으로 나누었을 때 각 공간에 해당되는 곳들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 침실 ㉡ 거실 ㉢ 현관
㉣ 화장실 ㉤ 부엌 ㉥ 세탁실
㉦ 식당 ㉧ 욕실
(1) 개인 생활 공간-( )(2) 공동 생활 공간-( )
(3) 가사 작업 공간-( )
29. 좋은 대지라 할 수 없는 것은 ?
① 건물 면적보다 3배 정도 크다.
② 배수가 잘 되고 재해의 염려가 없다.
③ 일조와 통풍 상태가 좋다.
④ 암반이 없고 단단하다.
⑤ 높이가 도로면보다 낮다.
30. 주택을 형태에 따라 구분한 것은 ?
① 아파트② 도시 주택
③ 전용 주택④ 어촌 주택
⑤ 병용 주택
31. 다음 중 통로 형식에 따른 아파트의 분류 중에서 편복도형은 ?
① ② ③
④ ⑤
32. 아파트의 특징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① 유지 관리가 쉽다.
② 주거 밀도가 매우 높다.
③ 대지비, 건축비가 절감된다.
④ 대지의 이용 효율이 높다.
⑤ 단독 주택보다 사생활의 침해 우려가 적다.
핵심예상문제 ………
1. ①
편의성에는 규격, 점유 공간, 실용, 유지 관리 등이 있다.
2. ②
각 방에 열원을 두어 방 단위로 난방을 하는 방식이다.
3. ②
4. ⑤
5. ①
6. ③
7. ①
소박함도 있어야 한다.
8. ①
조리, 세탁 등의 가사 작업을 위한 공간이다.
9. ②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의 혼합물이다.
10. ④
주거 면적은 가족 1인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면적이다.
11. ⑤
작업용 가구에는 탁자, 화분대, 좌탁, 식탁, 책상, 화장대 등이 있다.
12. ⑤
개인적 요구는 물리적감각적 조건이다.
13. ⑤
14. ③
15. ③
16. ③
습도가 너무 높으면 불쾌한 느낌을 주고, 너무 낮으면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한편, 쾌적한 느낌을 주는 실내 온도는 15∼23℃이다.
17. ③
북쪽에 큰 창을 만들면 겨울에 너무 춥다.
18. ②
습도가 높으면 침구, 의복 등이 눅눅해져서 불쾌한 느낌을 준다.
19. ②
20. ②
21. ①
22. ②
23. ④
그늘은 적은 장점은 있지만 조명률이 나쁘고 보수가 힘들다.
24. ③
실내 온도가 바깥 온도보다 너무 낮으면 건강에 해롭다.
25. ①
습기를 밖으로 내보내고, 빨아 들이도록 한다.
26. ②
27. ②
28. (1) ㉠ (2) ㉡, ㉦ (3) ㉤, ㉥
29. ⑤
30. ①
31. ④
32. ⑤
⑤ 교육을 받는 일
13. 주택 계획시 고려할 사항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① 안정성② 보건성
③ 능률성④ 예술성
⑤ 고정성
14. 주택에서 평면 계획을 할 때 고려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공간이 서로 쾌적하게 배치한다.
②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능률적으로 배치한다.
③ 남쪽은 일조가 좋으므로 침실과 부엌이 적당하다.
④ 동선의 유연함, 거리의 가까움, 독립성 등을 고려한다.
⑤ 거실은 남쪽이 좋고 햇빛과 통풍이 잘 되는 곳이 적당하다.
15. 다음 중 동선 계획에 고려되어야 하는 점은 ?
① 각 공간의 방위를 고려해야 한다.
② 건축비와 건축미를 중시해야 한다.
③ 거리가 가깝고 편리해야 한다.
④ 건축물의 경제성을 중시해야 한다.
⑤ 공간의 대칭성과 안정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16. 쾌적한 느낌을 주는 실내 습도의 범위는?
① 15 ∼ 30%② 30 ∼ 45%
③ 50 ∼ 65%④ 65 ∼ 80%
⑤ 80 ∼ 95%
17. 건물의 통풍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부적절한 것은 ?
① 실내 온도와 습도에 관계된다.
② 실내 기후를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③ 북쪽에는 큰 창을, 남쪽에는 작은 창을 만든다.
④ 바람이 불어오는 쪽과 반대쪽에 창이 있어야 한다.
⑤ 창의 위치, 크기 등에 의해 다르다.
18. 실내의 습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① 습도가 높으면 옷이 눅눅해진다.
② 습도가 높으면 상쾌하다.
③ 습도가 높으면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④ 습도가 낮으면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⑤ 습도가 낮으면 내장 재료에 금이 가기도 한다.
19. 주택을 설계할 때 기능상 필요한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공동 생활 공간은 급배수 설비가 필요하다.
② 개인 생활 공간은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③ 가사 작업 공간은 동선이 길어야 한다.
④ 위생 공간은 자유스러운 공간이 되어야 한다.
⑤ 통로 공간은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20. 다음 중 소규모 주택에서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면 좋지 않은 것은 ?
① 식당과 부엌② 거실과 침실
③ 거실과 부엌④ 거실과 식당
⑤ 욕실과 화장실
21. 다음 중 동쪽에 배치하는 것이 좋은 것은 ?
① 침실과 부엌② 욕실과 화장실
③ 현관과 거실④ 거실과 식당
⑤ 거실과 화장실
22. 주택을 건축할 때 다음과 같은 일을 하는 단계는?
생활상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한다.
적절한 건축 공간을 설정한다.
건축물을 모양을 정한다.
① 건축 계획② 건축 구상
③ 건축 시공④ 건축 설계
⑤ 완공 검사
23. 광 속의 90∼100% 를 천장 또는 벽 등에 반사시켜 비치게 하는 조명 방식은 ?
① 직접 조명② 전반 확산 조명
③ 국부 조명④ 간접 조명
⑤ 반간접 조명
24. 여름철의 실내 온도는 밖의 온도보다 몇 도 정도 낮추면 시원한가 ?
① 1 ∼ 2℃② 2 ∼ 4℃
③ 4 ∼ 5℃④ 6 ∼ 8℃
⑤ 8 ∼ 10℃
25. 실내의 습도가 높을 때 부엌, 욕실, 세탁실 등에는 ( )을 설치하여 수중기를 배출시키고, ( )를 사용하여 수증기의 확산을 막는다. ( )안에 알맞는 말은 ?
(1) (2) (1) (2)
① 환기 팬, 방습제② 난로, 환기 팬
③ 환기 팬, 가습기④ 방습제, 난로
⑤ 가습기, 방습제
26. 주거 생활에 필요한 공간을 기능별로 구분할 때 취침, 공부 등과 같은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은 ?
① 통로 공간② 개인 생활 공간
③ 가사 작업 공간④ 공동 생활 공간
⑤ 생리 위생 공간
27. 가사 작업 공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
①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② 작업의 동선이 짧아야 한다.
③ 다른 공간과의 연결이 편리해야 한다.
④ 가족들이 쉽게 모일 수 있어야 한다.
⑤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어야 한다.
28. 주택을 기능상 필요한 공간으로 나누었을 때 각 공간에 해당되는 곳들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 침실 ㉡ 거실 ㉢ 현관
㉣ 화장실 ㉤ 부엌 ㉥ 세탁실
㉦ 식당 ㉧ 욕실
(1) 개인 생활 공간-( )(2) 공동 생활 공간-( )
(3) 가사 작업 공간-( )
29. 좋은 대지라 할 수 없는 것은 ?
① 건물 면적보다 3배 정도 크다.
② 배수가 잘 되고 재해의 염려가 없다.
③ 일조와 통풍 상태가 좋다.
④ 암반이 없고 단단하다.
⑤ 높이가 도로면보다 낮다.
30. 주택을 형태에 따라 구분한 것은 ?
① 아파트② 도시 주택
③ 전용 주택④ 어촌 주택
⑤ 병용 주택
31. 다음 중 통로 형식에 따른 아파트의 분류 중에서 편복도형은 ?
① ② ③
④ ⑤
32. 아파트의 특징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① 유지 관리가 쉽다.
② 주거 밀도가 매우 높다.
③ 대지비, 건축비가 절감된다.
④ 대지의 이용 효율이 높다.
⑤ 단독 주택보다 사생활의 침해 우려가 적다.
핵심예상문제 ………
1. ①
편의성에는 규격, 점유 공간, 실용, 유지 관리 등이 있다.
2. ②
각 방에 열원을 두어 방 단위로 난방을 하는 방식이다.
3. ②
4. ⑤
5. ①
6. ③
7. ①
소박함도 있어야 한다.
8. ①
조리, 세탁 등의 가사 작업을 위한 공간이다.
9. ②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의 혼합물이다.
10. ④
주거 면적은 가족 1인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면적이다.
11. ⑤
작업용 가구에는 탁자, 화분대, 좌탁, 식탁, 책상, 화장대 등이 있다.
12. ⑤
개인적 요구는 물리적감각적 조건이다.
13. ⑤
14. ③
15. ③
16. ③
습도가 너무 높으면 불쾌한 느낌을 주고, 너무 낮으면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한편, 쾌적한 느낌을 주는 실내 온도는 15∼23℃이다.
17. ③
북쪽에 큰 창을 만들면 겨울에 너무 춥다.
18. ②
습도가 높으면 침구, 의복 등이 눅눅해져서 불쾌한 느낌을 준다.
19. ②
20. ②
21. ①
22. ②
23. ④
그늘은 적은 장점은 있지만 조명률이 나쁘고 보수가 힘들다.
24. ③
실내 온도가 바깥 온도보다 너무 낮으면 건강에 해롭다.
25. ①
습기를 밖으로 내보내고, 빨아 들이도록 한다.
26. ②
27. ②
28. (1) ㉠ (2) ㉡, ㉦ (3) ㉤, ㉥
29. ⑤
30. ①
31. ④
32.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