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사어의 형태론적 특성
가. 부사와 부사어
나. 부사의 형태론적 특징
다. 부사구의 형태론적 특징
라. 부사어의 임의성과 필수성
마. 자유 부사어와 제약 부사어
2. 부사어의 의미특성
가. 부사어의 의미에 따른 분류
나. 관계 대상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다. 처소 부사어
라. 시발점 부사어/한계점 부사어
마. 방향 부사어
바. 거리 부사어
3. 시간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4. 과정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5. 양태 부사어의 갈래
6. 수량 부사어와 부정 부사어
7. 정도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8. 특수 정도 부사어
9. 비교 정도 부사어
가. 부사와 부사어
나. 부사의 형태론적 특징
다. 부사구의 형태론적 특징
라. 부사어의 임의성과 필수성
마. 자유 부사어와 제약 부사어
2. 부사어의 의미특성
가. 부사어의 의미에 따른 분류
나. 관계 대상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다. 처소 부사어
라. 시발점 부사어/한계점 부사어
마. 방향 부사어
바. 거리 부사어
3. 시간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4. 과정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5. 양태 부사어의 갈래
6. 수량 부사어와 부정 부사어
7. 정도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8. 특수 정도 부사어
9. 비교 정도 부사어
본문내용
두루 쓰이는 부류에 속한다. 이 부사어는 그 용언과 결부되어 부정 표현을 한다. 이 부사어는 “아니” 또는 “안” 및 “못”의 형태로 되어 있다.
7. 정도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정도 부사어는 상태 서술이나 동태 수식의 정도를 한층 높이거나 낮추는 기능을 보이는 것이다. 국어의 정도 부사어는 형용사, 지정사, 관형사 및 동태 부사어 등을 수식한다. 이 부사어는 그런 범주들에 속하는 피수식어에 공통적으로 쓰이고 동사를 직접 수식하지 못하는 것이 두드러진 특성이다. 저도 부사어는 크게 일반 정도 부사어, 특수 정도 부사어, 비교 정도 부사어로 나뉜다.
8. 특수 정도 부사어
특수 정도 부사어란 극히 한정된 부류의 형용사만을 수식하는 부사어들을 일컫는다. 이 정도 부사어는 형용사를 수식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앞에 말한 일반 정도 부사어와 마찬가지이나 그 적용 범위가 극히 한정되어 있다. 한편으로, 이 특정 정도 부사어는 관형사나 동태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9. 비교 정도 부사어
비교 정도 부사어란 견줌의 대상에 이어지는 비교 서술을 한정하는 것이다. 그 피수식어는 형용사, 관형사 및 동태 부사어들이다. 비교 정도 부사어는 이런 피수식어의 표현 정도를 다른 경우와 대비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이 부사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후치사구 형태로 이루어진다.
(1) 명사구+보다 (더/덜) 피수식어 저 책이 이 책 보다 (더) 낫다.
(2) 명사구+(처럼/만큼/만치) 피수식어 이 애가 저 아이(처럼/만큼) 예쁘다.
(3) 명사구+(과/하고) (같다/다르다/비슷하다) 얼굴이 달덩이와 (같다/ 비슷하다)
7. 정도 부사어의 특성과 갈래
정도 부사어는 상태 서술이나 동태 수식의 정도를 한층 높이거나 낮추는 기능을 보이는 것이다. 국어의 정도 부사어는 형용사, 지정사, 관형사 및 동태 부사어 등을 수식한다. 이 부사어는 그런 범주들에 속하는 피수식어에 공통적으로 쓰이고 동사를 직접 수식하지 못하는 것이 두드러진 특성이다. 저도 부사어는 크게 일반 정도 부사어, 특수 정도 부사어, 비교 정도 부사어로 나뉜다.
8. 특수 정도 부사어
특수 정도 부사어란 극히 한정된 부류의 형용사만을 수식하는 부사어들을 일컫는다. 이 정도 부사어는 형용사를 수식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앞에 말한 일반 정도 부사어와 마찬가지이나 그 적용 범위가 극히 한정되어 있다. 한편으로, 이 특정 정도 부사어는 관형사나 동태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9. 비교 정도 부사어
비교 정도 부사어란 견줌의 대상에 이어지는 비교 서술을 한정하는 것이다. 그 피수식어는 형용사, 관형사 및 동태 부사어들이다. 비교 정도 부사어는 이런 피수식어의 표현 정도를 다른 경우와 대비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이 부사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후치사구 형태로 이루어진다.
(1) 명사구+보다 (더/덜) 피수식어 저 책이 이 책 보다 (더) 낫다.
(2) 명사구+(처럼/만큼/만치) 피수식어 이 애가 저 아이(처럼/만큼) 예쁘다.
(3) 명사구+(과/하고) (같다/다르다/비슷하다) 얼굴이 달덩이와 (같다/ 비슷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