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백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자백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춘추전국시대란?

2. 제자백가사상

본문내용

BC 480~BC 390)
묵가(墨家)를 제창한 묵자(墨子)는 일찍이 유가의 학설을 배웠으나, 유가의 형식주의와 불평등성에 반대하여 묵가를 세웠다. 예컨대 공자는 어리석은 군주라도 신하가 잘 보필하면 정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반면, 묵자는 왕위세습을 반대하고 훌륭한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묵가에서는 또한 유가에서 중시하는 예의와 음악을 허례허식의 낭비로 배척하고, 부모의 삼년상 역시 같은 이유로 비난하였다. 그리고 유가의 가족제도 및 인간상호간의 특수한 관계를 중시한 차등적인 사랑[仁]에 반대하여, 인간이 자신을 사랑하듯 다른 사람을 평등애[兼愛]로 사랑할 때 사회의 평화가 온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유가가 내세관을 부정한 데 반해, 묵자는 귀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귀신을 모시는 제사가 현세에 축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었다.
④병가(兵家): 병가란 병법, 전술 등에 일가견을 가진 사람들을 가리키며 일정한 집단을 이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손무(孫武;손자), 손빈(孫빈;손자), 오기(吳起;오자)등이 있다.
⑤법가(法家): 유가, 묵가 등이 정치적으로 이상주의적인 문치(文治)를 주장했던 데 비해 힘에 의한 부국강병책을 지향하는 냉정한 현실주의적 정치를 지향한 일단의 무리들이다. 그러나 당시의 법가 사상가들은 국민을 위한 법이 아닌, 오직 전제 군주를 위한 부국강병책에만 촛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오늘 날의 법 정신인 만민 평등의 관념과는 차이가 있었다.
▶한비자(韓非子)
한비자는 기존의 여러 법가사상들, 즉 술(術), 세(勢)와 법(法)을 통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배를 추구하였다. 법(法)과 술(術), (勢)를 통합했다는 것은 법치(法治)의 운영방법으로서 술치(術治)와 세치(勢治)를 병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민(民)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법(法)이 필요하고, 관리를 부리기 위해서는 술(術)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법(法)과 술(術), 그리고 세(勢)는 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이라는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법치(法治)의 기본은 철저하고 엄격한 상벌(賞罰)을 통해 '사적인 것을 배척하고 공적인 것을 이롭게(排私利公)' 하는 것이었다.
⑥명가(名家): 일종의 형식논리학적 이론을 펼친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 학파가 명(名)과 실(實)의 일치, 불일치 관계를 중시하여, 세상이 혼란한 것은 명과 실의 불일치에 그 원인이 있으므로 명실합일(名實合一)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⑦음양가(陰陽家): 음과 양이라는 두 가지 범주로 우주의 삼라만상을 설명하면서 거기에 다시 화수목금토의 오행의 움직임에 따라 천지만물의 소장(消長)과 인간의 운명의 길흉화복이 결정된다고 믿는 중국 고대의 사상을 신봉하는 것이 음양가들이다.
⑧종횡가(縱橫家): 세인의 세속적 감정에 호소하는 능란한 변설에 의해 각국의 제후에게 유세하여 외교적 책략을 구사함에 의해 국제 관계를 정립시킨 외교가의 일단을 가리킨다. 종횡가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진(秦)나라에 대항하여 여타의 6국이 합종하므로써 국제 질서를 확립하려 했던 소진(蘇秦), 소진의 합종책을 분쇄하여 진나라를 중심으로 국제질서를 구축하려 했던 장의(張儀)이다
⑨농가(農家): 농업경제와 농업기술에 대하여 연구한, 제자백가(諸子百家) 중의 일파
⑩잡가(雜家): 문자 그대로 다른 학파의 학설을 자유롭게 채택하여 하나의 사상(思想)을 구성한 것으로, 이 유파를 한 유파로 간주한 것
자료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중국사가 낳은 보석 같은 고사성어 300(모리토모 고쇼 지음, 조성진 옮김)
고사성어로 배우는 중국사 명장면 180(엄귀덕, 홍순효 지음)
제자백가-중국 고대의 사상가들(폐총무수 지음, 김선근 옮김)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1.2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7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