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여 그리스도는 우리의 사랑과 복종의 중심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믿음은 윤리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것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한 사람의 재정돈을 의미한다. 죄는 하나님께 대한 믿음이 깨어지는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하나님께 대한 믿음의 상실로부터 죄된 생활이 초래된다. 복음적 믿음은 새로운 사랑과 복종을 불필요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랑과 복종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다.
5) 웨슬레안-아르미니안주의
요한 웨슬레는 아르미니우스의 저서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웨슬레안-아르미니안주의는 원죄와 자범죄로부터 우리들을 구원하는 그리스도의 필요를 주장함으로써 펠라기안-자유자들에 반대한다. 또한 “부패성”으로부터의 구원 교리와 이 세상에서 의지적 죄를 짓지 않고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은총의 교리에 의지하여 극단적 칼빈주의의 도덕 무용론을 반대한다. 웨슬레의 강조점은 종종 추정되는 바와 같이 자유 의지에 있지 않다. 그의 강조점은 모든 사람들에게 부여되어 이 세상에서 발견되는 모든 선의 근거를 설명해 주는 “값없이 주시는 은총” 또는 “선행은총”에 있다. 웨슬레는 아르미니우스의 통찰에 성령의 역사라는 본질적인 요소를 더했다. 그
5) 웨슬레안-아르미니안주의
요한 웨슬레는 아르미니우스의 저서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웨슬레안-아르미니안주의는 원죄와 자범죄로부터 우리들을 구원하는 그리스도의 필요를 주장함으로써 펠라기안-자유자들에 반대한다. 또한 “부패성”으로부터의 구원 교리와 이 세상에서 의지적 죄를 짓지 않고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은총의 교리에 의지하여 극단적 칼빈주의의 도덕 무용론을 반대한다. 웨슬레의 강조점은 종종 추정되는 바와 같이 자유 의지에 있지 않다. 그의 강조점은 모든 사람들에게 부여되어 이 세상에서 발견되는 모든 선의 근거를 설명해 주는 “값없이 주시는 은총” 또는 “선행은총”에 있다. 웨슬레는 아르미니우스의 통찰에 성령의 역사라는 본질적인 요소를 더했다.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