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문
2. 본문
1) 발해를 둘러싼 각국의 학설
2) 발해의 시조 대조영과 발해의 건국세력
3) 발해의 귀속에 관한 논의들
3. 결론
2. 본문
1) 발해를 둘러싼 각국의 학설
2) 발해의 시조 대조영과 발해의 건국세력
3) 발해의 귀속에 관한 논의들
3. 결론
본문내용
관한 논의는 한마디도 하지 않은 채 말이다. 상당히 이율배반적인 태도가 아닐 수 없다. 남북국 시대라는 용어 또한 그 시기에 우리 민족이 강대한 두 개의 나라를 세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유득공의 ‘발해고’에서 나온 남북국이란 용어는 그저 지리적으로 남쪽과 북쪽을 지칭하는 의미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현재의 교과서나 역사 연구는 발해를 한국사로 편입시키는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단일민족주의 역사관을 제창하는 한, 말갈인 이면서 동시에 고구려인 이었던 대조영을 설명하기란 불가능해 보인다. 어쨌든 발해를 건국하고 지배했던 세력 한가운데에 고구려 인이 있었던 이상 발해사는 얼마든지 정식적인 한국사로 편입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일민족주의 역사관에서 탈피하여 제 3자의 입장에서 개별 국가들을 연구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한 역사관이 확립되어 ‘대조영은 혈족은 말갈인 이었지만, 고구려의 백성이었다. 따라서 그는 고구려 인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는 우리의 조상이므로 우리의 조상인 고구려인 대조영이 세운 발해 또한 한국사이다.’ 라는 논리가 성립되어야만 발해 귀속에 관한 해묵은 논의를 끝낼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