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발해에 대하여
Ⅱ. 본론
1. 사료
2. 대조영(?∼719)의 생애와 업적
1) 대조영의 출생
2) 대조영은 고구려 사람이 아니다
3) 대조영의 발해 건국
4) 대조영의 업적 및 평가
Ⅲ. 결론
1. 발해 건국의 의의
2. 레포트를 마무리 하면서
※ 참고자료
1. 발해에 대하여
Ⅱ. 본론
1. 사료
2. 대조영(?∼719)의 생애와 업적
1) 대조영의 출생
2) 대조영은 고구려 사람이 아니다
3) 대조영의 발해 건국
4) 대조영의 업적 및 평가
Ⅲ. 결론
1. 발해 건국의 의의
2. 레포트를 마무리 하면서
※ 참고자료
본문내용
리 하면서
나는 통일 신라 만큼이나 발해의 건국도 빼놓을 수 없는 우리나라의 자랑스런 역사라 생각한다. 그래서 발해의 건국과 그 의미에 초점을 두면서 자연스레 대조영이라는 인물을 택해 레포트를 쓰게 되었다. 하지만 옛 발해의 영토가 현재 우리나라의 영토 내에 없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고, 그만큼 자료 역시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발해 자체에 대한 자료도 부족했지만 대조영에 대한 자료는 더욱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나는 발해에 대해 언급하고 싶었고,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즉, 대조영이라는 발해 건국의 선두에 서 있었던 인물에 대해 알아보면서, 그 당시 삼국 통일과 발해라는 나라가 세워질 수밖에 없었던, 그리고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라는 나라에 대해 우리가 더 심도 있게 생각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현재의 북한의 북쪽 지역인 드넓은 만주지역을 호령했던 고구려의 혼을 담은 국가가 바로 발해이다. 이런 의미에서 발해는 아주 소중한 우리의 역사이다. 물론 신라가 한반도 내에서의 통일을 이룩한 것 또한 커다란 의미가 있고 우리 역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신라는 삼국의 통일을 이루면서 고구려의 영토를 완벽하게 수복하지 못하였고, 고구려의 유민들 또한 완벽하게 흡수 통치 하지 못하였다. 즉,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긴 했지만 이는 불완전했다고 할 수 있다. 이때의 고구려 유민들의 중심으로 옛 고구려의 터전에 건국된 나라가 발해인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으로 보아 발해가 우리 민족사에 있어서 커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능히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발해가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이고, 우리가 사랑하고 지켜나가야 할 우리나라의 소중한 역사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깊이 새길 필요가 있겠다. 그리고 그 발해라는 나라를 건국한 대조영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1. 문헌자료
- <신문으로 엮은 한국 역사 1 역사신문>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사계절출판
- <고조선, 고구려, 발해 발표 논문집> 고구려 연구재단
- <발해고> 유득공 홍익출판사
- <발해사 100문 100답> 장국종 자음과 모음
- <대조영과 발해> 김혁철 자음과 모음
2. 인터넷 사이트
- http://blog.daum.net/leopunk/10432299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124055
나는 통일 신라 만큼이나 발해의 건국도 빼놓을 수 없는 우리나라의 자랑스런 역사라 생각한다. 그래서 발해의 건국과 그 의미에 초점을 두면서 자연스레 대조영이라는 인물을 택해 레포트를 쓰게 되었다. 하지만 옛 발해의 영토가 현재 우리나라의 영토 내에 없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고, 그만큼 자료 역시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발해 자체에 대한 자료도 부족했지만 대조영에 대한 자료는 더욱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나는 발해에 대해 언급하고 싶었고,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즉, 대조영이라는 발해 건국의 선두에 서 있었던 인물에 대해 알아보면서, 그 당시 삼국 통일과 발해라는 나라가 세워질 수밖에 없었던, 그리고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라는 나라에 대해 우리가 더 심도 있게 생각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현재의 북한의 북쪽 지역인 드넓은 만주지역을 호령했던 고구려의 혼을 담은 국가가 바로 발해이다. 이런 의미에서 발해는 아주 소중한 우리의 역사이다. 물론 신라가 한반도 내에서의 통일을 이룩한 것 또한 커다란 의미가 있고 우리 역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신라는 삼국의 통일을 이루면서 고구려의 영토를 완벽하게 수복하지 못하였고, 고구려의 유민들 또한 완벽하게 흡수 통치 하지 못하였다. 즉,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긴 했지만 이는 불완전했다고 할 수 있다. 이때의 고구려 유민들의 중심으로 옛 고구려의 터전에 건국된 나라가 발해인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으로 보아 발해가 우리 민족사에 있어서 커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능히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발해가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이고, 우리가 사랑하고 지켜나가야 할 우리나라의 소중한 역사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깊이 새길 필요가 있겠다. 그리고 그 발해라는 나라를 건국한 대조영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1. 문헌자료
- <신문으로 엮은 한국 역사 1 역사신문>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사계절출판
- <고조선, 고구려, 발해 발표 논문집> 고구려 연구재단
- <발해고> 유득공 홍익출판사
- <발해사 100문 100답> 장국종 자음과 모음
- <대조영과 발해> 김혁철 자음과 모음
2. 인터넷 사이트
- http://blog.daum.net/leopunk/10432299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124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