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아직 몇 점되지 않으며 발해사를 연구하는 연구진도 손에 꼽을 정도라니.....중국이 발해마저도 자기역사라고 주장하는 지금 발해에 대한 역사연구와 발해를 구해내려는 다방면의 노력들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항하는 것은 민족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고 그런 모습이 있어야 후대에 우리민족의 역사를 전할 수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고려 사회의 이해 - 왕실의 혼인 풍습을 중심으로
식민사관의 이해
고조선의 이해
역사의 이해
규장각에 대한 이해와 규장각이 출판문화에 있어 갖는 다양한 의미
중국 회화에 대한 이해와 시대적 발전모습 및 특징(A+)
도현철(1994) 「고려시대 유교의 전개와 성격」『한국사』6 한길사
일제강점기부터 임시 정부 수립 미 해방 이후 까지--한국근대사의 이해 및 분석
한국의 역사와 문화 완전 정리.
[교양 독후감] 한국사 - 이종범 사림열전 1권(소쇄원의 바람소리)을 읽고
[정치학원론] 정치가 무엇이며, 한국사 정치의 흐름
[근현대사의 이해] 신간회와 좌우 합작 운동
[기행문] 국립진주박물관을 다녀와서
어떤 몸이 사회적 기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루어지는 차별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례,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