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도입부
-우리가 발해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본론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역사적 근거
결론

본문내용

를 건국하게 된 것이다. 또한, 본론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당시의 서적이나 발해의 유물·유적 그리고 문화유산 등 발해의 사회 전반적인 모습들은 고구려를 많이 담고 있다. 이는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했음을 보여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일부 학자들은 발해의 구성원인을 보며 피지배층의 대부분은 말갈인이었기에 발해 사는 한국사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발해의 건국 정신은 어디까지나 고구려의 부흥에 있었으며 발해의 역사가 지속되는 이래 이 정신은 변함이 없었다. 우리는 더 이상 발해 사를 바라보아서 만은 안 된다. 발해는 엄연한 우리의 역사이다. 발해의 역사를 잃는 버리는 것 그것은 우리의 역사와 우리의 민족을 잃는 것이다.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국의 역사라 하며 빼앗으려 할 때가 되어서야 우리의 학계와 국민들은 고구려사를 한국사라 외치며 지키기 위해 혼신을 기울였다. 그러나 우리의 문제는 비단 고구려사만이 아니다. 바로 발해사 역시 고구려사에 가려져 우리의 역사 속에서 지워져가고 있음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우리의 전통을 잃고 역사를 빼앗긴 후에 땅을 치며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겠는가? 우리는 이제 우리의 역사를 뒤돌아보고 보호하며 진정으로 사랑해야한다. 우리의 뿌리와 전통, 재산인 역사를 제대로 보호하고 이어나가는 것이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큰 과제이기 때문이다.
參考文獻
「한국사 이야기 4 남국 신라와 북국 발해」, 이이화, 한길사, 1998
「남북국시대와 최치원」, 이우성, 창작과 비평, 1975
「아 발해」,송언, 우리교육, 2000
「발해의 기원과 문화」, 최무장, 한국학술정보, 2002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2.29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