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릿말
2. 본문
3. 맺음말
2. 본문
3. 맺음말
본문내용
도 발해사 연구에 투입되는 등 역사.고고학적 측면에서의 지원은 고중세사의 다른 어느 분야보다 높다. 이러한 결과는 그들의 기관지인 《력사과학》과 《조선고고연구》에 발해사 논문을 거의 빠뜨리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아도 알 수 있다. 아무튼, 북한의 이러한 분위기는 남쪽이 학자들의 분발과 일부 학자들에 국한하여 민간에서 지원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한국학계의 발해사에 대한 관심이 대륙연구소와 고려학술문화재단 및 언론의 지원아래 다른 어느 때보다 커졌다는 점이다. 오히려, 이것은 또한 중국과 러시아 등 다른 지역의 발해사연구를 부추기고 있는 경향도 없지 않다. 중국과 러시아가 빵의 문제로 인해 학문적 인기가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해사 연구는 비교적 현상유지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해사 연구가 과연 학문적 입장에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현대사의 정치적 입장에 있는가 하는 점은 실로 걱정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학문외적 생각들은 발해사에 관심을 갖는 뜻있는 분들의 생각에서도 가끔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해사 역시 학문적 보편성에 입각해야 한다는 점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우리들이 지켜야 할 가장 소중한 것이다.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