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논문 작성법
1) 논문의 요건
2) 논문의 종류
3) 논문 작성의 절차
4) 논문의 일반적인 체재
5) 인문‧사회과학 분야 논문의 양식
<참고 문헌 목록 예>
1) 논문의 요건
2) 논문의 종류
3) 논문 작성의 절차
4) 논문의 일반적인 체재
5) 인문‧사회과학 분야 논문의 양식
<참고 문헌 목록 예>
본문내용
용하지 못한다. op. cit.는 중간에 다른 저술이 끼어 있어서 Ibid.를 사용할 수 없을 때에 쓴다. 반드시 N. Chomsky, op. cit., p. 47처럼 저자명과 페이지를 함께 표시한다. Loc. cit.는 같은 책의 같은 글을 표시할 때 쓰므로, 페이지를 명기하지 않는다. 중간에 다른 저술이 끼어 있으면, N. Chomsky, Loc. cit.처럼 저자명과 함께 쓴다.
<번호 체계>
“……………………………………………”1)
“……………………………………………”2)
주석 란에, 1)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서울 : 현대문학사, 1961), p. 120.
2) 박준규, “고산의 한시 연구”, 고산연구, 제3호(고산연구회, 1989), p.25.
(3) 주석 양식
주석은 기능에 따라 크게 내용 주석과 문헌 주석으로 나뉜다. 이 중 내용 주석은 본문 중의 특정 사항에 대하여 따로 설명하거나 보충하여야 할 사실, 추가하여야 할 방증, 독자에게 상기시키고 싶은 사실 따위를 덧붙이는 데에 쓰인다. 반면 문헌 주석은 인용한 문헌의 출처를 밝히는 것이다.
주석은 놓이는 위치에 따라서는 脚註, 尾註 혹은 後註, 間註 따위로 나눈다. 각주는 본문의 아래쪽 여백에 줄을 긋고 작은 글씨로 나타내는 주석이며 대표적인 방식이다. 미주는 본문의 한 장이나 맨 뒤쪽에 주석을 모아 두는 방식이고, 간주는 본문 중에 자리를 만들어 끼워 넣는 방식이다. 이 세 방식은 위치만 다를 뿐 작성 양식은 동일하다.
(4) 참고 문헌 목록 양식
참고 문헌은 국내외 여러 다른 언어로 된 자료인 경우가 많다. 이 때는 우선 언어별로 분류하고 각기 따로 나열한다. 가령 국어, 일어, 영어의 3 가지 언어로 된 참고 문헌이 있다면 국어 문헌을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다음, 일어, 영어 문헌 순으로 나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 언어별로 문헌 자료 목록을 나열할 때에는 일차적으로 필자명의 철자 순을 기준으로 삼는 방식이 가장 널리 쓰인다. 이를테면 국어 문헌의 필자명은 가나다 순, 일어 문헌은 가나 문자 순, 영어 문헌은 알파벳 순에 따라 배열한다.
필자명은 국어 문헌의 경우 책의 표제지에 나타나 있는 이름을 그대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곧 “성 + 이름”의 형식으로 나타낸다. 성만 표시한다든지 이름만 표시해도 안되며, 박사, 선생, 교수 따위의 칭호도 필요 없다. 서양식 이름일 때는 원전의 표제지에 있는 것과는 다르게 표시한다. 원전의 표제지에는 대개 Michael David처럼 이름이 성 앞에 놓인다. 그러나 참고 문헌 목록에는 David, Michael과 같이 성을 먼저 쓰고 쉼표(,)한 다음에 이름을 적는다. Dana Carleton Munro와 같이 중간 이름이 있는 경우도 Munro, Dana Carleton처럼 적는다.
<참고 문헌 목록 예>
국어정보학회(1996), 세계로 한글로, 시나리오 타자본.
김상태(1982), <문체의 이론과 방법>, 서울 : 새문사.
(1985), <참말과 거짓말 사이>, 서울 : 대방출판사.
문화방송(1996), MBC 멀티드라마,. 서울 : 서울시스템주식회사, 씨디 롬.
이익섭임홍빈(1983), <국어문법론>, 서울 : 학연사.
홍순탁(1974), 이두 연구.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梅田博之(1982), 朝鮮語の指示語. <講座日本語學> 12, 東京 : 明治書院
Cruse, D. A.(1982), On Lexical Ambiguity, Nottingham Linguistics Circular 11.2, 65-80.
Palmer, F. R.(1981), Semantics(2nd),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번호 체계>
“……………………………………………”1)
“……………………………………………”2)
주석 란에, 1)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서울 : 현대문학사, 1961), p. 120.
2) 박준규, “고산의 한시 연구”, 고산연구, 제3호(고산연구회, 1989), p.25.
(3) 주석 양식
주석은 기능에 따라 크게 내용 주석과 문헌 주석으로 나뉜다. 이 중 내용 주석은 본문 중의 특정 사항에 대하여 따로 설명하거나 보충하여야 할 사실, 추가하여야 할 방증, 독자에게 상기시키고 싶은 사실 따위를 덧붙이는 데에 쓰인다. 반면 문헌 주석은 인용한 문헌의 출처를 밝히는 것이다.
주석은 놓이는 위치에 따라서는 脚註, 尾註 혹은 後註, 間註 따위로 나눈다. 각주는 본문의 아래쪽 여백에 줄을 긋고 작은 글씨로 나타내는 주석이며 대표적인 방식이다. 미주는 본문의 한 장이나 맨 뒤쪽에 주석을 모아 두는 방식이고, 간주는 본문 중에 자리를 만들어 끼워 넣는 방식이다. 이 세 방식은 위치만 다를 뿐 작성 양식은 동일하다.
(4) 참고 문헌 목록 양식
참고 문헌은 국내외 여러 다른 언어로 된 자료인 경우가 많다. 이 때는 우선 언어별로 분류하고 각기 따로 나열한다. 가령 국어, 일어, 영어의 3 가지 언어로 된 참고 문헌이 있다면 국어 문헌을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다음, 일어, 영어 문헌 순으로 나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 언어별로 문헌 자료 목록을 나열할 때에는 일차적으로 필자명의 철자 순을 기준으로 삼는 방식이 가장 널리 쓰인다. 이를테면 국어 문헌의 필자명은 가나다 순, 일어 문헌은 가나 문자 순, 영어 문헌은 알파벳 순에 따라 배열한다.
필자명은 국어 문헌의 경우 책의 표제지에 나타나 있는 이름을 그대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곧 “성 + 이름”의 형식으로 나타낸다. 성만 표시한다든지 이름만 표시해도 안되며, 박사, 선생, 교수 따위의 칭호도 필요 없다. 서양식 이름일 때는 원전의 표제지에 있는 것과는 다르게 표시한다. 원전의 표제지에는 대개 Michael David처럼 이름이 성 앞에 놓인다. 그러나 참고 문헌 목록에는 David, Michael과 같이 성을 먼저 쓰고 쉼표(,)한 다음에 이름을 적는다. Dana Carleton Munro와 같이 중간 이름이 있는 경우도 Munro, Dana Carleton처럼 적는다.
<참고 문헌 목록 예>
국어정보학회(1996), 세계로 한글로, 시나리오 타자본.
김상태(1982), <문체의 이론과 방법>, 서울 : 새문사.
(1985), <참말과 거짓말 사이>, 서울 : 대방출판사.
문화방송(1996), MBC 멀티드라마,. 서울 : 서울시스템주식회사, 씨디 롬.
이익섭임홍빈(1983), <국어문법론>, 서울 : 학연사.
홍순탁(1974), 이두 연구.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梅田博之(1982), 朝鮮語の指示語. <講座日本語學> 12, 東京 : 明治書院
Cruse, D. A.(1982), On Lexical Ambiguity, Nottingham Linguistics Circular 11.2, 65-80.
Palmer, F. R.(1981), Semantics(2nd),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추천자료
4대개혁법안-4대 개혁법안 중 국가보안법 폐지법안에 관한 심층적 고찰(방송통신대과제)
[법철학] 악법도 법인가
[복지정책방안]국민기초 생활보장법의 주요내용과 향후 개선방안
손해배상액 산정 기준결정의 법경제학적 접근과 손해배상책임 범위산정의 최근판례
예능 프로그램으 상대 경어법
비정규직 문제(비정규직법 포함)의 현황 및 해결방안
수영레포트 &어린이 자유형 지도법
헌법재판소 판례를 활용한 법교육의 학습 동기 제고 효과
독일어와 영어의 문형론에 관한 교수법적 연구
초등학교 세계사 교육 교재 및 관련 논문 검토
카프카의 「소송」속의 법
[다문화 가족 지원법] 다문화 가족 지원법에 대한 이해와 사례 (사례-서울시 글로벌 센터,다...
[사회복지법제연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에 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