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애착
1. 애착의 정의와 중요성
2. 애착형성이론
3. 애착발달과정
4. 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유형
Ⅱ. 반응성 애착장애
1. 정의
2. 장애의 원인
3. 증상과 특징
4. 반응성 애착장애의 진단
5. 반응성 애착장애의 치료
6. 반응성 애착장애의 놀이치료사례
1. 애착의 정의와 중요성
2. 애착형성이론
3. 애착발달과정
4. 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유형
Ⅱ. 반응성 애착장애
1. 정의
2. 장애의 원인
3. 증상과 특징
4. 반응성 애착장애의 진단
5. 반응성 애착장애의 치료
6. 반응성 애착장애의 놀이치료사례
본문내용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문제를 치료자와 함께 풀어나갈 수 있다.
대인관계 증진프로그램: 놀이치료에서 정서적인 부분이 많이 해결된 아이들 중에서도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교우관계의 문제로 인해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아이들의 특성과 문제, 연령을 신중히 고려하여 그룹을 구성,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을 진행 한다. 아이들은 또래들과의 다양한 그룹 활동의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되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대인관계에서의 즐거움을 알 게 된다.
장애아와 양육자를 동시에 치료한다.
반응성 애착 장애 아동과 엄마를 함께 치료하는 특수한 놀이치료 - 매우 적극적인 놀이 치료한다. 이 때 부모의 관찰이 필수적인데, 반응성 애착장애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기인되었으므로 부모가 놀이상황을 직접 관찰함으로서, 아이와 정서적 교류를 하는 방법과 놀이기법 등을 익히게 하며 아이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올바른 양육방법을 터득시킬 수 있다.
6. 반응성 애착장애의 놀이치료사례
1) 대상 아동의 인적사항
대상
구분
아 동
이름
xxx(가명)
성별
남
연령
2세 5개월(의뢰 당시)
가족구성
아버지(38), 어머니(33), 대상아동, 여동생(0.5개월)
2) 치료 사례에 대한 논의
① 시작단계
애착 형성 시기에 적절치 못한 양육자의 태도로 인해 정상적으로 발달하던 언어, 신체적 발달 등이 없어지거나 늦게 되고 다른 사람과의 신체적 접촉에 거부적 이었다. 치료의 진행 과정 중 치료자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시작 단계에서는 아동의 반응을 기다리고 아동의 행동을 지지해주는 방법보다는 보다 적극적이고 강하게 치료자가 먼저 아동의 의사와 상관없이 안고, 비행기를 태우고, 간질이는 등의 신체적 접촉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동은 처음에는 몸을 뻗치며 거부하였으나, 계속 진행되자 웃음을 보이며 치료자에게 편안하게 몸을 기대었다. 즉, 아동에게 신체적 접촉은 즐거운 것이며 애정의 표현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치료자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아동의 행동이 일어나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다가감으로써 치료의 기간을 효과적으로 줄였다고 여겨진다.
② 신뢰감 형성단계
아동과 치료자가 신체접촉을 즐기는 상호작용 활동으로 이루어졌고, 아동은 이 시기부터 퇴실을 거부하기 시작하였다(10회기). 이러한 변화는 아동이 놀이실을 편안하고 즐거운 장소라는 것을 인식하고, 치료자와의 새로운 애착이 시작되었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③환경탐색단계
치료자와 형성된 신뢰감을 바탕으로 아동이 놀이실을 탐색하여 스스로 선택한 장난감을 이용하는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이 시기에 치료자는 시작단계와는 달리 아동의 놀이를 기다리거나 아동이 스스로 놀이실을 둘러보고 장난감을 탐색할 수 있도록 기다려 줌으로써 치료자가 놀이의 주체가 아니라 아동이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아동이 놀이를 진행시키지 못하고 한 번의 실패로 놀이를 중단하려 할 때에는 치료자가 놀이하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함께 해 봄으로써 아동이 새로운 장난감을 활용하여 놀이에 도전하도록 유도하였다. 이 단계는 치료자가 인내를 가지고 아동의 좋지 못한 과거 경험으로부터 아동을 자유롭게 하고, 이러한 경험들에서 아동에게 자신이 수용되는 관계 내에서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도록 하는 안전지대를 제공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놀이 내용과 분위기의 변화에 따라 아동은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치료자의 행동도 모방을 할 수 있게 변화되었다(26회기). 또한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더라도 치료자의 반영에 도움을 받아 감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24회기), 치료자의 격려에 박수를 치며 웃는 행동 등을 보이기 시작했다(18회기). 이것은 놀이 치료 전과는 상당히 변화된 모습으로 아동이 치료자와 애착을 형성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아동의 애착 행동 중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어머니에 대해서도 스스로 다가가 안겨 어머니의 등을 토닥거리고, 분리될 때에는 어머니에게 손을 흔들며 치료 전에 어머니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던 것과는 다르게 변화하였다(20회, 22회). 이는 아동이 치료자와의 애착형성을 기초로 하여 어머니에게까지 애착을 확장한 것으로 보여진다.
④안정기
종결기인 안정기에는 반복적인 놀이 형태를 보였으나 환경탐색단계와는 달리 놀이실에 입실하여 어머니와 분리되는 상황에서 저항하며 어머니와 같이 입실하기를 원하였고, 퇴실하여 어머니를 만나면 웃으며 달려가 어머니에게 안아달라는 애착 행동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아동이 어머니와 애착을 형성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치료자에서 놀이실 그리고 놀이실 밖으로까지 관심과 탐색활동들이 확장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아동이 치료자 보다 어머니와의 놀이를 더 원하고 즐거워한다는 것은 어머니보다 놀이치료자와의 놀이를 더 즐거워하고 더 많은 반응을 보인다는 반응성 애착장애아의 특성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놀이치료를 통해 사례 아동의 놀이영역이 확장되었고, 감소된 스트레스 반응을 보임으로서 반응성 애착 장애아의 애착행동이 변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놀이치료를 통해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하고, 환경에 관심을 갖게 됨으로서 사회성 영역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1.윤현숙(1992). 반응성 애착장애아의 발달 및 병리 특성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송지윤(1997). 애착장애 아동의 애착 Q-Set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이경숙(1997). 애착장애 아동의 특성과 부모-아동 관계 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박숙경(1996). 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신정현(1997). 애착장애아와 언어장애아의 특성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강차연(1999). 어머니 애착유형과 결혼갈등, 자녀양육행동 및 아동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
7.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대인관계 증진프로그램: 놀이치료에서 정서적인 부분이 많이 해결된 아이들 중에서도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교우관계의 문제로 인해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아이들의 특성과 문제, 연령을 신중히 고려하여 그룹을 구성,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을 진행 한다. 아이들은 또래들과의 다양한 그룹 활동의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되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대인관계에서의 즐거움을 알 게 된다.
장애아와 양육자를 동시에 치료한다.
반응성 애착 장애 아동과 엄마를 함께 치료하는 특수한 놀이치료 - 매우 적극적인 놀이 치료한다. 이 때 부모의 관찰이 필수적인데, 반응성 애착장애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기인되었으므로 부모가 놀이상황을 직접 관찰함으로서, 아이와 정서적 교류를 하는 방법과 놀이기법 등을 익히게 하며 아이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올바른 양육방법을 터득시킬 수 있다.
6. 반응성 애착장애의 놀이치료사례
1) 대상 아동의 인적사항
대상
구분
아 동
이름
xxx(가명)
성별
남
연령
2세 5개월(의뢰 당시)
가족구성
아버지(38), 어머니(33), 대상아동, 여동생(0.5개월)
2) 치료 사례에 대한 논의
① 시작단계
애착 형성 시기에 적절치 못한 양육자의 태도로 인해 정상적으로 발달하던 언어, 신체적 발달 등이 없어지거나 늦게 되고 다른 사람과의 신체적 접촉에 거부적 이었다. 치료의 진행 과정 중 치료자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시작 단계에서는 아동의 반응을 기다리고 아동의 행동을 지지해주는 방법보다는 보다 적극적이고 강하게 치료자가 먼저 아동의 의사와 상관없이 안고, 비행기를 태우고, 간질이는 등의 신체적 접촉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동은 처음에는 몸을 뻗치며 거부하였으나, 계속 진행되자 웃음을 보이며 치료자에게 편안하게 몸을 기대었다. 즉, 아동에게 신체적 접촉은 즐거운 것이며 애정의 표현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치료자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아동의 행동이 일어나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다가감으로써 치료의 기간을 효과적으로 줄였다고 여겨진다.
② 신뢰감 형성단계
아동과 치료자가 신체접촉을 즐기는 상호작용 활동으로 이루어졌고, 아동은 이 시기부터 퇴실을 거부하기 시작하였다(10회기). 이러한 변화는 아동이 놀이실을 편안하고 즐거운 장소라는 것을 인식하고, 치료자와의 새로운 애착이 시작되었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③환경탐색단계
치료자와 형성된 신뢰감을 바탕으로 아동이 놀이실을 탐색하여 스스로 선택한 장난감을 이용하는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이 시기에 치료자는 시작단계와는 달리 아동의 놀이를 기다리거나 아동이 스스로 놀이실을 둘러보고 장난감을 탐색할 수 있도록 기다려 줌으로써 치료자가 놀이의 주체가 아니라 아동이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아동이 놀이를 진행시키지 못하고 한 번의 실패로 놀이를 중단하려 할 때에는 치료자가 놀이하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함께 해 봄으로써 아동이 새로운 장난감을 활용하여 놀이에 도전하도록 유도하였다. 이 단계는 치료자가 인내를 가지고 아동의 좋지 못한 과거 경험으로부터 아동을 자유롭게 하고, 이러한 경험들에서 아동에게 자신이 수용되는 관계 내에서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도록 하는 안전지대를 제공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놀이 내용과 분위기의 변화에 따라 아동은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치료자의 행동도 모방을 할 수 있게 변화되었다(26회기). 또한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더라도 치료자의 반영에 도움을 받아 감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24회기), 치료자의 격려에 박수를 치며 웃는 행동 등을 보이기 시작했다(18회기). 이것은 놀이 치료 전과는 상당히 변화된 모습으로 아동이 치료자와 애착을 형성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아동의 애착 행동 중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어머니에 대해서도 스스로 다가가 안겨 어머니의 등을 토닥거리고, 분리될 때에는 어머니에게 손을 흔들며 치료 전에 어머니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던 것과는 다르게 변화하였다(20회, 22회). 이는 아동이 치료자와의 애착형성을 기초로 하여 어머니에게까지 애착을 확장한 것으로 보여진다.
④안정기
종결기인 안정기에는 반복적인 놀이 형태를 보였으나 환경탐색단계와는 달리 놀이실에 입실하여 어머니와 분리되는 상황에서 저항하며 어머니와 같이 입실하기를 원하였고, 퇴실하여 어머니를 만나면 웃으며 달려가 어머니에게 안아달라는 애착 행동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아동이 어머니와 애착을 형성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치료자에서 놀이실 그리고 놀이실 밖으로까지 관심과 탐색활동들이 확장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아동이 치료자 보다 어머니와의 놀이를 더 원하고 즐거워한다는 것은 어머니보다 놀이치료자와의 놀이를 더 즐거워하고 더 많은 반응을 보인다는 반응성 애착장애아의 특성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놀이치료를 통해 사례 아동의 놀이영역이 확장되었고, 감소된 스트레스 반응을 보임으로서 반응성 애착 장애아의 애착행동이 변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놀이치료를 통해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하고, 환경에 관심을 갖게 됨으로서 사회성 영역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1.윤현숙(1992). 반응성 애착장애아의 발달 및 병리 특성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송지윤(1997). 애착장애 아동의 애착 Q-Set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이경숙(1997). 애착장애 아동의 특성과 부모-아동 관계 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박숙경(1996). 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신정현(1997). 애착장애아와 언어장애아의 특성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강차연(1999). 어머니 애착유형과 결혼갈등, 자녀양육행동 및 아동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
7.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