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고등 과학 자정 작용과 생물의 농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 따른 영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배재, 경성]
실험 및 결과
영향
㉠ 영양 염류 측정 : 질산염, 인산염 과다
부영양화로 먹이가 풍부하여 양식장 어류의 생체량 증가
㉡ 용존 산소량 측정 : 용존 산소량 감소
산소 부족으로 어패류가 집단으로 폐사
㉢ 수온 측정 : 수온 상승
대사 촉진으로 굴 양식장의 생산량이 증가
㉣ 퇴적물 분석 : 규조류, 편모조류 의 사체 증가
분해 미생물의 증가로 독성 물질 증가
① ㉠, ㉡② ㉠, ㉣
③ ㉡, ㉢④ ㉡, ㉣
⑤ ㉢, ㉣
44. 다음 그래프는 농경지에서 어떤 해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살충제를 1회 사용하였을 때, 그 해충 개체군과 거미 개 체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살충제를 사용한 결과 살충제를 사용하기 전보다 해충은 더욱 증가하였다. 그 이유를 설명하는 가설로 타당한 것은 ? [인천, 오금]
① 살충제에 의해 해충의 경쟁자인 거미가 모두 제거 되었기 때문이다.
② 살충제에 의해 해충의 천적인 거미가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③ 거미가 해충에 비해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④ 살충제가 해충의 생식 활동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⑤ 해충의 체내에 살충제가 농축되기 때문이다.
45. 오른쪽 그래프는 농경지에 어떤 해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살충제를 1회 사용하였을 때, 그 해충 개체군과 거미 개체군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의 해석 으로 옳은 것은 ? [개포, 부천]
① 해충과 거미는 서로 경쟁 관계에 있다.
② 살충제를 사용한 결과 해충은 전보다 증가하였다.
③ 거미가 감소한 것은 해충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④ 해충 개체군의 크기는 주기적으로 변한다.
⑤ 해충 개체군의 출생률은 일정하다.
46. 다음 표는 어느 생태계에서 먹이 연쇄의 영양 단계에 따라 조사된 DDT의 농도 이다.
영양 단계
늪의 물 또는 생물
DDT 농도(ppm)
무기 환경
늪의 물
5.0×10-6
생산자
돌말
4.0×10-3
1차 소비자
물벼룩
7.0×10-2
2차 소비자
미꾸라지
2.6×10-1
3차 소비자
메기
5.8
4차 소비자
농병아리(근육)
농병아리(지방)
20.4
128.9
이 자료에 대한 옳은 해석은 ? [신목, 광명]
① DDT는 유기물로서 생체 내에서 잘 분해된다.
② 물 속에 녹아 있는 DDT는 모두 생물체에 흡수된다.
③ 생물체의 크기가 클수록 DDT에 대한 내성이 강해진다.
④ 생물체 내에서 DDT는 쉽게 배설되는 물질이다.
⑤ DDT는 상위 영양 단계로 갈수록 점점 심하게 농축되는 물질이다.
47. 다음 표는 미국 오하이오의 자연 보존 협회에서 이리호의 농어에 함유된 PCB의 양을 조사한 것이다.
장소
농어 크기(cm)
A지역 B지역C지역 D지역
9~9.9
0.56 0.610.47 0.84
10~10.9
0.96 0.420.93 0.88
11~11.9
1.41.21.01.3
12~12.9
1.91.21.51.0
13~13.9
1.71.82.62.4
(단위 : ppm)
이 자료에 대한 해석 중 가장 옳은 것은 ?[한영, 제물포]
① 농어에 함유된 PCB의 농도는 A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② C 지역은 PCB의 오염이 너무 심해 14cm 이상의 농어는 살 수 없다.
③ 각 지역의 PCB 오염 정도는 그 지역에서 잡힌 농어에 함유된 PCB 농도와 정확히 일치한다.
④ 일반적으로 농어의 크기가 커질수록 PCB의 함유량도 증가하고 있다.
⑤ PCB는 농어의 생존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48. 다음은 어느 하천의 오수 유입에 따른 DO와 BOD 값을 조사한 자료이다.
위의 그래프에서 유기물이 다량 유입된 지점은 몇 km 지점인가 ?[서울, 계원예]
① 0km 지점
② 0~1.0km 지점
③ 1.0km 지점
④ 1.0~2.0km 지점
⑤ 2.0km 지점
[49~50] 모기가 매우 많은 열대 지방의 어느 섬에서 몇 달에 걸쳐 DDT를 살포하면서 매일 모기 개체군 의 크기를 조사하여 오른쪽과 같은 그래프를 얻었다.
49. 이 그래프에 대한 해석으로 올바른 것은 ? [정신여]
① 모기는 DDT에 민감하지 않다.
② DDT 살포 후 개체군의 크기는 일단 감소한다.
③ DDT 살포 후 120일 만에 개체군의 크기는 영구히 감소한다.
④ DDT 살포 후 30일이 지나자 원래 있던 모기들은 모두 죽었다.
⑤ DDT를 살포한지 1년 후에는 모기 개체군의 크기가 살포하기 전보다 훨씬 커질 것이다.
50. 그래프에서 DDT를 살포하기 시작한 후 몇 일 후에 처음 개체군의 크기로 회복 하였는가 ? [선덕, 현대]
① 약 10일② 약 40일
③ 약 70일④ 약 100일
⑤ 약 160일
해수 또는 생물
수은의 농도(ppm)
바닷물
0.002
작은 물고기
0.2
큰 물고기
20
플랑크톤
0.1
사람, 고양이
500(미나마타병)
51. 다음은 미나마타병이 발생한 일본의 미나 마타 만의 바닷물과 그 속에 사는 생물 및 바닷가 근처에 사는 사람 등의 체내 에서 검출된 수은(Hg)의 농도이다.
이 자료에 대한 옳은 해석을 다음에서 모두 고르면 ? [단대부고]
㉠ 바닷물 속의 수은은 인체에서 25만 배 농축되었다.
㉡ 큰 물고기 속의 수은의 농도는 작은 물고기의 100배이다.
㉢ 미나마타 지방 사람들은 미나마타 만에서 잡은 물고기를 먹었다.
㉣ 미나마타병이 나타난 사람들은 바닷물을 증류하여 식수로 사용하였다.
① ㉠, ㉡, ㉢② ㉠, ㉡, ㉣
③ ㉠, ㉢, ㉣④ ㉡, ㉢, ㉣
⑤ ㉠, ㉡, ㉢, ㉣
52. 다음 그래프는 1940년부터 1990년까지 측정한 DDT 사용량의 변화와 토양 및 물고기에서 검출된 DDT의 양을 나타낸 것이고, 그 이후는 예상되는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에 대한 옳은 해석을 다음에서 모두 고르면 ? [경복, 영파여]
㉠ DDT 사용량을 줄이기 시작한 지 약 5년이 지나서야 토양 속의 DDT 함유량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 DDT 사용을 중단한 후에도 물고기 체내에서는 DDT가 검출된다.
㉢ DDT는 생물체 내에서 배설되지 않고 농축되는 물질이다.
㉣ 생물체 내에서 DDT는 빠른 속도로 분해된다.
① ㉠, ㉡, ㉢② ㉠, ㉡, ㉣
③ ㉠, ㉢, ㉣④ ㉡, ㉢, ㉣
⑤ ㉠, ㉡, ㉢, ㉣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12.0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9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