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21~150
본문내용
으로 많은 양의 잉크를 표백하는 것이다.
(A) 표백제 1통으로 표백 가능한 잉크의 양
(A) 표백제 1원으로 표백 가능한 잉크의 양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단가당 가장 많은 양을 표백할 수 있는 것은 C 답 ③
※ 오른쪽 그림과 같이 U자관에 반투막을 경계로 왼쪽에는 물을, 오른쪽에는 용액을 같은 부피 넣고 한참 후 액면의 높이차 를 측정하려고 한다.
145. 다음과 같이 용액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했을때 액면의 높이 차 의 크기가 바르게 예측된 것은 ?(단, 전해질은 100% 이온화한다.)
실험
용액
(가)
(나)
(다)
(라)
0.1M 요소 용액
0.1M 염화나트륨 수용액
0.2M 포도당 수용액
0.2M 염화칼슘 수용액
① (라) = (다) > (가) = (나)② (라) > (다) = (나) > (가)
③ (라) > (다) > (나) > (가)④ (가) > (나) = (다) > (라)
⑤ (가) = (나) > (다) = (라)
풀이 : 일정 온도에서 묽은 용액의 삼투압은 용액의 총 몰농도에 비례한다. 전해질의 경우는 이온화된 전체 몰농도에 비례한다. 각 용액의 총 몰농도는, (가) 0.1M (나) 0.2M (다) 0.2M (라) 0.6M이다. 따라서, 삼투압의 크기는, (라) > (나) = (다) > (가)이다.
삼투압과 반트 - 호프의 법칙
답 ②
146. 다음 문장에서 바이러스(virus)의 생물적 특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두 개 고르면 ?
바이러스(virus)는 박테리아보다도 훨씬 작은 초현미경적인 생물인데, 이것은 다른 생물체 안에서는 숙주의 세포 기관을 이용하여 물질을 합성하고 증식하지만, 숙주의 세포 밖에서는 어떠한 물질 대사도 하지 않고, 다만 소금이나 설탕과 같은 결정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의 결정을 다시 숙주의 세포 속에 넣어 주면 훌륭하게 증식하며 물질 대사를 한다.
① 숙주의 세포 속에서 증식을 한다.
② 숙주의 세포 속에서 물질 대사를 한다.
③ 숙주의 세포 밖에서는 결정으로 존재한다.
④ 바이러스는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물이다.
⑤ 바이러스는 초현미경적으로 작은 생물이다.
풀이 : 생명의 특징으로는 물질 대사 작용을 하며, 생식, 항상성, 유전등의 현상이 있다. 답 ①, ②
147. 오른쪽 그림은 어느 날 적도와 중위도 지방에서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적도와 중위도 지방에서 기온 감률이 모두 6.5℃/km라고 한다. 두 지방의 지상 기온이 각각 25℃, 10℃일 때, 두 지방의 대류권계면에서 기온의 차는 ?
① 9℃② 10℃③ 11℃
④ 12℃⑤ 13℃
풀이 : 적도 지방에서 대류권계면의 온도는
중위도 지방에서 대류권계면의 온도는 답 ③
※ 병환이는 RbBr의 결합 거리를 알아보려고 하였으나 찾지 못하고 다음 세 물질의 결합 거리만을 찾을 수 있었다.
물질
RbCl
KCl
KBr
핵간 거리 (Å)
3.28
3.14
3.29
148. 이 자료를 이용하여 RbBr의 결합 거리를 계산하면 몇 Å인가 ?
① 3.07② 3.21③ 3.29④ 3.43⑤ 계산 불가
풀이 :각 원자의 반지름을 원소 기호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Rb + Cl = 3.28 …… (1)
K + Cl = 3.14 …… (2)
K + Br = 3.29 …… (3)
문제에서는 (Rb + Br)의 값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1)+(3)-(2)”를 하면 된다.
원자 반지름의 결정 : 두 개의 같은 원자가 결합한 상태에서 두 원자의 핵간 거리의 절반을 원자 반지름으로 사용한다. 답 ④
149.
자동차가 수평면에서 직선 운동을 하고 있다. 이 때 임의의 한 구간을 선택하여 4초 동안의 이동 거리를 그래프와 같이 나타내었다. 이 구간 동안 자동차의 속력()과 시간()의 그래프로 옳은 것은 ?
①
②
③
④
⑤
풀이 : 0~1초 사이는 속력이 감소하는 구간, 1~2초 사이는 반대 방향으로 속력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구간, 2~3초 사이는 진행 방향으로 속력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구간, 3~4초 사이는 속력이 반대 방향으로 증가하는 구간, 그리고 1초, 2초, 3초 때는 속력이 0이다. 답 ①
15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작은 생수병에 들어 있는 물의 몰수를 구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물의 부피 ㄴ. 물의 밀도ㄷ. 산소의 원자량
ㄹ. 수소의 원자량 ㅁ. 물의 분자식
① ㄱ, ㄴ, ㅁ② ㄴ, ㄷ, ㄹ③ ㄴ, ㄷ, ㄹ, ㅁ
④ ㄱ, ㄴ, ㄷ, ㄹ⑤ ㄱ, ㄴ, ㄷ, ㄹ, ㅁ
출제의도 :원자량과 밀도를 이용하여 몰수를 구할 수 있는가 ?
혼합물 속에 들어 있는 구성 물질의 몰수를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수한 용매의 몰수를 구할 수 있는가 ?
풀이핵심 : 순수한 용매의 부피로부터 용매의 질량을 구하고 구한 질량으로부터 그 용매의 몰수를 구하면 된다. 즉, 질량을 분자량으로 나눈 값이 몰수이다.
풀이
1. 물의 몰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의 질량을 알아야 한다. 주어진 자료 중에는 질량이 없으므로 질량을 구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찾아야 한다.
2. 물의 부피와 밀도를 알면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즉 밀도(g/mL)와 부피(mL)를 곱한 값이 질량이다.
3. 물의 질량을 구했으므로 물의 분자량을 알면 몰수를 구할 수 있다. 물의 분자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물의 분자식과 구성 원소들의 원자량을 알아야 한다.
배경지식
1. 몰수를 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물건의 질량이 주어지면 원자의 경우에는 원자량으로, 분자의 경우에는 분자량으로 나누면 된다.
2. 분자량은 분자 1몰의 질량이다.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질량의 합이므로 분자식을 모르면 분자량을 구할 수 없다.
3. 순수한 물 1L의 경우 몰수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즉 물 1L의 질량은 물의 밀도가 1g/mL이므로 1,000g이다. 그러므로 몰수는 질량 1,000g을 분자량 18로 나누면 약 55.6 몰이 된다. 답 ⑤
〔151-152〕※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과산화수소는 산성 조건에서 요오드 이온과 반응하여 요오드를 생성한다.
→
아래 표는 반응 물질의 농도가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몇 가지 실험 결과이다.
(A) 표백제 1통으로 표백 가능한 잉크의 양
(A) 표백제 1원으로 표백 가능한 잉크의 양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단가당 가장 많은 양을 표백할 수 있는 것은 C 답 ③
※ 오른쪽 그림과 같이 U자관에 반투막을 경계로 왼쪽에는 물을, 오른쪽에는 용액을 같은 부피 넣고 한참 후 액면의 높이차 를 측정하려고 한다.
145. 다음과 같이 용액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했을때 액면의 높이 차 의 크기가 바르게 예측된 것은 ?(단, 전해질은 100% 이온화한다.)
실험
용액
(가)
(나)
(다)
(라)
0.1M 요소 용액
0.1M 염화나트륨 수용액
0.2M 포도당 수용액
0.2M 염화칼슘 수용액
① (라) = (다) > (가) = (나)② (라) > (다) = (나) > (가)
③ (라) > (다) > (나) > (가)④ (가) > (나) = (다) > (라)
⑤ (가) = (나) > (다) = (라)
풀이 : 일정 온도에서 묽은 용액의 삼투압은 용액의 총 몰농도에 비례한다. 전해질의 경우는 이온화된 전체 몰농도에 비례한다. 각 용액의 총 몰농도는, (가) 0.1M (나) 0.2M (다) 0.2M (라) 0.6M이다. 따라서, 삼투압의 크기는, (라) > (나) = (다) > (가)이다.
삼투압과 반트 - 호프의 법칙
답 ②
146. 다음 문장에서 바이러스(virus)의 생물적 특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두 개 고르면 ?
바이러스(virus)는 박테리아보다도 훨씬 작은 초현미경적인 생물인데, 이것은 다른 생물체 안에서는 숙주의 세포 기관을 이용하여 물질을 합성하고 증식하지만, 숙주의 세포 밖에서는 어떠한 물질 대사도 하지 않고, 다만 소금이나 설탕과 같은 결정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의 결정을 다시 숙주의 세포 속에 넣어 주면 훌륭하게 증식하며 물질 대사를 한다.
① 숙주의 세포 속에서 증식을 한다.
② 숙주의 세포 속에서 물질 대사를 한다.
③ 숙주의 세포 밖에서는 결정으로 존재한다.
④ 바이러스는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물이다.
⑤ 바이러스는 초현미경적으로 작은 생물이다.
풀이 : 생명의 특징으로는 물질 대사 작용을 하며, 생식, 항상성, 유전등의 현상이 있다. 답 ①, ②
147. 오른쪽 그림은 어느 날 적도와 중위도 지방에서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적도와 중위도 지방에서 기온 감률이 모두 6.5℃/km라고 한다. 두 지방의 지상 기온이 각각 25℃, 10℃일 때, 두 지방의 대류권계면에서 기온의 차는 ?
① 9℃② 10℃③ 11℃
④ 12℃⑤ 13℃
풀이 : 적도 지방에서 대류권계면의 온도는
중위도 지방에서 대류권계면의 온도는 답 ③
※ 병환이는 RbBr의 결합 거리를 알아보려고 하였으나 찾지 못하고 다음 세 물질의 결합 거리만을 찾을 수 있었다.
물질
RbCl
KCl
KBr
핵간 거리 (Å)
3.28
3.14
3.29
148. 이 자료를 이용하여 RbBr의 결합 거리를 계산하면 몇 Å인가 ?
① 3.07② 3.21③ 3.29④ 3.43⑤ 계산 불가
풀이 :각 원자의 반지름을 원소 기호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Rb + Cl = 3.28 …… (1)
K + Cl = 3.14 …… (2)
K + Br = 3.29 …… (3)
문제에서는 (Rb + Br)의 값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1)+(3)-(2)”를 하면 된다.
원자 반지름의 결정 : 두 개의 같은 원자가 결합한 상태에서 두 원자의 핵간 거리의 절반을 원자 반지름으로 사용한다. 답 ④
149.
자동차가 수평면에서 직선 운동을 하고 있다. 이 때 임의의 한 구간을 선택하여 4초 동안의 이동 거리를 그래프와 같이 나타내었다. 이 구간 동안 자동차의 속력()과 시간()의 그래프로 옳은 것은 ?
①
②
③
④
⑤
풀이 : 0~1초 사이는 속력이 감소하는 구간, 1~2초 사이는 반대 방향으로 속력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구간, 2~3초 사이는 진행 방향으로 속력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구간, 3~4초 사이는 속력이 반대 방향으로 증가하는 구간, 그리고 1초, 2초, 3초 때는 속력이 0이다. 답 ①
15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작은 생수병에 들어 있는 물의 몰수를 구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물의 부피 ㄴ. 물의 밀도ㄷ. 산소의 원자량
ㄹ. 수소의 원자량 ㅁ. 물의 분자식
① ㄱ, ㄴ, ㅁ② ㄴ, ㄷ, ㄹ③ ㄴ, ㄷ, ㄹ, ㅁ
④ ㄱ, ㄴ, ㄷ, ㄹ⑤ ㄱ, ㄴ, ㄷ, ㄹ, ㅁ
출제의도 :원자량과 밀도를 이용하여 몰수를 구할 수 있는가 ?
혼합물 속에 들어 있는 구성 물질의 몰수를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수한 용매의 몰수를 구할 수 있는가 ?
풀이핵심 : 순수한 용매의 부피로부터 용매의 질량을 구하고 구한 질량으로부터 그 용매의 몰수를 구하면 된다. 즉, 질량을 분자량으로 나눈 값이 몰수이다.
풀이
1. 물의 몰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의 질량을 알아야 한다. 주어진 자료 중에는 질량이 없으므로 질량을 구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찾아야 한다.
2. 물의 부피와 밀도를 알면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즉 밀도(g/mL)와 부피(mL)를 곱한 값이 질량이다.
3. 물의 질량을 구했으므로 물의 분자량을 알면 몰수를 구할 수 있다. 물의 분자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물의 분자식과 구성 원소들의 원자량을 알아야 한다.
배경지식
1. 몰수를 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물건의 질량이 주어지면 원자의 경우에는 원자량으로, 분자의 경우에는 분자량으로 나누면 된다.
2. 분자량은 분자 1몰의 질량이다.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질량의 합이므로 분자식을 모르면 분자량을 구할 수 없다.
3. 순수한 물 1L의 경우 몰수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즉 물 1L의 질량은 물의 밀도가 1g/mL이므로 1,000g이다. 그러므로 몰수는 질량 1,000g을 분자량 18로 나누면 약 55.6 몰이 된다. 답 ⑤
〔151-152〕※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과산화수소는 산성 조건에서 요오드 이온과 반응하여 요오드를 생성한다.
→
아래 표는 반응 물질의 농도가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몇 가지 실험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