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론> 간질장애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복지론> 간질장애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질장애 정의

2. 간질장애 원인 및 진단

3. 간질장애 판정 기준

4. 간질장애 현황

5. 간질장애 종류 및 증상

6. 간질장애 치료법

7. 간질발작 시 응급 처치

8.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제

9. 간질 환자들이 유의해야 할 점

본문내용

1. 간질장애의 정의
간질성 발작
뇌세포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신경학적 증상(신체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상이 있는 뇌의 부위에 따라 : 의식의 소실, 사지의 경련, 언어장애, 신체의 이상감각 등.
∴ 발작 → 뇌의 이상으로 반복 → 간질 or 전간
전 인구의 약 0.5 ~ 2% (당뇨병 발병율과 비슷)
매년 10만 명 당 45명 정도의 새로운 환자 발생
우리나라 : 약 30 ~ 40만 명의 간질환자 있는 것으로 추정 / 매년 2만 명 정도의 새로운 간질환자 발생
약물 치료로 80% 정도 완치 가능
2. 간질장애 원인 및 진단
원인
유전적인 경향은 상대적으로 적고, 후천적인 원인이 더 많음간질은 그 원인에 따라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1) 특발성 간질(Idiopathic epilepsy) : 유전적 소인 이외에 현재의 진단 기술로서도 그 어떤 원인도 찾을 수 없는 경우. (전체 간질의 60~70%)
2) 증후성(후천성, 기질성)간질 : 원인이 명백. 뇌의 손상이나 질환, 기타의 신체 질환 등이 원인.
(2) 진단
1) 혈액 및 기타 체액 검사
2) 일반뇌파검사
3) 뇌 촬영
4) 수술 전 검사
  ① 특수뇌파검사
  ② 영상 진단 검사
  ③ 신경심리학적 검사
  ④ 전기 자극 검사
⑤ 좌, 우 대뇌 반구의 기능검사(와다(wada)검사)
⑥ 정신과적 평가
3. 간질장애 판정기준
(1)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 장애인등록 직전 6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신경과·신경외과·정신과· 소아과(소아의 경우만) 전문의
(2) 진료기록의 확인 : 장애진단을 하는 전문의는 원인 질환 등이 3년이 경과하고 2년 이상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 후에도 장애가 고착되었음을 진단서, 소견서, 진료기록 등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필요 시 환자에게 타 병원 진료기록 등을 제출케 함.)
(3) 장애진단 및 재판정  
1) 장애가 고착 되었을 때 진단. 최초진단 이후 3년이 경과하고 2년 이상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장애를 진단한다.
3) 장애인등록 이후 성인 : 매 3년마다 / 18세 미만 : 매 2년마다 장애등급을 재판정한다. 다만, 2회에 걸친 재판정에서 최초판정시와 동급판정(최초판정을 합하여 3회에 걸쳐 동급판정)을 받은 경우에는 이후의 의무적인 재판정에서 제외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6.12.02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379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