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지방정치의 시대에서 지방경영의 시대로)
Ⅱ. 자치경영화의 개념
Ⅲ. 자치경영화의 목표와 수단
Ⅳ. 민간경영기법의 도입
(1) 행정에 응용 가능한 민간경영기법
① 원가개념, 비용개념
② 경영적 조직구조
③ 유인체제, 경쟁체제
④ 고객지향의 서비스 공급체계
⑤ 벤치마킹전략
(2) 행정에의 도입의 한계
Ⅴ. 경영사업의 활성화
(1) 수익자부담 원칙의 확대
(2) 경영수익사업의 적극화
(3) 지방공기업의 적정화
(4) 제3섹타 방식의 활용
Ⅱ. 자치경영화의 개념
Ⅲ. 자치경영화의 목표와 수단
Ⅳ. 민간경영기법의 도입
(1) 행정에 응용 가능한 민간경영기법
① 원가개념, 비용개념
② 경영적 조직구조
③ 유인체제, 경쟁체제
④ 고객지향의 서비스 공급체계
⑤ 벤치마킹전략
(2) 행정에의 도입의 한계
Ⅴ. 경영사업의 활성화
(1) 수익자부담 원칙의 확대
(2) 경영수익사업의 적극화
(3) 지방공기업의 적정화
(4) 제3섹타 방식의 활용
본문내용
순공공재보다는 민간재적 성격이 큰 상품을 시장원리에 의하여 공급하는 사업을 말하며, 이러한 경영수익사업을 통해서 자치단체는 수입증대와 공익증진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지역의 부존자원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3) 지방공기업의 적정화
지방공기업은 그 직접경영방식과 간접경영방식 모두에 있어서 개선과 조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현재 직접경영기업중 공공성이 그리 크지 않은 기업을 간접경영방식으로 전환하고, 간접경영기업에 있어서는 전문경영인을 확보하는 등의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4) 제3섹타 방식의 활용
제3섹타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혼합부문으로서 민관합동부문을 말한다. 민간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는 이 방식은 공공부문의 수익성과 비능률 및 관료주의의 폐해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3) 지방공기업의 적정화
지방공기업은 그 직접경영방식과 간접경영방식 모두에 있어서 개선과 조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현재 직접경영기업중 공공성이 그리 크지 않은 기업을 간접경영방식으로 전환하고, 간접경영기업에 있어서는 전문경영인을 확보하는 등의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4) 제3섹타 방식의 활용
제3섹타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혼합부문으로서 민관합동부문을 말한다. 민간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는 이 방식은 공공부문의 수익성과 비능률 및 관료주의의 폐해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