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31~60
본문내용
59. 다음 내용과 관련 있는 사상가의 윤리적 관점을 잘못 진술한 것은 ?
① 인간의 선한 본성은 육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질을 떠날 수 없다.
② 본성은 인간의 이치이므로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부여되고 있다.
③ 인격이 완성된 사람은 기질과 본성이 일치하는 성품을 지니고 있다.
④ 기질은 개인 차이가 있지만 언제나 어리석거나 악한 성격을 지닌다.
⑤ ‘이(理)’는 생겨나지도 소멸하지도 않는 것이며 ‘기(氣)’에 앞서 존재한다.
60. 다음과 같은 사회 현상의 개선점을 어떤 유교 사상에서 찾을 수 있는가 ?
세태는 시들고 도의는 희미하여 사설(邪說)과 폭행이 일어나서 신하로서 그의 임금을 시해하는 자가 있고 자식으로서 그의 아비를 시해하는 자가 있게 되었다.
① 도덕성의 회복 - 인(仁)
② 사회 개혁 - 법치(法治)
③ 구세 정신 - 부국 강병
④ 사회 환경 개선 - 경애 사상
⑤ 이상 사회 실현 - 무위(無爲)
31. ⑤
①~④번까지는 도가 사상의 공통적인 특징들이고, ⑤번에서 나타난 합리주의는 서양 윤리 사상의 성격이다.
32. ④
④는 도가의 무위 자연(無爲自然) 사상이며, 나머지는 공자의 인(仁)을 나타내는 말이다.
33. ②
순자의 예(禮)는 능력에 따른 차별의 논리를 현실적인 제도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34. ②
공과격은 선악행에 대한 대차 대조표로서 선한 행위는 복을 악한 행위는 벌을 받는다는 사상
35. ④
루소의 사회 계약론 14장에 나오는 글에서 인용한 것으로 주권 재민을 주장한 글이다.
36. ⑤
장자도 노자와 같이 강제적 국가 권력이나 제도적 장치를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 보았다.
37. ②
연기설을 깨달을 때 자비의 윤리가 나타난다. ②를 제외한 나머지 행위는 모두 자비의 행위이다.
38. ③
공과격 - 선한 행동을 하면 복을 받는다는 인과 응보(因果應報)의 사상
39. ②
동양 윤리는 외부의 규율보다는 그런 행위를 애초에 가능하게 하는 내면의 윤리적인 품성과 덕성을 중시했다.
40. ⑤
주어진 자료에서는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을 들어 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41. ①
인간의 행동이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 이루어질 때 자기 자신의 주체성까지를 자율적으로 확립시켜야 한다는 것, 즉 자율적 실천 의지를 말한다.
42. ①
유학 사상에 있어서 가치 평가의 척도를 사농공상의 순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개인의 이해 타산적인 행동을 저급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43. ④
동양 윤리 사상은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서 나타나게 되었고, 각 사상가들에 의해서 많은 문제가 해결이 되었다. 그러나 ④에 제시된 노자의 입장은 오히려 국가가 강제하기 때문으로 보고 억제를 요구했었다.
44. ④
모든 가치는 상대적이며, 나름대로의 존재 가치가 있다는 장자의 견해는 ④이다.
45. ②
격물치지의 내용은 ㉠이며, 존양 성찰의 내용은 ㉢이다.
46. ②
47. ④
제시된 글은 <맹자>에 나오는 고자와 맹자의 인성에 관한 대화 내용을 요약 설명한 것이다. ‘가’는 인간의 본성이 선천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고, ‘나’는 인간의 성품이 본래 인의(仁義)의 덕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48. ⑤
‘가’는 인간을 선천적으로 내면적 도덕성을 지니고 있는 존재라고 보는 맹자, ‘나’는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 욕구로 가득 차 있다고 보는 순자, ‘다’는 주희의 심성론이다.
49. ①②
50. ⑤
51. ③
52. ③
53. ①
54. ②
제시된 내용은 주희를 중심으로 한 성리학의 특징으로서 학문의 목적이 전통 유가의 이념인 성인(聖人)이 되는 데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55. ④
자연과 내가 하나라는 생각이다.
56. ③
개인의 내면적 덕성이 문제 해결의 근본이라는 것이다.
57. ⑤
‘자비’를 실천하는 자세이다.
58. ③
‘가’는 인의예지의 네 가지 싹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 ‘나’는 감각적인 욕구를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는 성악설을 주장한 순자의 견해이다.
59. ④
주자는 우주 만물이 이(理)와 기(氣)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의 존제도 이러한 이와 기라는 궁극적 실재에 입각하여 설명하였다.
[60~61] <보기>와 같은 현상은 윤리도덕의 부재(不在)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도덕적 타락 현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유가(儒家)에서는 인(仁)의 회복을 강조하였다. 인(仁)이란 인간다움 그 자체이다.
60. ①
내신문제연구소
① 인간의 선한 본성은 육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질을 떠날 수 없다.
② 본성은 인간의 이치이므로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부여되고 있다.
③ 인격이 완성된 사람은 기질과 본성이 일치하는 성품을 지니고 있다.
④ 기질은 개인 차이가 있지만 언제나 어리석거나 악한 성격을 지닌다.
⑤ ‘이(理)’는 생겨나지도 소멸하지도 않는 것이며 ‘기(氣)’에 앞서 존재한다.
60. 다음과 같은 사회 현상의 개선점을 어떤 유교 사상에서 찾을 수 있는가 ?
세태는 시들고 도의는 희미하여 사설(邪說)과 폭행이 일어나서 신하로서 그의 임금을 시해하는 자가 있고 자식으로서 그의 아비를 시해하는 자가 있게 되었다.
① 도덕성의 회복 - 인(仁)
② 사회 개혁 - 법치(法治)
③ 구세 정신 - 부국 강병
④ 사회 환경 개선 - 경애 사상
⑤ 이상 사회 실현 - 무위(無爲)
31. ⑤
①~④번까지는 도가 사상의 공통적인 특징들이고, ⑤번에서 나타난 합리주의는 서양 윤리 사상의 성격이다.
32. ④
④는 도가의 무위 자연(無爲自然) 사상이며, 나머지는 공자의 인(仁)을 나타내는 말이다.
33. ②
순자의 예(禮)는 능력에 따른 차별의 논리를 현실적인 제도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34. ②
공과격은 선악행에 대한 대차 대조표로서 선한 행위는 복을 악한 행위는 벌을 받는다는 사상
35. ④
루소의 사회 계약론 14장에 나오는 글에서 인용한 것으로 주권 재민을 주장한 글이다.
36. ⑤
장자도 노자와 같이 강제적 국가 권력이나 제도적 장치를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 보았다.
37. ②
연기설을 깨달을 때 자비의 윤리가 나타난다. ②를 제외한 나머지 행위는 모두 자비의 행위이다.
38. ③
공과격 - 선한 행동을 하면 복을 받는다는 인과 응보(因果應報)의 사상
39. ②
동양 윤리는 외부의 규율보다는 그런 행위를 애초에 가능하게 하는 내면의 윤리적인 품성과 덕성을 중시했다.
40. ⑤
주어진 자료에서는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을 들어 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41. ①
인간의 행동이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 이루어질 때 자기 자신의 주체성까지를 자율적으로 확립시켜야 한다는 것, 즉 자율적 실천 의지를 말한다.
42. ①
유학 사상에 있어서 가치 평가의 척도를 사농공상의 순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개인의 이해 타산적인 행동을 저급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43. ④
동양 윤리 사상은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서 나타나게 되었고, 각 사상가들에 의해서 많은 문제가 해결이 되었다. 그러나 ④에 제시된 노자의 입장은 오히려 국가가 강제하기 때문으로 보고 억제를 요구했었다.
44. ④
모든 가치는 상대적이며, 나름대로의 존재 가치가 있다는 장자의 견해는 ④이다.
45. ②
격물치지의 내용은 ㉠이며, 존양 성찰의 내용은 ㉢이다.
46. ②
47. ④
제시된 글은 <맹자>에 나오는 고자와 맹자의 인성에 관한 대화 내용을 요약 설명한 것이다. ‘가’는 인간의 본성이 선천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고, ‘나’는 인간의 성품이 본래 인의(仁義)의 덕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48. ⑤
‘가’는 인간을 선천적으로 내면적 도덕성을 지니고 있는 존재라고 보는 맹자, ‘나’는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 욕구로 가득 차 있다고 보는 순자, ‘다’는 주희의 심성론이다.
49. ①②
50. ⑤
51. ③
52. ③
53. ①
54. ②
제시된 내용은 주희를 중심으로 한 성리학의 특징으로서 학문의 목적이 전통 유가의 이념인 성인(聖人)이 되는 데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55. ④
자연과 내가 하나라는 생각이다.
56. ③
개인의 내면적 덕성이 문제 해결의 근본이라는 것이다.
57. ⑤
‘자비’를 실천하는 자세이다.
58. ③
‘가’는 인의예지의 네 가지 싹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 ‘나’는 감각적인 욕구를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는 성악설을 주장한 순자의 견해이다.
59. ④
주자는 우주 만물이 이(理)와 기(氣)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의 존제도 이러한 이와 기라는 궁극적 실재에 입각하여 설명하였다.
[60~61] <보기>와 같은 현상은 윤리도덕의 부재(不在)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도덕적 타락 현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유가(儒家)에서는 인(仁)의 회복을 강조하였다. 인(仁)이란 인간다움 그 자체이다.
60. ①
내신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