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사상적 한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
* 《순자(筍子)》 *

2. 순자의 사상
1)유물주의 자연관
2)유물주의 인식론
3)성악설
(1) 순자의 자연관
(2)순자의 인성론-성악설
(3)성선설과 성악설 비교
(4)순자의 시각에서의 맹자의 이론.
4)정명론
5)예치주의

3. 영향과 평가

4. 사상적 한계

본문내용

걸쳐 사상과 습관을 교류하는 가운데 근거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순자는 여기에서 명은 사회 역사적 산물로서 사회성을 갖는다고 지적하였다.
5)예치주의
1. 예치의 필요성
순자에게 있어서 천의 개념은 자연 현상이고 의지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순자는 天人之分을 명확히 한다. 즉 순자는 천지(自然)는 스스로 다스릴 수 없는 까닭에 군자나 성인 즉 인간에 의해 다스려 지는 것이므로 무조건 하늘을 칭송하는 것은 하늘을 이용하는 것보다 못하다고 한다. 순자는 치국 수신의 예의법도는 성인이 제정한 인간들 스스로 발명한 것이지 천이 만들어 낸 자연 존재적인것이 아니라고 하여 천도에 의거하지 않는 人道의 건립 즉 人爲主義를 말한다.
또한 그는 성악설에 근거하여 예치주의를 주장하였다. 인간의 본성은 원래 악한 것이니, 선이라고 하는 것은 인위적인 노력에 의한 것이다. 사람은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어 이것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 ... 반드시 법에 의거하는 교화와 예의의 법도가 있어야 남에게 사양할 줄 알고 사회의 질서를 지킬 줄도 알아 세상의 평화가 유지될 것이다.
2.예치의 효용성
성왕은 예의를 분별함으로써 귀천의 등차와 장유의 차별을 두게 하고 어질고 어리석음과 능하고 능하지 못함의 구별을 알게 한 것은 모두 사람이 그 일을 맡아 각각 그 마땅함을 얻게 한 것이다.
또한 귀천의 신분이 균일하면 다스려지지 않고 세력이 균등하면 하나로 통일되지 않으며 모든 사람이 차별이 없으면 부릴수 없다.
이것은 새로운 봉건적 사회관계를 표명한 것으로 어진이를 숭상하고 재능있는 사람을 부릴 것을 강조했고 예를 높이고 어진 이를 존경할 것을 제기했다. 그는 예치주의를 통해 봉건사회의 계급적 억압과 등급제도를 옹호했다.
3.예악론
“음악이란 선왕의 기쁘고 즐거움을 수식한 것이다.....선왕이 기뻐하면 온천하가 기뻐하고......선왕의 도는 예악이 가장 성대한 것이다.”
“음악이 조화되고 평온하면 백성들이 화합하여 음탕한 데로 흐르지 아니하고 음악이 엄숙하고 장중하면 백성들이 하나같이 가지런하여 어지럽지 아니하며 백성들이 화합하여 가지런하면 군대는 강하고 성은 견고하여 적국이 감히 넘보지 못한다.”
위에서 언급한 예가 강제성을 띠고 법률 군대등의 국가 기구와 서로 연관을 맺고있어서 인민에게 모두 엄숙할 것을 요구한다면 음악은 예술의 형식을 통해 군중을 감화시키고 통치자와 피통치자의 관계를 조화시켜 이들의 감정을 화합하게 하고 이는 통치자가 인민을 다스리는데 더욱 훌륭하게 기여할수 있다.
3. 영향과 평가
순자는 신흥 지주 계급을 대변한 사상가서 선진 각 유파의 철학과 학술 사상을 비판하고 총결하였다. 그의 사상은 중국의 양한 시대의 철학과 학술 사상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고, 후래의 유물주의 사상 발전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먼저 그는 천인관계에 대한 문제에서 춘추전국시대 이래의 각 파의 합리주의적인 요소를 총괄하여 적절히 종합하였다. 순자 이전에 노자, 송견 등의 학파에서는 천인관계에 대해 천도의 무위자연성을 주장하였고 인격적이고 의지적인 상제를 반대하는 데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공통적인 결점은 인간의 주관적 노력이 자연계에 대해 끼치는 개조 작용을 말살한 것이었다. 또한 공자, 묵자, 맹자의 철학 사상은 비록 인간의 주관적 능동성을 상조하였으나, 유심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주관적 능동성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하고 또 왜곡 시켰다. 이에 비하여 순자의 유물주의 자연관은 유물주의의 정확한 노선을 계승발전 시켰고, 인간의 작용을 무시한 그들의 결점을 극복하였다. 사람이 하늘을 극복할 수 있고 “천명을 제어하여 이용한다”(制天命而用之)는 그의 뛰어난 사상은 선진 시대의 천인관계에 대한 연구를 일층 높은 수준으로 올려 놓았다. 순자는 사물의 객관적 존재를 인정하는 기초 위에 마음의 주관적 사유 작용을 충분히 중시하여 유물주의의 주관과 객관을 대대(待對)하는 원칙을 관철시켰다. 또한 그는 궤변을 배척하는 가운데 논리 사유 법칙을 탐구하였고, 아울러 공자의 유심주의 정명사상을 개조하였다.
인성론에 있어 순자는 선천적 도덕 관념론을 비판하여 인간의 성과 정을 생리현상으로 파악하고 자연적인 정, 즉 천정(天情)이라 하였다. 이것은 후에 진보적인 사상가가 인성론에 대해 유물주의적 해석을 내리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순자 자신의 성악설은 여전히 유심주의적인 인성론이었다.
예와 법의 관계에 있어 순자는 신흥 봉건 지주 계급의 요구를 반영하여 법치주의의 새로운 정신을 흡수하고, 예치주의의 낡은 관념을 변화시켰다. 그의 예에 관한 이론은 윤리 강상의 규정에 대해서나 후에 봉건 사회를 공고히 하는 데 대해서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순자의 '예' 사상을 발전시켜 법가(法家) 사상의 대표자가 된 한비자나 이사 등은 직접적으로 그의 영향을 받았고, 이 법가 사상은 최초의 통일제국 진나라의 사상적 기반이 되기도 했다.
4. 사상적 한계
천인 관계에 있어 그가 인간의 주관 능동성을 강조한 것은 합리적이었지만 그 또한 “하늘을 알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것은 인간이 천의 객관 법칙에 대해 끊임 없이 심입해 가는 것을 제한하였다. 경험과 이성의 관계에 있어 그는 비교적 이성을 중시하였으나 경험을 가볍게 여기는 편향을 가지고 있었다. 인식론의 주관과 객관 관계에 있어 그는 마음의 “명령을 내릴 뿐, 명령을 받지 않는다”는 주관 작용을 중시하는 편협성을 보였다. 명실 문제에 있어 그는 논리가 정치를 위해 이바지 해야 한다는 협애한 견해를 갖고 있었기 땜누에 논리학을 하나의 독립 과학으로 깊게 연구할 수 없었다. 정치 사상에 있어 그는 예치를 중시하여 법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결여하였고, 예치를 절대화항구화시켜 신비주의적인 경향으로 흘렸다. 이상의 결점과 편견은 그의 유물주의 학설이 많은 방면에서 철저히 관철될 수 없게 하였고, 형이상학적인 영향에서 그를 완전히 벗어날 수 없게 하였다. 순자의 철학 가운데 이러한 결점과 모순은 주로 역사적 조건에 의해 제한 괸 것이며, 한편으로는 그의 착취 계급적 편견이 만들어 놓은 것이기도 하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7.0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