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맹자의 사상(성선설)
2. 순자의 사상(성악설)
2. 순자의 사상(성악설)
본문내용
고 하며, 세습제에 대한 철저한 부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순자는 군주란 백성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백성의 뜻을 거스르는 군주는 뒤집어엎을 수 있다고 함으로써 천명에 근거를 둔 맹자의 혁명론과 달리 직접적인 민중의 의지에 기반을 두기도 하였다. 예를 강조한 순자의 생각은 한비자(韓非子)와 이사(李斯) 같은 제자들을 통해 법가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추천자료
본질주의의 교육철학에서의 인간의 본성
에밀을 읽고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해석
성리학의 역사와 전개과정
배려 - 한상복 (독후감)
교육의 심리학적 기초(교육심리)
[A+ 평가 자료]이기적 유전자 서평.-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직업과 윤리] 윤리적 딜레마와 접근방법 - 야누스적 인간본성,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세가지...
아동 발달 이론의 정리
기독교 교육의 관점에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할것인가에 대하여 논술하시오
독학사_1단계_-_국민_윤리(요약본)
인간 교육
책: 순자(荀子) [독후감 : 독서] 순자- 유학자로서 또 다른 생각을 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