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고등 서양윤리 사상의 전개 02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객관식31~66

본문내용

는 진(眞)도 아니고 위(爲)도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행동에 옮겨 보고 그결과를 보아야 밝혀지는 것이다.
① 계몽주의 ② 공리주의
③ 실용주의 ④ 실존주의
⑤ 논리 실증주의
64. <보기>의 내용이 강조하는 것은 ? [분당서현고, 불정고]
자기가 있고 나서 세상이 있는 것이지, 세상이 있고 나서 자기가 있는 것은 아니다. 나라는 자는 아무도 대신할 수 없는 유일한 존재이다.
① 자아의 회복
② 이기심의 억제
③ 개성의 발휘
④ 삶의 본질 자각
⑤ 절대 존재의 인식
65. 다음의 말을 한 철학자의 윤리 사상으로서 거리가 먼 것은 ? [가락고, 잠신고]
“배부른 돼지가 되기보다는 배고픈 인간이 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만족스러운 바보가 되기보다는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① 인간의 존엄을 자각하고 있는 사람은 육체적 쾌락보다는 고상한 정신적 쾌락을 추구한다고 보았다.
② 아무리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일지라도 하나로만 간주하고 하나 이상이 나 이하로 계산해서는 안된 다고 주장하였다.
③ 인격의 존엄을 바탕으로 한 쾌락의 추구가 행복의 근원이라고 강조하였다.
④ 내적인 양심의 제재는 동정(同情)과 인애(仁愛)를 특징으로 하는 이타적인 사회적 감정이라고 보았다.
⑤ 이타심을 토대로 하여 공익(公益)과 정의(正義)를 실현하는 것을 도덕의 본질로 삼았다.
66. 실용주의(pragmatism)에 대한 설명으로서 바르지 못한 것은 ? [일신여상, 동대부고]
① 개인주의적 세계관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② 진리의 판단 기준을 보편적 절대성에서 찾고 있다.
③ 세계를 완결된 것이 아닌 미완성의 소재로 본다.
④ 행동과 실증에서 진리를 발견하고자 한다.
⑤ 지식이란 일상적인 문제 해결의 도구이며 수단이라고 본다.
31. ⑤
실용주의는 행동에 옮겨 본 결과가 유용하면 진리라고 보는 행동주의, 결과주의의 성격을 띤다. 또 진리란 우리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는 도구주의의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진리는 상대주의적 성격을 갖게 되고 보편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32. ②
①, ③, ④, ⑤는 진리를 유용성과 결부시켜 진술한 것들이므로 실용주의의 관점과 일치한다. 그러나 ②는 의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무론적 윤리설과 관계되는 진술이다.
33. ③
종교, 봉건 제도, 사회 부조리 비판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반형이상학적 사상이다.
34. ①
약육강식의 자연 세계와 마찬가지인 인간 사회의 모순점을 해결하려 하였다.
35. ②
칸트는 선한 행위란, ‘스스로가 해야만 한다’는 자율적 의무 의식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36. ②
스스로 보편 타당한 도덕 법칙을 세우고, 이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위하도록 명령한다.
37. ④
중세는 교회와 성직자의 권위주의와 신 중심의 윤리가 지배하였다.
38. ⑤
① 인간주의 철학, ② 귀납법, ③ 연역법, ④ 과학적 사회주의
39. ⑤
참된 지식이나 진리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건제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40 ④
인간의 본성 중 감각적 욕구의 측면을 중시한 윤리 사상은 그리스 키레네 학파의 쾌락주의 윤리설로부터 시작하여 근대 초기의 영국 경험론과 근대 중기의 홉스를 중심으로 한 자연주의 윤리설을 거쳐 근대 후기 공리주의 윤리설로 계승, 발전되었다.
41. ②
실제적 유용성을 진리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도구주의 지식관과 관련된 철학 사조이다.
42. ①
칸트의 실천 이성 명령 - 스스로 보편 타당한 도덕 법칙을 세우고 이를 의무적으로 행위하도록 하는 명령. 이것은 자신의 행복과는 관계없는 무조건적 명령임.
43. ④
질적 공리주의 - 벤담과는 달리 쾌락의 질적 차이 인정. 고상한 정신적 쾌락 주구 강조
*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인간이, 만족스러운 바보보다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가 바람직함.
44. ④
생철학은 헤겔의 이성주의와 계몽 철학의 주지주의를 비판하면서 주의주의(인간의 의지 중시)와 주정주의(감정 중시)의 입장을 취한다.
45. ②
이성 중시 - 그리스 철학, 스토이시즘, 합리론, 관념론, 특히 칸트의 철학 세계
감각적 욕구 중시 - 키레네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경럼론, 자연주의 윤리설, 공리주의
46. ④
47. ②
48 ⑤
선은 ‘의무’ 의식에 따라 행하는 것이다.
49. ④
스스로 도덕법칙을 세우고 그에 따라 실천하는 것을 의무로 알고 행하는 것이 도덕적 행위이다.
50. ③
질적 공리주의의 대표자인 밀(Mill, J. S.)의 말이다.
51. ①
52. ⑤
소재는 경험을 통해 얻어진 지식의 자료, 형식은 이성적 사유 범주이다.
53. ⑤
① 동굴의 우상, ②와 ③ 극장의 우상, ④ 시장의 우상과 관련이 있다.
54. ②
‘정 → 반 → 합 → …’ 의 지속적 반복을 변화 발전의 계기로 본 것은 변증법이다.
55. ②
변증법 - 우주 만물의 변화, 발전 방식으로서 정(正), 반(反), 합(合)의 3단계 방식
지양 - 버릴 것은 버리고 보존할 것은 보존하여 더 높은 차원으로 향하는 것
56. ①
주어진 내용은 돼지와 인간, 바보와 소크라테스의 삶은 질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삶의 과정에서 얻는 즐거움이나 행복도 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강조한 글이다. - 밀(Mill, J. S.)의 질적 공리주의
57. ③
③은 어떤 행위의 가치 판단의 기준을 순수한 동기에 두고 있으나, 나머지는 행위의 실제적 결과나 쾌락에의 기여도에 두고 있다. 전자(前者)는 칸트의 사상에 해당되고, 후자(後者)는 공리주의에 해당된다.
58. ①
주어진 내용에서 인간을 각자 존엄한 단독자로 보고 있기 때문에 자연히 주체적인 삶을 강조하게 된다.
59. ①
인간이 실존(實存) 문제를 중시하는 반이성적(反理性的) 사조이다.
60. ⑤
인간성 회복이 최고 목표이다.
61. ①
생철학은 계몽주의의 주지주의와 헤겔의 이성주의적 관점을 비판하고 등장한 주의주의반이 성주의 철학이다.
62. ⑤
보편 타당한 도덕 법칙에 따라 행위하려는 자율적 의지를 중시한다.
63. ③
일상 생활 속에서 획득한 경험적 지식에 의해 진리를 발견해 나가려는 철학 사조이다.
64. ①
<보기> 글의 핵심 내용 파악
65. ②
66. ②
내신문제연구소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2.04
  • 저작시기199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0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