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책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교육제도의 확대는 신라시대의 왕경의 귀족들만이 권력을 독점하고 일방적으로 중앙에서 지방을 통치하던 것에서 벗어나 지방 세력도 중앙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기틀이 마련된 것에 의의가 있다.
3. 맺음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라말기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시기는 정치·사회와 중앙·지방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정리하면 신라 골품제의 모순(객관적 기준이나 능력에 바탕을 둔 경쟁원리가 반영되지 않고 진골귀족과 왕실이 권력을 독점하는 구조와 폐쇄성, 중앙에서 지방을 일방적으로 지배하는 체제)에 이은 분쟁과 농민에 대한 수탈은 호족의 등장과 농민항쟁의 성과로 해체되고 결국 고려의 성립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고려는 이러한 모순을 타파하고자 과거제의 도입과 교육제도의 확대 등 여러 제도를 실시함으로 중앙과 지방의 소통을 도모하고 비교적 개방적인 신분제를 도용함으로서 이 시기를 한국중세사회의 성립으로 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나의 생각을 적자면 신라와 고구려만을 이 시기의 우리역사로서 다루는 것은 뭔가 부족함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 바로 발해가 다뤄지지 않는 것인데 발해에 대한 연구 성과가 부족한 것을 고려하더라도 발해사가 빠져있다는 것이 아쉽다. 고려도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였고 발해도 고구려의 계승을 표방한 국가이고 통일신라와 동시대에 존재했던 우리의 역사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우리의 역사가 위협받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 역사에 대한 좀 더 총체적이고 넓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한국중세사학회.『고려시대사강의』늘함께. 1997.
3. 맺음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라말기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시기는 정치·사회와 중앙·지방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정리하면 신라 골품제의 모순(객관적 기준이나 능력에 바탕을 둔 경쟁원리가 반영되지 않고 진골귀족과 왕실이 권력을 독점하는 구조와 폐쇄성, 중앙에서 지방을 일방적으로 지배하는 체제)에 이은 분쟁과 농민에 대한 수탈은 호족의 등장과 농민항쟁의 성과로 해체되고 결국 고려의 성립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고려는 이러한 모순을 타파하고자 과거제의 도입과 교육제도의 확대 등 여러 제도를 실시함으로 중앙과 지방의 소통을 도모하고 비교적 개방적인 신분제를 도용함으로서 이 시기를 한국중세사회의 성립으로 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나의 생각을 적자면 신라와 고구려만을 이 시기의 우리역사로서 다루는 것은 뭔가 부족함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 바로 발해가 다뤄지지 않는 것인데 발해에 대한 연구 성과가 부족한 것을 고려하더라도 발해사가 빠져있다는 것이 아쉽다. 고려도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였고 발해도 고구려의 계승을 표방한 국가이고 통일신라와 동시대에 존재했던 우리의 역사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우리의 역사가 위협받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 역사에 대한 좀 더 총체적이고 넓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한국중세사학회.『고려시대사강의』늘함께.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