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고등 한국지리 3-3도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42번

주관식1~17

본문내용

밀도가 높음
④ 출, 퇴근시 교통혼잡
⑤ 전문 상가, 백화점 밀집
* 다음 중심지 모형을 보고 물음에 답하라. (28-29)
28. 이 모델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중)
① 공업의 최적 입지
② 도시 분포의 규칙성과 계층성
③ 농업 경영의 지역차
④ 도시 건물의 수직적 분포
⑤ 도시 인구의 증가 현상
29. 중심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중)
① 중심지란 주변지역에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지역이다.
② 상위 계층의 중심지는 하위 계층의 중심지를 지배한다.
③ 교통이 발달하면 상위 계층의 중심지는 쇠퇴한다.
④ 상위 계층의 중심지는 하위 계층의 중심지에 비해 숫자가 적다.
⑤ 인구 밀도가 증가하면 중심지간격이 좁아진다.
30. 다음 그림과 같이 상위 중심지가 하위 중심지를 포섭하는 원리로 중심지간의 경쟁이 최소화하도록 배열되는 원리는?(중)
① 시장 원리
② 교통 원리
③ 행정 원리
④ 방어 원리
⑤ 집심의 원리
31. 다음 중 기능상 성격이 다른 도시는?(하)
① 울산 ② 포항 ③ 창원
④ 광양 ⑤ 태백
32. 다음 그림은 중심지 이론에 관한 것이다. 이 이론에 관한 내용이 잘못된 것은?(중)
① 도시분포의 규칙성과 도시간의 계층구조
② 종합병원, 초등학교, 식품점은 고위중심지에 속한다.
③ 인구밀도가 조밀해지면 저위중심지가 많이 생긴다.
④ 교통이 발달하면 고위중심지가 발달하고 저위중심지 쇠퇴
⑤ 중심지의 형태는 경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육각형을 이룬다.
33. 도시 내부구조에 관한 그림이다.
A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중)
① 중추 관리기능 담당
② 지가 높아 건물 고층화
③ 주택, 학교, 공장집중
④ 상주인구 감소
⑤ 백화점, 호텔, 관공서 집중
34. 일산, 분당, 중동, 평촌 산본 등의 신도시를 건설한 목적은?(중)
① 주택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② 공업기능 분산
③ 교통부족문제 해결
한국지리(상)
Ⅲ 생활공간의 변화
④ 환경문제 해결
⑤ 행정기관 이전
35. 다음 도시화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초기단계에 관한 내용 2개를 고르면?(중)
① 농업중심의 전통사회를 이룬다.
② 이촌향도현상으로 도시인구급증
③ 도시→농촌(역도시화 현상)
④ 1960년 이전의 우리나라
⑤ 후기산업사회로 선진국 해당
36. 우리나라의 도시문제에 대한 그 해결방안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중)
① 주택부족문제--신도시 건설
② 대기오염--그린벨트 설정
③ 교통혼잡--부도심 건설
④ 스프롤 현상--그린벨트 설정
⑤ 실업자 문제--도심에 새로운 산업시설 유치
37. 다음의 도시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중)
A B
① 도시화, 교통
② 교통, 광공업
③ 공공업, 도시화
④ 서비스, 행정
⑤ 행정, 상업
38. 시대별 우리나라 도시발달의 특색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중)
① 삼국 시대-지방 행정 도시 발달
② 조선 시대-3경 및 도호부
③ 일제 강점기-항만도시 발달
④ 1960년대-관광도시 발달
⑤ 1960년대 이후-철도 교통 도시 발달
39. 아래와 같이 도시 형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가장 중요한 요인은?(중)
① 상업 기능② 교통 기능③ 공업 기능
④ 서비스 기능⑤ 행정 기능
40. 다음 중심지 이론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상)
① 중심지가 형성되려면 최소 요구치가 재화 도달 범위밖에 위치하여야 한다.
② 경제가 향상되면 새로운 중심지가 형성된다.
③ 인구가 증가하면 중심지의 수는 증가하고 중심지간의 간격은 좁아진다.
④ 중심지 이론은 도시분포의 법칙성을 규명하고 있다.
⑤ 교통이 발달하면 저차 중심지는 고차 중심지에 흡수된다.
한국지리(상)
Ⅲ 생활공간의 변화
41. 아래의 그래프에서 상주인구밀도의 변화가 A에서 B로 변화될 때 도심지역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중)
① 주택문제
② 실업문제
③ 수질오염문제
④교통문제
⑤ 경제문제
42. 1960년 이후 도시의 인구 성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성장을 잘못 분석한 것은?(중)
① 이촌향도 현상으로 도시인구 급증
② 서울, 부산 등 거대도시 급성장
③ 수도권의 위성도시 급성장
④ 울산, 창원, 포항 등 신흥 공업도시 급성장
⑤ 원주, 청주, 전주 등 지방 중소도시 급격히 성장
<주 15> 중심지의 배후지 형태가 정육각형이 되는 원인을 쓰시오.(하)
<주 16> 도시 주변(외곽)지역에 개발 제한 구역(green belt)을 설치하는 가장 주된 원인을 쓰시오. (하)
<주 17> 도시가 수행하는 기능 중 외부 지역에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외부로부터 소득을 가져오는 활동을 무엇이라 하는가?(중)
▶ 단원명: III-3. 도시
번호
정답
번호
정답
번호
정답
번호
정답
1
4
26
3
51
76
2
5
27
3
52
77
3
4
28
2
53
78
4
5
29
3
54
79
5
2,5
30
1
55
80
6
1,5
31
5
56
81
7
1,2
32
2
57
82
8
3
33
3
58
83
9
3
34
1
59
84
10
2
35
1,4
60
85
11
4
36
5
61
86
12
5
37
2
62
87
13
2,3
38
3
63
88
14
4
39
2
64
89
15
1
40
1
65
90
16
5
41
4
66
91
17
2
42
5
67
92
18
3
43
68
93
19
1
44
68
94
20
4
45
70
95
21
2
46
71
96
22
4
47
72
97
23
1
48
73
98
24
2
49
74
99
25
4
50
75
100
◈ 정답지(주관식)
▶ 단원명: III-3. 도시
번호
정답
번호
정답
1
3계층
26
2
종합병원, 백화점, 귀금속점
27
3
경쟁의 최소화
28
4
쇠퇴
29
5
중심지 간격이 조밀해지고, 중심지수가 증가
30
6
공동화 현상
31
7
교외화
32
8
도시화
33
9
연담도시화(코너베이션:conurbation)
34
10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35
11
27
36
12
교통수단의 변화
37
13
부심(부도심)
38
14
그린벨트(Green Belt)
39
15
경쟁의 최소화
40
16
도시의 과도한 팽창 억제
41
17
기반 활동
42
18
43
19
44
20
45
21
46
22
47
23
48
24
49
25
50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2.04
  • 저작시기199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0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