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고1) 05 모의고사 언어영역 문제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을을 다녀와서
< 보기2 >
문제점
인식
해결책 모색
해결책 검토
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방법
발전소 때문에 공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①
발전소 규모가 커서 자연이 훼손될 위험이 있음.
…②
현재
전기가
부족함.
기존 발전소에서 전기를 끌어 쓰는 방법
마을이 기존 발전소와 멀리 떨어져 있어 송·배전 비용이 많이 듦.
…③
연료전지발전소를 건설하는 방법
규모가 커서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듦.
…④
아직은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함.
…⑤
【55-60】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가) 1.
타박 타박 타박녀야
너 어디로 울며 가니?
영영 가버린 어머니를 찾아
슬피 울며 타박타박 걸어가는 타박녀
내 나이 어렸을 제 ㉠어머니의 무릎을 베고, 혹은 코콜* 앞에 앉아 어머니로부터 들은 이야기로 말하면, 달 속의 계수나무와 옥토끼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견우ㆍ직녀 이야기, 천태산 마고할미 이야기, 구미호 이야기, 장사 이야기, 그리고 유충렬전, 조웅전, 장화홍련전, 심청전 등 고담책 이야기며, 이밖에도 이루 들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이야기를 들었지마는 그 가운데서 슬프기로는 타박녀 이야기가 으뜸이었다. 어디선가, 타박녀의 흐느끼는 울음소리 귓가에 들리는 듯하면, 타박타박 걸어가는 타박녀의 뒷모습이 눈앞에 서언하여, 나는 이 슬픈 환상 때문에 얼마나 울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나도 어느 사이에 어머니를 잃은 타박녀가 되었구나. 더욱이 나는 어머니와 함께 눈물도 동심도 다 잃어버린 세상에서 ㉡가엾은 고아가 되고 말았구나!
2.
내 나이 어렸을 때 우리들이 타관에 나와 단칸방 셋방살이로 돌아다니고 있을 때의 일이었다. 어떤 날 나는 어머니에게
“어머니는 내가 이 다암에 커서 무엇이 되기를 바라나?”
그때나 지금이나 다소 과대망상증을 가진 나는 자못 자신만만하다는 듯이 어머니의 소원을 물었다. 순간 ㉢어머니의 눈은 빛나셨다. 내 신념에 움직이신 듯. 그리고 은근한 어조로,
“강릉 군수가 되어 주렴.” 이것은 어머니의 향수. ㉣고향으로 돌아가시고 싶은 간절한 심정이시리라. 그러나 비단옷이 아니고는 돌아가시기를 원치 않으신다는 슬픈 결심이기도 하다. 아아, 어머니는 드디어 고향 길을 못 밟으시고 저 세상으로 가신 지 오래니 내 이제 강릉 군수를 한들 무엇하리.
- 김동명,「어머니」-
*코콜:고콜. 난방과 조명 기능을 하는 장치
(나) 쟁반 위 붉은 감이 고와도 보이나다
유자(柚子)가 아니어도 품엄 직도 하다마는
품어 가 반길 이 없을세 이를 슬퍼하노라
- 박인로 -
(다) 호미도 날이 있지만
[B]
낫같이 들 리도 없어라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둥셩
㉤어머님같이 사랑하실 리 없어라
아아 임아
어머님같이 사랑하실 리 없어라
- 지은이 모름,「사모곡」-
55.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점]
① (가)의 화자는 과거를 회상하며 서술하고 있다.
② (나)에는 그리움의 감정이 드러나 있다.
③ (다)는 생활 주변의 소재를 통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④ (가), (나)에는 화자의 정서가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다.
⑤ (가)~(다)는 현실 생활에서 지켜야 할 교훈을 강조하고 있다.
56. (가)의 첫머리에 [A]를 배치한 의도로 적절한 것끼리 묶인 것은?
ㄱ. 독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한다.
ㄴ. 대상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암시한다.
ㄷ. 글쓴이의 처지를 비유적으로 드러낸다.
ㄹ. 향토적이고 토속적인 분위기를 강조한다.
① ㄱ, ㄴ② ㄱ, ㄷ③ ㄴ, ㄷ
④ ㄴ, ㄹ⑤ ㄷ, ㄹ
57. ㉠~㉤ 중, (나)의 ‘슬퍼하노라’에 나타난 화자의 심리와 가장 유사한 것은? [1점]
① ㉠② ㉡③ ㉢④ ㉣⑤ ㉤
58. 발상 및 표현 면에서 [B]와 가장 유사한 것은? [3점]
① 구름 빛이 좋다 하나 검기를 자주 한다
바람 소리 맑다 하나 그칠 적이 하 많아라
좋고도 그칠 적 없기는 물뿐인가 하노라
②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③ 십 년을 경영하여 초려삼간(草廬三間) 지어내니
나 한 간 달 한 간에 청풍(淸風) 한 간 맡겨 두고
강산(江山)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
④ 사랑이 그 어떻더냐 둥글더냐 모나더냐
길더냐 짧더냐 밟고 남아 재겠더냐
구태여 긴 줄은 모르되 끝 간 데를 몰라라
⑤ 묏버들 골라 꺾어 보내노라 임에게
주무시는 창 밖에 심어 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 잎 나거든 나처럼 여기소서
59. <보기>의 밑줄 친 ‘설렁탕’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은?
< 보 기 >
아들이 아버지 없는 어려운 살림에서도 무사히 대학을 졸업하는 날. “뭘 먹을래?”라는 물음에 아들은 “설렁탕.”이라고 대답한다. ‘아들이 엄마의 지갑 사정을 생각해 주는 걸까? 왜 하필 설렁탕을……. 그렇구나, 너도 그렇게나 설렁탕을 좋아하던 아버지에게 네 졸업을 자랑하고 싶었구나.’ 식탁을 마주하고 우리는 둘 다 쉽게 수저를 들지 못했다.
① 코콜② 단칸방③ 비단옷
④ 붉은 감⑤ 낫
60. <보기>의 ‘내재적 관점’에 따라 (다)를 감상한 것은?
< 보 기 >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작품 안에서 찾는 방법과 작품 밖에서 찾는 방법이다. 전자를 내재적 관점이라고 하고 후자를 외재적 관점이라고 한다. 내재적 관점으로 작품을 감상할 때는 작품 자체에 나타난 어휘, 표현법 등 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해야 한다. 이와 달리 외재적 관점은 작품과 관련이 있는 작가의 삶, 시대적 배경, 독자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이다.
① 아버지를 ‘호미’에, 어머니를 ‘낫’에 비유한 것이 참신해 보이는군.
② 예나 지금이나 가족 구성원 간에 갈등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군.
③ 어머니의 사랑을 노래한 후대의 많은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을 거야.
④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이 부족한 요즘 세태에 경종을 울리는 것 같아.
⑤ ‘호미’나 ‘낫’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작가는 농촌 생활을 경험한 사람일거야.
※ 확인 사항
○ 문제지와 답안지의 해당란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하시오.

키워드

듣기,   말하기,   감상,   쓰기,   동사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12.11
  • 저작시기20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