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관련지어 그 의의와 기능을 추론해 본다.
풀이 : 로마와 당의 정치 기구들 간의 상호 관계를 따져 보면 쉽게 풀 수 있다. 즉, 다수의 국가 기관을 분립시키고 권력을 분산시켜 서로 견제와 균형을 취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가장 관계 깊은 민주 정치의 원리는 권력 분립의 원리이다. ①은 지방 자치의 원리, ②와 ③은 국민 주권 및 입헌주의의 원리, 그리고 ④는 대표의 원리와 관련되는내용이다.
배경지식 : 권력 분립의 원리-국가 권력을 복수의 국가 기관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견제와 균형을 통한 권력 남용의 방지와 기본권 보장이 목적이다.
◎민주 정치의 원리
가치 원리 : 개인 존중의 원리, 자유의 원리, 평등의 원리
제도 원리 : 국민 주권의 원리, 대표의 원리, 입헌주의의 원리, 권력 분립의 원리, 지방 자치의 원리
운영 원리 : 다수결과 소수 의견, 토론과 설득, 직접 참여
26. 오른쪽 지형도의 “가”~“마” 지형에서 내적 영력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바르게 짝지워진 것을 고르면?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풀이 : “가”-돌리네(석회암의 용식) “나”-기생 화산(화산 작용) “다”-선상지(물에 의한 퇴적)“라”-우각호(하천의 유로 변경) “마”-고위 평탄면(경동성 요곡 운동-융기 운동)
27. 다음은 다수 대표제로 실시되었던 1987년 영국 총선거에서 각 정당이 획득한 득표와 의석에 관한 자료이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한 가설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당
총득표
득표율(%)
의 석
의석 비율(%)
차 이
보 수 당
노 동 당
자유민주당
스코틀랜드민족당
플레이드 심루
녹 색 당
14,231,884
11,619,306
6,083,661
629,552
154,857 171,703
43.2
35.3
18.5
1.9
0.5
0.6
336
271
20
3
4
0
53.0
42.7
3.2
0.5
0.6
0
+ 9.8
+ 7.4
- 15.3
- 1.4
+ 0.1
0.6
① 선거에서 득표율과 의석 비율은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② 군소 정당이 난립하면 정국이 불안해질 가능성이 높다.
③ 다수 대표제는 평등 선거 원칙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
④ 다수 대표제는 양대 정당 제도의 정착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⑤ 비례 대표제는 선거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풀이 : 자료의 핵심은 득표율이 높은 정당일수록 의석 비율이 높아 양대 정단제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다수 대표제는 소선거구제와 일반적으로 결합된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
※ 다음 그래프는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기대 수준과 만족 수준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28. 그림의 B 시기에서 나타나는 체제의 특징을 바르게 추론한 것은?
① 중산층의 증가로 정치 체제
가 안정되며 민주적인 정치
제도가 정착하게 된다.
② 성장과 분배의 조화를 추구
하여 국민들의 복지 수준이
향상된다.
③ 이익 단체의 활동이 활성화
되고 지방 자치 제도가 발달
한다.
④ 산업화의 심화를 명분으로 기존의 정치 체제는 점차 관료적 권위주의로 변신하는
경향을 보인다.
⑤ 민중주의의 확산으로 국민들의 정치 의식이 높아져 공정한 선거에 의한 권력의 정당
성이 확보된다.
출제의도 : 정치 체제의 구조적 특징-정치에 대한 국민의 기대 수준과 만족 수준 간의 괴리가 심화될 때 나타나는 정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한다.
풀이 : 근대화의 노력으로 공업화가 급속히 이루어지면서 사회 이동이 활발해지고 국민들의 정치경제적 기대 수준이 급격히 상승하면, 기대(욕구)와 성취(만족)간의 괴리가 심화되고 참여와 분배를 둘러싼 갈등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다. 그리하여 국가는 사회 갈등의 표출을 근원적으로 봉쇄하고 사회 안정을 유지할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정치의 권위주의적 속성이 강화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라틴 아메리카의 근대화 과정이나 우리 나라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었다. ①, ②, ③, ⑤는 모두 C시기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우리 나라의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
우리 나라에 있어서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과 지속은 군부를 권력의 핵심으로 하고, 거기에 보조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 관료, 민간 테크노크라트, 매판 자본가, 제도 언론, 그리고 외국의 배후 세력 등의 지배 연합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29. 다음은 성리학에서 세계의 질서 원리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이(理)와 기(氣)에 관한 설명이다.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은?
각 사물은 그 자신의 이치를 가지고 있다. 하늘은 붓 한 자루도 낳은 적이 없으나
붓이 존재하자마자 곧 그속에 이치가 내재해 있다.
사물 그 자체는 단순히 기운이 모이고 흩어짐에 지나지 않지만, 반드시 이치에 따라
모이고 흩어진다.
① 기(氣)는 세계의 참모습으로 항상 선하다.
② 기(氣) 보다 이(理)가 더 근본적인 원리이다.
③ 이(理)는 불완전하여 기(氣)를 통해 완전해진다.
④ 기(氣)와 이(理)는 독립된 존재로 따로 드러난다.
⑤ 기(氣)가 없으면 이(理)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풀이 : 성리학에서는 세계의 질서 원리로써 이(理)와 기(氣)를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의 참모습으로 항상 선하며, 기는 불완전하며 자주 변한다. 기는 현실적 모습으로 그 배후에는 항상 이가 존재하므로 이가 기보다 근본적인 원리라고 보아야 한다.
30. 다음 <도표>에서 (나) 문명은 (가)와 (다)의 과도기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나)문명에 대해 바르게 추론한 것은?
(가) 오리엔트 문명 → (나) → (다) 그리스 문명
① 해상 무역을 통해 축적한 경제력을 토대로 민주 정치가 발달해 있었다.
② 활발한 정복 사업을 통해 세계적인 제국을 건설하고, 도로역전제 등을 구비하였다.
③ 동서 문화의 융합에 힘쓰고, 세계 시민주의개인주의적 사조를 유행시켰다.
④ 동방 세계의 침입으로부터 서방 세계를 보호하기 위해 페르시아 등과 충돌하였다.
⑤ 청동기를 바탕으로 한 해양 문명으로 전제 정치가 성립되었다.
풀이 : (나)는 에게 문명, ②는 로마 제국, ③은 헬레니즘 문화를 가리킨다.
풀이 : 로마와 당의 정치 기구들 간의 상호 관계를 따져 보면 쉽게 풀 수 있다. 즉, 다수의 국가 기관을 분립시키고 권력을 분산시켜 서로 견제와 균형을 취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가장 관계 깊은 민주 정치의 원리는 권력 분립의 원리이다. ①은 지방 자치의 원리, ②와 ③은 국민 주권 및 입헌주의의 원리, 그리고 ④는 대표의 원리와 관련되는내용이다.
배경지식 : 권력 분립의 원리-국가 권력을 복수의 국가 기관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견제와 균형을 통한 권력 남용의 방지와 기본권 보장이 목적이다.
◎민주 정치의 원리
가치 원리 : 개인 존중의 원리, 자유의 원리, 평등의 원리
제도 원리 : 국민 주권의 원리, 대표의 원리, 입헌주의의 원리, 권력 분립의 원리, 지방 자치의 원리
운영 원리 : 다수결과 소수 의견, 토론과 설득, 직접 참여
26. 오른쪽 지형도의 “가”~“마” 지형에서 내적 영력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바르게 짝지워진 것을 고르면?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풀이 : “가”-돌리네(석회암의 용식) “나”-기생 화산(화산 작용) “다”-선상지(물에 의한 퇴적)“라”-우각호(하천의 유로 변경) “마”-고위 평탄면(경동성 요곡 운동-융기 운동)
27. 다음은 다수 대표제로 실시되었던 1987년 영국 총선거에서 각 정당이 획득한 득표와 의석에 관한 자료이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한 가설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당
총득표
득표율(%)
의 석
의석 비율(%)
차 이
보 수 당
노 동 당
자유민주당
스코틀랜드민족당
플레이드 심루
녹 색 당
14,231,884
11,619,306
6,083,661
629,552
154,857 171,703
43.2
35.3
18.5
1.9
0.5
0.6
336
271
20
3
4
0
53.0
42.7
3.2
0.5
0.6
0
+ 9.8
+ 7.4
- 15.3
- 1.4
+ 0.1
0.6
① 선거에서 득표율과 의석 비율은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② 군소 정당이 난립하면 정국이 불안해질 가능성이 높다.
③ 다수 대표제는 평등 선거 원칙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
④ 다수 대표제는 양대 정당 제도의 정착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⑤ 비례 대표제는 선거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풀이 : 자료의 핵심은 득표율이 높은 정당일수록 의석 비율이 높아 양대 정단제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다수 대표제는 소선거구제와 일반적으로 결합된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
※ 다음 그래프는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기대 수준과 만족 수준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28. 그림의 B 시기에서 나타나는 체제의 특징을 바르게 추론한 것은?
① 중산층의 증가로 정치 체제
가 안정되며 민주적인 정치
제도가 정착하게 된다.
② 성장과 분배의 조화를 추구
하여 국민들의 복지 수준이
향상된다.
③ 이익 단체의 활동이 활성화
되고 지방 자치 제도가 발달
한다.
④ 산업화의 심화를 명분으로 기존의 정치 체제는 점차 관료적 권위주의로 변신하는
경향을 보인다.
⑤ 민중주의의 확산으로 국민들의 정치 의식이 높아져 공정한 선거에 의한 권력의 정당
성이 확보된다.
출제의도 : 정치 체제의 구조적 특징-정치에 대한 국민의 기대 수준과 만족 수준 간의 괴리가 심화될 때 나타나는 정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한다.
풀이 : 근대화의 노력으로 공업화가 급속히 이루어지면서 사회 이동이 활발해지고 국민들의 정치경제적 기대 수준이 급격히 상승하면, 기대(욕구)와 성취(만족)간의 괴리가 심화되고 참여와 분배를 둘러싼 갈등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다. 그리하여 국가는 사회 갈등의 표출을 근원적으로 봉쇄하고 사회 안정을 유지할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정치의 권위주의적 속성이 강화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라틴 아메리카의 근대화 과정이나 우리 나라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었다. ①, ②, ③, ⑤는 모두 C시기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우리 나라의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
우리 나라에 있어서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과 지속은 군부를 권력의 핵심으로 하고, 거기에 보조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 관료, 민간 테크노크라트, 매판 자본가, 제도 언론, 그리고 외국의 배후 세력 등의 지배 연합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29. 다음은 성리학에서 세계의 질서 원리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이(理)와 기(氣)에 관한 설명이다.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은?
각 사물은 그 자신의 이치를 가지고 있다. 하늘은 붓 한 자루도 낳은 적이 없으나
붓이 존재하자마자 곧 그속에 이치가 내재해 있다.
사물 그 자체는 단순히 기운이 모이고 흩어짐에 지나지 않지만, 반드시 이치에 따라
모이고 흩어진다.
① 기(氣)는 세계의 참모습으로 항상 선하다.
② 기(氣) 보다 이(理)가 더 근본적인 원리이다.
③ 이(理)는 불완전하여 기(氣)를 통해 완전해진다.
④ 기(氣)와 이(理)는 독립된 존재로 따로 드러난다.
⑤ 기(氣)가 없으면 이(理)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풀이 : 성리학에서는 세계의 질서 원리로써 이(理)와 기(氣)를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의 참모습으로 항상 선하며, 기는 불완전하며 자주 변한다. 기는 현실적 모습으로 그 배후에는 항상 이가 존재하므로 이가 기보다 근본적인 원리라고 보아야 한다.
30. 다음 <도표>에서 (나) 문명은 (가)와 (다)의 과도기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나)문명에 대해 바르게 추론한 것은?
(가) 오리엔트 문명 → (나) → (다) 그리스 문명
① 해상 무역을 통해 축적한 경제력을 토대로 민주 정치가 발달해 있었다.
② 활발한 정복 사업을 통해 세계적인 제국을 건설하고, 도로역전제 등을 구비하였다.
③ 동서 문화의 융합에 힘쓰고, 세계 시민주의개인주의적 사조를 유행시켰다.
④ 동방 세계의 침입으로부터 서방 세계를 보호하기 위해 페르시아 등과 충돌하였다.
⑤ 청동기를 바탕으로 한 해양 문명으로 전제 정치가 성립되었다.
풀이 : (나)는 에게 문명, ②는 로마 제국, ③은 헬레니즘 문화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