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데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마르크스 자신은 인구문제란 자본주의사회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인구문제란 발생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지만, 실제로 구소련이나 중국은 상당한 인구문제를 직면하게 되었다. 이는 마르크스의 상대적 잉여인구설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말해준다. 마르크스의 인구이론에 대한 비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로 마르크스는 맬더스의 인구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ㆍ비판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맬더스가 주장한 인구증가율과 식량증가율과의 차이에 따른 생태적 불균형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둘째로 고전경제학자들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기계의 도입을 주장한 것에 대해서 마르크스는 기계를 도입할 경우에 노동력을 배제하게 되어 결국 상대적 잉여인구를 창출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이 주장은 비현실적으로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이 경험한 과정을 살펴보면 끊임없는 기계화와 기술혁신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생산능력이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임금과 고용수준은 계속 상승되어 왔다.
셋째로 마르크스는 상대적 잉여인구는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필연적인 산물인 동시에 자본주의 존속을 위한 하나의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보았으나, 이 견해는 현실적으로는 타당성을 잃어가고 있다. 상당히 많은 선진자본주의 국가들의 경우 사실상 잉여인구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사회주의ㆍ공산주의 국가들에서 종종 인구 억제책을 실시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잉여인구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님이 입증되고 있다.
첫째로 마르크스는 맬더스의 인구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ㆍ비판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맬더스가 주장한 인구증가율과 식량증가율과의 차이에 따른 생태적 불균형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둘째로 고전경제학자들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기계의 도입을 주장한 것에 대해서 마르크스는 기계를 도입할 경우에 노동력을 배제하게 되어 결국 상대적 잉여인구를 창출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이 주장은 비현실적으로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이 경험한 과정을 살펴보면 끊임없는 기계화와 기술혁신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생산능력이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임금과 고용수준은 계속 상승되어 왔다.
셋째로 마르크스는 상대적 잉여인구는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필연적인 산물인 동시에 자본주의 존속을 위한 하나의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보았으나, 이 견해는 현실적으로는 타당성을 잃어가고 있다. 상당히 많은 선진자본주의 국가들의 경우 사실상 잉여인구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사회주의ㆍ공산주의 국가들에서 종종 인구 억제책을 실시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잉여인구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님이 입증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