맬서스의 인구론은 옳았는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맬서스의 인구론은 옳았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요 약
Ⅰ. 서 론
Ⅱ. 시대적 배경
Ⅲ. 맬서스 이전의 인구이론
1. 고대의 인구사상
2. 중상주의와 중농주의의 인구사상
3. 계몽주의의 인구사상
Ⅳ. 맬서스의 인구론
1. 인구론을 저술하게 된 배경
2. 인구론의 내용
Ⅴ. 맬서스 인구론의 한계
1. 도덕적 억제와 적극적 억제의 비현실성
2. 피임의 반대.
3. 기술진보의 간과
4. 실증적인 자료 부족
Ⅵ .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나 논리적인 이론 전개에 불과하였다.
실증적인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다 보니, 그의 ‘인구론’에서 인구증가율을 과대추정하게 되고 사회현상을 성급하게 일반화 하려고 했다. 1860년도에는 영국가족의 60%가 4명 이상의 자녀를 두었으나, 1925년에는 20%의 가족만이 4명 이상의 자녀를 두었고 반면에 2명의 자녀를 가진 가족이 10%에서 50%로 늘었다. 그의 주장대로 하면 인구론이 출판된 이후 180여년 동안 인구는 130배로 증가되고 식량은 8배 증가되어야 하나, 실제의 인구증가는 이보다 훨씬 밑돌고 식량증산은 이보다 훨씬 상회하였다. 이를 보면 맬서스가 인구 문제를 갈파하기는 하였으나 인구현상을 연구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단순하고 성급한 분석으로 결론을 내리지 않았는가 한다.(경제학사, 2001, p.204~5)
그의 이론은 위에서 언급한 것 뿐 만 아니라 다른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도덕적 억제, 즉 인간은 자신의 정욕을 절제할 수 있는 도덕적인 존재로 간주하면서, 인간을 식량과의 문제로만 국한시켜 식량만을 인간 생존으로 표준화한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을 간주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물론 맬서스가 당시의 유토피아적인 이상주의를 타파하기 위하여 인구법칙을 중심으로 사회문제를 해부하고 이상적인 사회는 실현이 불가능한 것이라는 점을 밝히기 위하여 당시 인간사회의 절박한 모습을 강조하려는 의도도 있었겠지만 동물로서의 생활이 아닌 인간다운 생활에 논의의 기준을 두었어야 했을 것이다.
Ⅵ. 결론
맬서스는 중상주의와 중농주의의 정책으로 인한 인구증가를 비현실적으로 접근한 계몽학자들과는 달리 보다 현실적이며 체계적으로 접근한 학자이다. 맬서스가 살았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봄과 동시에 인구론의 등장 배경과 또 그 이전이 인구론을 살펴보면서 그의 이론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그 전 이론들과는 달리 인구증가에 대한 사회적인 결과를 비판함으로써 그 이전의 대표적인 사상인 중상주의, 중농주의 , 그리고 계몽학자들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당시의 주류를 이루고 있던 고드윈이나 꽁도르세의 유토피아적인 사상들을 비판한 부분에서 그에게 박수를 쳐주고 싶지만 그는 그의 이론만을 너무 중시했고, 객관적인 이론이 아닌 자신의 주관적인 주장이 개입된 이론을 주장함으로써 아쉬움이 남는다.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서, 당시 곡가의 상승과 도시 빈민의 증가로 인해 식량의 부족이 발생하게 되면서 빈민들에게 식량공급이 원활하게 배분되지도 못했기 때문에 빈곤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맬서스는 당연히 인구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식량이 절대적인 존재라는 것을 인식했을 것이다. 이러한 빈곤문제를 탈피하려고 구빈법과 비현실적인 낙관론을 바탕으로 빈민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실질적으로 빈민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했으며, 그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그리고 맬서스는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을 자연적인 현상으로 간주하여 인구문제를 토대로 그의 사상의 기틀을 마련하여 이론을 전개하였지만, 당시 산업혁명을 통하여 사망률이 감소하는 현상과 기독교적인 윤리로 효율적인 인구억제 수단이었던 피임을 반대함으로써 큰 오점을 남기게 되었다.
인구 문제는 고대에서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논쟁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다. 이런 문제점을 처음으로 관심을 갖고 연구를 했다는 것 자체가 맬서스가 위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맬서스의 인구론을 통하여 현재, 그리고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구 문제에 대해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의 인구론을 발판 삼아, 좀 더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그가 남기고간 숙제가 아닐까...
<참고 문헌>
김대래 외 2명 (2004). 『경제사상사』. 신지서원.
주명건(2001). 『경제학사』. 건영사
박장환(2000). 『경제사상사의 이해』. 학문사
한진수(2002). 『쉽게알자!경제지식』. 더난출판
권태환 외 1명 (2002).『인구의 이해』 . 서울대학교출판부.
조혜종 (2006).『새 인구론 : 인구의 공간적·사회적 접근』 .푸른길.
구성렬 (1996).『인구경제론』 .博英社.
吳成東 (1985) 맬더스의 人口論에 대한 考察 (논문)
http://blog.naver.com/gemigo?Redirect=Log&logNo=40061110579
http://www.crks.or.kr/bbs/zboard.php?id=free&no=177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3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4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