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맬더스 생애
2. 당시 사회적 배경
3. 인구론의 출간
4. 인구론의 전제
5. 인구론의 내용
6. 인구론의 공로와 과실
2. 당시 사회적 배경
3. 인구론의 출간
4. 인구론의 전제
5. 인구론의 내용
6. 인구론의 공로와 과실
본문내용
과거에 흑사병이 돌아서 인구가 1/3 정도 감소된 적도 있었으나 의학이 발달하고 소득이 향상됨에 따라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가 인구문제를 들고 나왔을 때에는, 그것은 이미 사회적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는 문제였다. 그의 업적은 인구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켜서 1801년에는 최초의 인구조사를 실시하게 되었고, 1834년에는「빈민구제법」을 만들어서 빈민을 무조건 구제하는 것을 금하게 만든 것이다. 다윈(Chales Darwin 1809~1882)도 이에 영감을 받아서 진화론을 펴는 데 도움을 받았다.
다섯째, 그는 소비이론에 있어서 소비자가 소득의 전부를 소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효수요의 부족으로 불황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이것은 훗날에 케인즈가 국민소득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여섯째, 그의 사상은 신멜더스주의에 의해서 계승ㆍ발전되었다. 엔트로피론자의 주장에 의하면 현재와 같은 고도성장은 무한정 계속 될 수 없다고 한다. 주요 광물자원들이 백여년 안에 고갈된다는 그들의 계산이 정확하지는 못하다고 하더라도 현재와 같은 고성장ㆍ고소비의 패턴이 지속되면 300년 이내에 지구의 무게만한 자원을 소모해야 한다는 주장은 켤코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성장의 한계성을 인구의 측면에서 감지했다는 것은 멜더스의 공로라고 하겠다. 따라서 노장사상에 입각하여 현대경제학의 기본전제조건과 가치판단의 기준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서적』
세계를 움직인 경제학자들의 삶과 사상 - 폴 스트레턴 지음
세계사를 지배한 경제학자 이야기 - 우에노 이타루 지음
다섯째, 그는 소비이론에 있어서 소비자가 소득의 전부를 소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효수요의 부족으로 불황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이것은 훗날에 케인즈가 국민소득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여섯째, 그의 사상은 신멜더스주의에 의해서 계승ㆍ발전되었다. 엔트로피론자의 주장에 의하면 현재와 같은 고도성장은 무한정 계속 될 수 없다고 한다. 주요 광물자원들이 백여년 안에 고갈된다는 그들의 계산이 정확하지는 못하다고 하더라도 현재와 같은 고성장ㆍ고소비의 패턴이 지속되면 300년 이내에 지구의 무게만한 자원을 소모해야 한다는 주장은 켤코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성장의 한계성을 인구의 측면에서 감지했다는 것은 멜더스의 공로라고 하겠다. 따라서 노장사상에 입각하여 현대경제학의 기본전제조건과 가치판단의 기준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서적』
세계를 움직인 경제학자들의 삶과 사상 - 폴 스트레턴 지음
세계사를 지배한 경제학자 이야기 - 우에노 이타루 지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