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수 학습 지도안
2. 판서핵심
3. 형성평가
4. 학습지
5. 별첨
2. 판서핵심
3. 형성평가
4. 학습지
5. 별첨
본문내용
를 참고하여 2000년대의 한국 사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각자 그 모습을 그려보자. 그리고 그것을 설명해 보자.
2000년대 인류 사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단위 : %)
윤리와 도덕이 강조되는 사회
38.7
인간 평등이 실현되는 사회
31.8
편리한 생활이 펼쳐지는 사회
16.9
각종 질병이 퇴치되는 사회
5.8
※ PC통신 이용자 4000명 대상 설문조사 (1999. 6. 28.)
# 별첨 3
<정의로운 사회>
정의로운 사회란 첫째, 각 사람이 다른 모든 사람의 자유와 양립할 수 있는 평등한 기본적 자유를 최대한 누릴 수 있는 사회이다. 둘째.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은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의 이익을 보장하되, 후세를 위한 절약의 원직에 위배되지 않도록 조정하고, 또 그 불평등의 계기가 되는 지위는 공정한 기회 균등의 원칙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는 사회이다.
# 별첨 4
<가족 공동체의 의미>
명절 때마다 온 나라가 귀성 전쟁을 치르는 우리나라의 모습은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현상이라고 한다. 다음 글을 읽고,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가족 공동체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늙은 부모가 지키는 고향집은 이를테면 밖에서 뺨맞은 아이가 돌아가 억울함을 호소하고 슬픔을 위로받을 수 있는 유일한 곳이겠지요. 우리 아빠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거예요. 오랜 타향살이에 쫓겨 이리 얻어맞고, 저리 걷어채이며, 서럽게 지내다가 때가 되면 만신창이가 된 영혼과 육신을 이끌고 찾아가 상처를 치유받고 멍자국을 풀 수 있는 바로 그 곳, 노부모가 기다리고 있는 고향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피난처가 아닐까요. 그런데 어른들 세대와는 달리 애당초 고향을 못 가진 채로 자라난 우리 세대, 동생과 나는 이 다음에 세상에 부딪히고 깨져 만신창이가 될 경우, 어느 피난처를 찾아가야 되는 걸까요.” -윤흥길, 『무엇이 어른을 아이로 만드는가』
# 별첨 5
<우리>
우리는 ‘우리’라는 의식을 확장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처음에는 이웃 동포의 가족을 ‘우리’에 포함시키고, 그 다음에는 강 건너의 부족, 그 다음에는 바다 건너의 이교도들을 포함시키는 등으로 …… 이것은 우리가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하는 과정이다. 우리는 주변화된 사람들, 즉 우리가 여전히 본능적으로 ‘우리’라기보다 ‘그들’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관심 있게 지켜보아야 한다. 우리는 그들과의 유사성에 주목해야 한다.
각자 그 모습을 그려보자. 그리고 그것을 설명해 보자.
2000년대 인류 사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단위 : %)
윤리와 도덕이 강조되는 사회
38.7
인간 평등이 실현되는 사회
31.8
편리한 생활이 펼쳐지는 사회
16.9
각종 질병이 퇴치되는 사회
5.8
※ PC통신 이용자 4000명 대상 설문조사 (1999. 6. 28.)
# 별첨 3
<정의로운 사회>
정의로운 사회란 첫째, 각 사람이 다른 모든 사람의 자유와 양립할 수 있는 평등한 기본적 자유를 최대한 누릴 수 있는 사회이다. 둘째.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은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의 이익을 보장하되, 후세를 위한 절약의 원직에 위배되지 않도록 조정하고, 또 그 불평등의 계기가 되는 지위는 공정한 기회 균등의 원칙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는 사회이다.
# 별첨 4
<가족 공동체의 의미>
명절 때마다 온 나라가 귀성 전쟁을 치르는 우리나라의 모습은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현상이라고 한다. 다음 글을 읽고,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가족 공동체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늙은 부모가 지키는 고향집은 이를테면 밖에서 뺨맞은 아이가 돌아가 억울함을 호소하고 슬픔을 위로받을 수 있는 유일한 곳이겠지요. 우리 아빠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거예요. 오랜 타향살이에 쫓겨 이리 얻어맞고, 저리 걷어채이며, 서럽게 지내다가 때가 되면 만신창이가 된 영혼과 육신을 이끌고 찾아가 상처를 치유받고 멍자국을 풀 수 있는 바로 그 곳, 노부모가 기다리고 있는 고향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피난처가 아닐까요. 그런데 어른들 세대와는 달리 애당초 고향을 못 가진 채로 자라난 우리 세대, 동생과 나는 이 다음에 세상에 부딪히고 깨져 만신창이가 될 경우, 어느 피난처를 찾아가야 되는 걸까요.” -윤흥길, 『무엇이 어른을 아이로 만드는가』
# 별첨 5
<우리>
우리는 ‘우리’라는 의식을 확장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처음에는 이웃 동포의 가족을 ‘우리’에 포함시키고, 그 다음에는 강 건너의 부족, 그 다음에는 바다 건너의 이교도들을 포함시키는 등으로 …… 이것은 우리가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하는 과정이다. 우리는 주변화된 사람들, 즉 우리가 여전히 본능적으로 ‘우리’라기보다 ‘그들’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관심 있게 지켜보아야 한다. 우리는 그들과의 유사성에 주목해야 한다.
추천자료
학습지도안_이진법
학습지도안 - 국어 - 문학과 의사소통
학습지도안 - 사회과 중3 1단원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의 역할
학습지도안 - 고1 영어 단원 Lesson 09
학습지도안 작성법
학습지도안 양식
학습지도안 (Keller) 시장경제의 이해
학습지도안
기계체조_학습지도안
성교육학습지도안 생식기의이름과역할[그림설명포함],사춘기신체적변화
[교육과정] 교육과정을 통한 학습과제 설정 및 달성 방안 연구 - 교육과정 교수학습지도안 미...
수업계획안·본시 지도안 (고2) 대단원 : 음식물쓰레기와 환경보전 / 본시단원 : 음식물쓰레기...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 여러 가지 암석 학습지도안
[국어과 대단원 분석 및 수업 지도안] 6. 문학과 독자 학습지도안 | 소단원 : 단원의 길잡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