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본문내용
주 기억장치의 특징 및 개요
주기억 장치는 크게 RAM과 ROM으로 구성
주기억 장치의 역할은 데이터와 프로그램 기억
메모리는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두는 기억장치다
기억된 명령은 하나씩 제어장치로 꺼내져 해독된 후 실행
중앙처리장치 명령에 의하여 기억된 장소에 직접 접근하여 쓰고 읽을 수 있다.
기억장치의 분류
1)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① 휘발성 메모리 (volatile) ② 비휘발성 메모리 (non-volatile)
2) 읽은 후 내용 보존 유무에 따라
① 파괴 메모리 : 한 번 읽으면 내용이 없어지는 메모리.
② 비파괴 메모리 : 아무리 읽어도 내용이 그대로 보존.
3) 시간의 흐름에 따라
① 정적 메모리(Static)
② 동적 메모리(Dynamic)
4) 엑세스 방식에 따라
① DASD(Direct Access Storage Device : 직접 접근)
② SASD(Sequential Access Storage Device : 순차 접근)
주기억 장치는 크게 RAM과 ROM으로 구성
주기억 장치의 역할은 데이터와 프로그램 기억
메모리는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두는 기억장치다
기억된 명령은 하나씩 제어장치로 꺼내져 해독된 후 실행
중앙처리장치 명령에 의하여 기억된 장소에 직접 접근하여 쓰고 읽을 수 있다.
기억장치의 분류
1)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① 휘발성 메모리 (volatile) ② 비휘발성 메모리 (non-volatile)
2) 읽은 후 내용 보존 유무에 따라
① 파괴 메모리 : 한 번 읽으면 내용이 없어지는 메모리.
② 비파괴 메모리 : 아무리 읽어도 내용이 그대로 보존.
3) 시간의 흐름에 따라
① 정적 메모리(Static)
② 동적 메모리(Dynamic)
4) 엑세스 방식에 따라
① DASD(Direct Access Storage Device : 직접 접근)
② SASD(Sequential Access Storage Device : 순차 접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