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하이든 모차르트의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고전파 음악의 이해
(1)전기 고전파
(2)오페라의 개혁
(3)빈 고전파

-본론-
1.세 음악가의 생애
(1)하이든
(2)모짜르트
(3)베토벤
2.하이든의 음악세계
(1)교향곡과 실내악
(2)오페라
(3)종교음악
(4)피아노곡
(5)기타
3.모차르트의 음악세계
(1)교향곡과 실내악
(2)오페라
(3)협주곡
(4)피아노 소나타
(5)종교 음악
4.베토벤의 음악세계
(1)초기
(2)중기
(3)후기

-결론-

본문내용

>(1803)은 여러 면에서 고전 형식을 벗어나 있다. 3번 교향곡은 Eb조성으로 시작되지만, 주제의 마무리는 예상치 못한 화음으로 끝나는데, 이러한 대담한 진행은 파격적인 것이다. 또한 제 1악장에서 발전부에 푸가토가 쓰이며, 종지부분이 늘어났고, 제2악장은 프랑스 혁명 당시 유행했던 장송 행진곡 형식으로 작곡된다. 영웅주의와 혁명 당시 희생을 주제로 한 제2악장은 관악기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저음 현악기로 드럼의 효과를 내고 있다.
<영웅> 교향곡 외에 중기의 대표적인 교향곡으로는 제 5번과 제 6번 <전원>(1808)을 들 수 있다. <전원>교향곡은 스케르초와 마지막 악장 사이에 한 악장을 더 삽입해 5악장으로 작곡되며, 각 악장마다 부재가 붙는다. 표제를 가졌음에도 자연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기보다는 자연으로부터 받은 느낌을 음악으로 표현했기에 절대 음악적인 성격이 강하다.
중기에 작곡된 현악 4중주로는 <라즈모브스키>, <하프> 등이 있다. 중기에 작곡된 곡들은 초기 곡보다 감정적인 표현이 짙어지며 소나타 형식의 각 부분들이 길어진다.
중기에 작곡된 피아노 3중주 중 작품 70은 2악장에 쓰인 곡의 분위기로 인해 <유령>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또한 피아노 3중주 <대공>(1811)은 각 악기의 특색이 살려져 협주곡적 성격마저 나타나며 베토벤의 대담한 화성 용법을 다시 볼 수 있다.
피아노 작품에는 <폭풍>, <발트슈타인>, <열정>, <고별>과 <황제>, 바이올린 곡에는 <크로이처> 소나타와 제 10번 G장조,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등이 있다.
<코리올란>서곡, <에그몬트>서곡, 오페라 <피델리오> 역시 중기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3) 후기
후기의 작품은 1817년에서 1827년까지 작곡된 곡들로 베토벤의 정신적 역량을 잘 나타낸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통적인 기법과 새로운 경향이 섞여졌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악장 구성에서 벗어나 현악 4중주곡들이 6악장이나 7악장으로 구성되며 변주곡이나 푸가가 많이 쓰인다.
루돌프 대공에게 헌정된 <장엄미사>(1822)와 <합창> 교향곡은 이 시기의 절정을 이루는 작품이다. <장엄미사>는 헨델의 대위법적 합창 형식에 영향을 받는데, ‘Dona nobis pacem'의 선율은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에서 인용했다.
<합창> 교향곡은 제 1악장이 느린 서주와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제 2악장은 스케르초, 제 3악장은 주제와 변주곡 형식으로 구성된다. 제 4악장으로 된 이 곡은 마지막 악장에 합창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 악장에 쓰인 주제들이 다시 순환형식으로 재현되고 있다.
-결론-
지금까지 알아본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으로 대표되는 고전주의 음악을 특징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로크시대의 장식적이고 화려한 음악 스타일이 간결하고 선명한 음악으로 바뀌었으며 복잡한 대위법 보다는 합리적인 화성기법이 사용되었다.
특히 이 시대에는 제시부 전개부, 재현부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 대규모의 악곡 형식인 소나타 형식이 발전하였으며 이를 잘 반영할 수 있는 교향곡, 근대적인 협주곡, 현악 4중주 같은 실내악, 피아노 독주곡 같은 기악음악이 발달하였다.
둘째, 악기의 연주법과 기능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연주기교가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악기인 피아노가 널리 번성한 시기이기도 하다.
셋째, 음악도시 빈을 중심으로 음악활동이 왕성했던 시기였다. 고전주의의 주요 작곡가인 하이든·모차르트·베토벤 등이 모두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활약하였는데, 그들이 모두 빈에서 태어난 것은 아니지만 빈으로 이주하여 생활하였고, 빈에서 생애를 마쳤다. 빈은 도나우 강, 숲 등 경치가 아름다운 음악 도시로 도시의 시민이나 귀족 모두가 널리 음악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놓았다. 이에 많은 음악가들이 하나둘 빈으로 모여들기 시작했고 그들은 서로 재능을 연마하여 음악 활동이 성행하게 됨으로써, 빈은 고전파 음악의 중심지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고전파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후대 사람들은 하이든(1732~1809), 모차르트(1756~1791), 베토벤(1770~1827)을 들고 있으며 흔히 고전주의 음악의 토대는 하이든이 쌓았고 모차르트가 발전시켰으며 베토벤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이르기도 한다.
참고문헌
, 세광음악출판사, Donald J. Grout, 1996
<西洋音樂史>, 정음사, 이성삼, 1979
<서양음악의 흐름>, 도솔, 김혜정, 2003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2.13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