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 냉장고 만들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주 냉장고 만들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설 계 개 요
1. 설계 배경
2. 맥주 냉장고의 현황
3. 맥주 냉장고 배경지식

◎ 설 계 본 문
4. 맥주 냉장고의 설계도
5. 부하 계산
6. 냉매의 선정 (HFC-134a)
7. 압축기의 선정
8. 증발기의 선정
9. 응축기 선정
10. 팽창밸브 선정

◎ 설 계 결 론
11. 설계를 마치면서
12. 참고 문헌

본문내용

.46) + 4.48213.682 m
< 냉장고용 증발기(나관 코일식)>
응축기 선정
열통과율을 라 하면
1) 응축열량
QH = 0.81 * (422 - 248.75) = 140.333kcal/h
2) 전열면적
3) 동관길이
Plate fin 동관 1m당 전열 면적이 이므로 동관 길이는
10
팽창밸브 선정
1) 모세관을 사용
소형 냉장고의 경우 팽장밸브 대신 모세관을 사용한다.
모세관의 기능은 팽창변과 유사하지만 냉매량을 조정하지 못하고 일정량만 흘러 일정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한 제품에 쓰인다.
모세관 사용시의 특징을 알아보면
첫째, 1HP이하의 소형용이다.
둘째, 가격이 싸다.
셋째, 부하변동에 따른 유량조절이 불가능하다.
넷째, 고압 측에 수액기를 설치할 수 없다.
다섯째, 수분이나 이물질에 의해 동결, 폐쇄의 우려가 있다.
모세관은 용량이 적고, 공장에서 규정의 냉매를 미리 주입하여 출고하는 냉장고나 룸쿨러 같은 기종에는 모세관 하나로 훌륭하게 냉매 흐름을 제어하여 팽창변 구실을 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 온도를 10도로 하고, 응축기 온도를 50도로 하는 1톤 짜리 룸쿨러를 설계한다면, 그 상태에서 압축기가 압축해야 할 기체 냉매의 부피가 계산된다.모세관은 압축기가 처리하는 냉매량 만큼만 통과시키도록 그 굵기와 길이를 측정하여 달아주면 된다. 냉매의 과열 (superheat)와 과냉 (sub cooling)은 냉매 주입량으로 조정을 해야 한다 (공장에서).
패키지 에어콘에도 모세관을 못달 이유는 없으나, 수냉식처럼 냉매사이클이 공장에서 완전 봉합된 기종에 해당된다. 응축기와 증발기가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분리식 에어콘 처럼 응축기와 증발기의 거리가 멀어, 긴 액라인을 가지고 있는 시트템에는 모세관이 해당이 되지 않는다.
2) 모세관길이
1. 응축기 출구에 1/4" 플레어 니플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매니폴드 게이지 고압측 호스를 연결합니다. 2. 모세관 한쪽끝을 1/4" 니플을 용접한 후 매니폴드 게이지 숙청관(가운데 서비스 호스)끝에 연결합니다.
3. 고압측 게이지 밸브를 열고 압축기 흡입측을 대기중에 개방한 후 압축기를 운 전하여 매니폴드 게이지 고압 압력계를 읽습니다. 4. 게이지 메니폴드의 고압측 압력을 보면서 원하시는 압력이 될때까지 적당한 길 이로 모세관을 절단합니다.(조금씩 압력계를 보면서 잘라나감) 5. 원하는 압력이 되면 모세관을 정상 사이클이 될 수 있도록 용접 연결한 후 진 공을 잡고 냉매를 충전합니다.
설 계 결 론
11 설계를 마치면서...
뜨거운 여름, 목구멍을 넘어가는 시원한 맥주보다 좋은 것이 있겠는가? 우리 조에서는 다가올 여름에 대비하여 가정용 맥주 냉장고를 만들어 보았다. 현재 ‘김치 냉장고’를 비롯한 ‘와인 냉장고’등 여러 가지 기능성 냉장고가 하나씩 고객들의 입맛을 자극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도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항상 맥주의 최고의 시원함과 맛을 느낄 수 있는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 주는 ‘맥주 냉장고’를 설계하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에 시중에 나와 있는 ‘맥주 냉장고’가 없고, 다만 일본의 아사히 맥주에서 만든 경품용 맥주 냉장고뿐 다른 자료들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우리가 만든 맥주 냉장고는 맥주 9병(640ml)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었으며, 이 냉장고도 김치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상부 개폐식을 사용하여 냉기가 많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설계 했으며, 기존의 냉장고의 간냉식 방법이 아닌 통째로 얼리는 직냉식 방법을 사용하여 좀 더 빠른 속도로 냉각되도록 설계를 하였다. 그리고 내부에 칸을 배부하여 냉장고 안에서 맥주병이 고정되어 있도록 하였다.
냉장고의 부하계산에 있어서는 벽면은 철판과 우레탄을 넣어서 부하계산을 하였고 맥주의 비열은 물의 비열로 가정하여 입고품의 냉각부하를 계산하였으며 환기는 하루에 5회 환기부하계산을 하였다. 그리고 냉장고 문을 열었을 때 켜지는 전등에 의한 부하 등을 고려하여 부하를 계산하였다. 냉매선정에 있어서는 오존층파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누출 시에도 매우 낮은 독성을 지닌 HFC-134a를 선정하여 계산하였으며, 압축기에는 저소음, 저진동의 설계와 우수한 가공기술로 높은 신뢰성을 얻고 있는 산요의 밀폐형(왕복동) 압축기를 사용하였으며, 증발기는 일반 냉장고에 쓰이는 나관 코일식을 선택하였으며, 팽창밸브(모세관), 응축기를 부하에 따라 계산하여 설계하였다.
이번 냉동설계를 계기로 조금이나마 전공에 대하여 생각을 많이 해보고 또 공부도 많이 해본 것 같다. 물론 그전에 배경지식을 습득하였다면 이번에 조원들끼리 모여서 겪었던 어려움들이 조금은 덜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한편으로는 우리가 몰라도 너무 모른다는 것이었다. 항상 이론으로만 접하게 되는 압축기나 증발기 응축기 등을 가지고 우리가 항상 쓰고 있는 냉동기를 설계하려하니 막상 눈앞이 캄캄했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그나마 공부를 해 온 사람끼리도 서로의 의견마찰을 빚어서 난항을 겪었지만, 의견을 나누고 계획을 세우고 공부를 하면서 더 많이 배운 것 같다. 그 결과로 이렇게 어설프게나마 냉동설계를 하고 결과물을 보면서 많이 부족한 점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뿌듯함까지 느끼게 되었다. 앞으로 우리들의 진로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전공에 대한 지식을 넓힌 것에 대해서 만족하고 앞으로 이런 계기가 자주 찾아왔으면 좋겠다.
12. 참고 문헌
1. 냉동설비공학 ,태훈출판사, 1994, 서기원외 17명
2. http://blog.naver.com/, http://www.cmong.com/index.php?cat=1347
3. http://news.naver.com/news
4. 냉동공학 및 공기조화, 동명사, 1994, 차동옥외 2명 공저
6. http://www.midong.co.kr
7. 공기조화.냉동공학, 한서출판사, 1992, 김현진 , www.ideca.co.kr
8. http://blog.naver.com/jby1003
9. 냉동공학 및 공기조화, 동명사, 1994, 차동옥외 2명 공저
10.http://blog.naver.com/retroyj
  • 가격4,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6.12.1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