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 전쟁의 원인
1) 스탈린 주도설
2) 중소 음모설
3) 수정주의자들의 견해
2. 한국전쟁의 영향
1) 스탈린 주도설
2) 중소 음모설
3) 수정주의자들의 견해
2. 한국전쟁의 영향
본문내용
하지만 반공이 북한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국가안보의 유지에 이바지한 사실은 인정해야 한다.
한국전쟁은 미국과 국제연합에 대한 남한의 신뢰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통일문제나 외교에 있어서도 국제연합을 통해 접근 했다. 경제복구에 있어서도 미국은 큰 역할을 했다. 미국의 경제원조와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의 경제 원조를 바탕으로 전후경제를 복구시켜갔다. 그러나 한국의 경제는 자주적 성장가능성을 잃게 됐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한의 군력도 증강되었다. 전쟁 전 5~6만 명 규모이던 육군이 휴전직후 65만여 명으로 확대됐다. Gregory Henderson,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p.349.
1953년 10월 1일 한미 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됨으로써 군사동맹이 성립됨에 따라 한국군에 대한 미국의 지원은 체계화됐다. 하지만 작전지휘권이 사실상 주한미군 사령관에게 있었으므로 한국군에 대한 미군의 통제가 강화됐다. 이 밖에도 도시로의 인구집중, 조사망률 증대, 출산율 저하, 실업률 증가 등 사회, 문화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한국전쟁이라는 사건이 국제사회의 정치와 관계, 한민족에게 미친 영향은 말로 할 수 없을 만큼 광범위하며, 우리 한민족에게는 아픈 상처가 되었다. 이 아픈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도 남북관계는 호언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념의 장벽에 막혀 남북 국민들이 서로에 대한 그리움과 증오가 계속되지 않도록 한민족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국전쟁은 미국과 국제연합에 대한 남한의 신뢰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통일문제나 외교에 있어서도 국제연합을 통해 접근 했다. 경제복구에 있어서도 미국은 큰 역할을 했다. 미국의 경제원조와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의 경제 원조를 바탕으로 전후경제를 복구시켜갔다. 그러나 한국의 경제는 자주적 성장가능성을 잃게 됐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한의 군력도 증강되었다. 전쟁 전 5~6만 명 규모이던 육군이 휴전직후 65만여 명으로 확대됐다. Gregory Henderson,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p.349.
1953년 10월 1일 한미 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됨으로써 군사동맹이 성립됨에 따라 한국군에 대한 미국의 지원은 체계화됐다. 하지만 작전지휘권이 사실상 주한미군 사령관에게 있었으므로 한국군에 대한 미군의 통제가 강화됐다. 이 밖에도 도시로의 인구집중, 조사망률 증대, 출산율 저하, 실업률 증가 등 사회, 문화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한국전쟁이라는 사건이 국제사회의 정치와 관계, 한민족에게 미친 영향은 말로 할 수 없을 만큼 광범위하며, 우리 한민족에게는 아픈 상처가 되었다. 이 아픈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도 남북관계는 호언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념의 장벽에 막혀 남북 국민들이 서로에 대한 그리움과 증오가 계속되지 않도록 한민족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무역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프랑스와 유럽, 레포트] 유럽연합의 형성 배경, 과정 및 유럽에 미치고 있는 영향
[유럽연합][EU]유럽연합(EU)의 배경, 기구운영 및 정책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유...
[인터넷][온라인][웹][가상공간][인터넷활용][사이버]인터넷의 개념, 인터넷의 역사, 인터넷...
외교정책의 목표, 고려시대 외교정책, 광해군 외교정책, 대한민국임시정부 외교정책, 한국 대...
[테러][국제테러][911테러][911][911사태]]국제테러의 개념과 특성, 테러에 대한 미국의 대외...
주한미군 실태 및 영향력 레포트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영향을 미친 김구와 이승만의 역할에 대한 비교 및 평가
[일본문화][일본 우키요에][한국 민화]일본문화의 의미, 일본문화의 현황, 일본문화의 해외확...
세계화의 부정적인 영향 - 견고해지는 세계화로 인해 인류는 멸망의 길을 걷고 있다
북한의_탄도_미사일_개발이_우리국가_안보에_미치는_영향과_대응책
[한일자유무역협정]한일자유무역협정(한일FTA)의 협상결과, 한일자유무역협정(한일FTA)의 피...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배경, 접근방식,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대...
[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 소련, 소비에트연방]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의 배경,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