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국 무술의 특징.
2. 우슈.
2-1. 우슈의 정의.
2-2. 우슈의 역사.
2-3. 우슈의 생활체육으로서의 전망.
3. 태극권.
3-1. 태극권의 정의.
3-2. 태극권의 역사.
3-3. 건신운동으로서의 태극권.
Ⅲ 결론.
Ⅱ 본론.
1. 중국 무술의 특징.
2. 우슈.
2-1. 우슈의 정의.
2-2. 우슈의 역사.
2-3. 우슈의 생활체육으로서의 전망.
3. 태극권.
3-1. 태극권의 정의.
3-2. 태극권의 역사.
3-3. 건신운동으로서의 태극권.
Ⅲ 결론.
본문내용
하고 있다. 이것은 태극권과 허리의 운동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일상 생활 속에서 앉거나 설 때, 눕거나 앉을 때, 바른 자세를 취하는 데 있어서 허리의 척추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항상 태극권을 하면 척추의 모양 뿐 만 아니라 조직 구조도 좋아 진다. 관찰에 의하면 태극권을 하는 노인들 중에서 척추가 기형인 노인은 불과 25.8%이고, 일반 노인은 47.2%라고 한다. 굽은 등은 노인의 전형적인 기형 현상이며 노화의 결과이기도 하다. 항상 태극권을 하는 노인은 굽은 등의 발생율이 일반 노인에 비하여 훨씬 적다. 태극권을 하는 노인들 중 허리를 굽혀서 손바닥을 땅바닥에 댈 수 있는 노인은 77.4%나 된다. 그러나 일반 노인은 불과 16.6%이다.
X선 검사를 해보면, 태극권을 하는 노인은 골다공증의 발생율도 비교적 낮다. 전자는 36.6%이고 후자는 63.8%이다. 노인의 골다공증은 일종의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이다. 그 주요 원인은 골조직 중의 오스티오브라스트가 활발치 못하여 단백 매트리스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골 생성이 적고, 흡수가 많아져서 골절이 다공하게 된다. 골절이 다공해지면 기형이 되거나 뼈가 튀어 나오기 쉽다. 관절의 움직임도 부자유해진다. 태극권은 골절의 변형이나 관절의 경화를 예방한다. 그러므로 태극권은 어느 정도의 '노화 방지 작용'이 있는 것 같다.
태극권은 신허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중국 전통의학의 이론에 의하면 신허는 전신 기능의 쇠퇴 또는 허약의 반영이다. 일부 노인에 관해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항상 태극권을 하는 노인의 대부분은 신허가 없고, 일반 노인에게는 약 반수 정도의 노인이 신허가 나타난다고 한다.
Ⅲ 결론.
우리나라에도 우슈,태극권 등 못지않게 멋지고 또 대단한 우리 고유의 무술들이 많이 있다.
간단하게 예를 들자면 모두들 알고 있는 택견,태권도 또 이름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뫄한머루,수박도,선무도,무예18기 등 우리들이 아직 듣지도 보지도 못한 무술들이 자신들만의 세계에서 극소수의 사람들에 의해 수련되어지며, 세상사람들앞에 나서보지도 못하고 있다. 그저 화려하고,과격하고,당장 보기에 좋은 무술만이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또 그 무술을 하는 사람들은 일약 스타덤에 오르기도 한다.
무술은 극소수의 사람만이 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일상생활 속에서 무술과 함께 살아가며 신체의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의 건강 까지도 지켜 나가는 것이 진정한 무술로 생각된다. 무술수련이란 심신의 단련 뿐만 아니라 정신의 수양까지 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기에 언젠가 우리나라도 넓은 공터 혹은 길거리에서 중국인들처럼 꼭 태극권은 아니더라도 우리 고유의 무술을 연마하고, 수련하는 그런 멋진 모습들이 보였으면 하는게 나의
간절한 바램이다. 그리고 한 학기동안에 동방체육사라는 과목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획득 뿐만 아니라 나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수있는 자아성찰의 기회를 주심에 박금수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을 꼭 전하고 싶습니다.
일상 생활 속에서 앉거나 설 때, 눕거나 앉을 때, 바른 자세를 취하는 데 있어서 허리의 척추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항상 태극권을 하면 척추의 모양 뿐 만 아니라 조직 구조도 좋아 진다. 관찰에 의하면 태극권을 하는 노인들 중에서 척추가 기형인 노인은 불과 25.8%이고, 일반 노인은 47.2%라고 한다. 굽은 등은 노인의 전형적인 기형 현상이며 노화의 결과이기도 하다. 항상 태극권을 하는 노인은 굽은 등의 발생율이 일반 노인에 비하여 훨씬 적다. 태극권을 하는 노인들 중 허리를 굽혀서 손바닥을 땅바닥에 댈 수 있는 노인은 77.4%나 된다. 그러나 일반 노인은 불과 16.6%이다.
X선 검사를 해보면, 태극권을 하는 노인은 골다공증의 발생율도 비교적 낮다. 전자는 36.6%이고 후자는 63.8%이다. 노인의 골다공증은 일종의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이다. 그 주요 원인은 골조직 중의 오스티오브라스트가 활발치 못하여 단백 매트리스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골 생성이 적고, 흡수가 많아져서 골절이 다공하게 된다. 골절이 다공해지면 기형이 되거나 뼈가 튀어 나오기 쉽다. 관절의 움직임도 부자유해진다. 태극권은 골절의 변형이나 관절의 경화를 예방한다. 그러므로 태극권은 어느 정도의 '노화 방지 작용'이 있는 것 같다.
태극권은 신허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중국 전통의학의 이론에 의하면 신허는 전신 기능의 쇠퇴 또는 허약의 반영이다. 일부 노인에 관해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항상 태극권을 하는 노인의 대부분은 신허가 없고, 일반 노인에게는 약 반수 정도의 노인이 신허가 나타난다고 한다.
Ⅲ 결론.
우리나라에도 우슈,태극권 등 못지않게 멋지고 또 대단한 우리 고유의 무술들이 많이 있다.
간단하게 예를 들자면 모두들 알고 있는 택견,태권도 또 이름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뫄한머루,수박도,선무도,무예18기 등 우리들이 아직 듣지도 보지도 못한 무술들이 자신들만의 세계에서 극소수의 사람들에 의해 수련되어지며, 세상사람들앞에 나서보지도 못하고 있다. 그저 화려하고,과격하고,당장 보기에 좋은 무술만이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또 그 무술을 하는 사람들은 일약 스타덤에 오르기도 한다.
무술은 극소수의 사람만이 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일상생활 속에서 무술과 함께 살아가며 신체의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의 건강 까지도 지켜 나가는 것이 진정한 무술로 생각된다. 무술수련이란 심신의 단련 뿐만 아니라 정신의 수양까지 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기에 언젠가 우리나라도 넓은 공터 혹은 길거리에서 중국인들처럼 꼭 태극권은 아니더라도 우리 고유의 무술을 연마하고, 수련하는 그런 멋진 모습들이 보였으면 하는게 나의
간절한 바램이다. 그리고 한 학기동안에 동방체육사라는 과목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획득 뿐만 아니라 나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수있는 자아성찰의 기회를 주심에 박금수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을 꼭 전하고 싶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