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헤게모니와 이데올로기
3. 학교와 교육자
4. 대안의 탐색
5. 나오면서
2. 헤게모니와 이데올로기
3. 학교와 교육자
4. 대안의 탐색
5. 나오면서
본문내용
간의 사고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하지만, 환경을 벗어나려는 노력은 역사를 통해 거듭되어왔으며, 이는 인류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막스의 역사를 변화시키려는 철학적 사고는 여전히 그 맹위를 떨치고 있으며, 또한 이것이 때로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에 이용되기도 하고 있다.
마치 교육에 대한 문제가 바이러스에 걸린 컴퓨터 같다는 생각을 했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가 바이러스에 걸리면 그것을 치료하기 위하여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백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웹에서 치료를 받던, 감염되지 않은 CD-ROM이나 새로운 하드에 저장되어있는 프로그램이건. 하지만, 외부에서 감염되지 않은 치료 데이터를 가져올 수 없다면?
다소 다른 얘기가 될지도 모르겠지만, 20세기가 끝나고 21세기가 들어서면서 유행하던 영화 풍조가 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내내 그 생각을 했는데, ‘무엇이 진짜(Real)인가’ 하는 점이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Ghost in the shell)를 비롯, Dark City, Truman Show, Open your eyes. 그리고 Matrix까지. 내가 알고 있는 세계가 위에서 말한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감염된 세계’이고 무엇이 진짜인지 알수 없을때, 나는 어떻게 진짜를 찾을수 있을까.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정체성을 찾는 일은 개인적인 일만은 아닌 것 같다.
교육의 해법을 찾는 데에도 같은 질문이 통할수 있을 것 같다. 교육학을 공부하며 빼놓을수 없는 가정은 ‘내가 교육자라면...’인데, 이데올로기에 지배되고 있는 사회에서, 그러한 교육을 받은 나는, 얼마나 제 역할을 할수 있을 것인가. 물론 책에서는 그것을 교사의 부주의로 해결점을 찾을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본질적으로 탐구되어야 한다고 한다.
소수에 대한 문화는 그 자체로써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를 다채롭게 하고 사고의 폭을 넓히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우리 사회는 다수와 소수의 지배 구조와 흑백 논리에 치우쳐 소수를 존중하지 못하고 있다. 여성, 빈자, 동성애자 등의 소수 - 이말은 현실적으로 ‘약자’라는 의미로 통하고 있다 - 들에 대해서도, 불필요한 ‘명명과정’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여의사를 의사로 부르고, 여교사를 교사로 부를때 남녀평등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이러한 명칭의 부여 혹은 사회적인 분류가 자연스럽지 않은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마치 교육에 대한 문제가 바이러스에 걸린 컴퓨터 같다는 생각을 했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가 바이러스에 걸리면 그것을 치료하기 위하여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백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웹에서 치료를 받던, 감염되지 않은 CD-ROM이나 새로운 하드에 저장되어있는 프로그램이건. 하지만, 외부에서 감염되지 않은 치료 데이터를 가져올 수 없다면?
다소 다른 얘기가 될지도 모르겠지만, 20세기가 끝나고 21세기가 들어서면서 유행하던 영화 풍조가 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내내 그 생각을 했는데, ‘무엇이 진짜(Real)인가’ 하는 점이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Ghost in the shell)를 비롯, Dark City, Truman Show, Open your eyes. 그리고 Matrix까지. 내가 알고 있는 세계가 위에서 말한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감염된 세계’이고 무엇이 진짜인지 알수 없을때, 나는 어떻게 진짜를 찾을수 있을까.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정체성을 찾는 일은 개인적인 일만은 아닌 것 같다.
교육의 해법을 찾는 데에도 같은 질문이 통할수 있을 것 같다. 교육학을 공부하며 빼놓을수 없는 가정은 ‘내가 교육자라면...’인데, 이데올로기에 지배되고 있는 사회에서, 그러한 교육을 받은 나는, 얼마나 제 역할을 할수 있을 것인가. 물론 책에서는 그것을 교사의 부주의로 해결점을 찾을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본질적으로 탐구되어야 한다고 한다.
소수에 대한 문화는 그 자체로써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를 다채롭게 하고 사고의 폭을 넓히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우리 사회는 다수와 소수의 지배 구조와 흑백 논리에 치우쳐 소수를 존중하지 못하고 있다. 여성, 빈자, 동성애자 등의 소수 - 이말은 현실적으로 ‘약자’라는 의미로 통하고 있다 - 들에 대해서도, 불필요한 ‘명명과정’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여의사를 의사로 부르고, 여교사를 교사로 부를때 남녀평등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이러한 명칭의 부여 혹은 사회적인 분류가 자연스럽지 않은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