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목차
1.관계모델의 개념
2.관계모델의 제약조건
3.관계대수
4.추가적인 관계연산
- SQL 데이터 정의
- 기본적인 SQL 질의
- 복잡한 SQL 질의
- SQL 갱신문
- SQL 뷰
- 주장으로 제약조건 명시
- 추가적인 특징들
2.관계모델의 제약조건
3.관계대수
4.추가적인 관계연산
- SQL 데이터 정의
- 기본적인 SQL 질의
- 복잡한 SQL 질의
- SQL 갱신문
- SQL 뷰
- 주장으로 제약조건 명시
- 추가적인 특징들
본문내용
도메인, 투플, 속성, 릴레이션
릴레이션(Relation)
값들의 테이블.
테이블의 각 열(column)은 속성(attribute)라는 헤더를 가지며,
각 행(row)은 투플(tuple)이라고 부른다.
공식적인 릴레이션 개념:
도메인(domain): (나눌 수 없는) 원자 값들(atomic values)의 집합.
속성(attribute): 특정 릴레이션에서 도메인이 가지는 의미를 가리키는 이름. 각 속성 Ai 는 도메인 dom(Ai)를 가진다.
릴레이션 스키마(Relation schema): 릴레이션을 정의하는 릴레이션 이름 R과 속성 Ai 들의 집합
표기: R(A1, A2, ..., An) 예: STUDENT(Name,SSN,BirthDate,Addr)
릴레이션의 차수(degree): 릴레이션의 속성 갯수 n
릴레이션 R(A1, A2, ..., An)의 투플 t: 값들의 (순서화된) 집합 t =, 값 vi는 dom(Ai)의 한 원소임. n-투플이라고도 함.
릴레이션 인스턴스(Relation instance) r(R): 투플들의 집합.
r(R) = {t1, t2, ..., tm} 또는 r(R) ⊆ dom(A1) × dom(A2) × ... × dom(An)
릴레이션(Relation)
값들의 테이블.
테이블의 각 열(column)은 속성(attribute)라는 헤더를 가지며,
각 행(row)은 투플(tuple)이라고 부른다.
공식적인 릴레이션 개념:
도메인(domain): (나눌 수 없는) 원자 값들(atomic values)의 집합.
속성(attribute): 특정 릴레이션에서 도메인이 가지는 의미를 가리키는 이름. 각 속성 Ai 는 도메인 dom(Ai)를 가진다.
릴레이션 스키마(Relation schema): 릴레이션을 정의하는 릴레이션 이름 R과 속성 Ai 들의 집합
표기: R(A1, A2, ..., An) 예: STUDENT(Name,SSN,BirthDate,Addr)
릴레이션의 차수(degree): 릴레이션의 속성 갯수 n
릴레이션 R(A1, A2, ..., An)의 투플 t: 값들의 (순서화된) 집합 t =
릴레이션 인스턴스(Relation instance) r(R): 투플들의 집합.
r(R) = {t1, t2, ..., tm} 또는 r(R) ⊆ dom(A1) × dom(A2) × ... × do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