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향
2. 장애학생교육에의 부모 역할의 중요성
3. 청소년기 요구와 부모들의 고민
4. 전환기 교육에의 부모 참여의 어려움
5. 부모의 참여 유도 방안
6. 장애학생 부모의 역할
7. 기능적 교육과정에의 참여
8. 지역사회중심교수에의 참여
9. 서비스 학습에의 참여
10. 자기결정의 지도
11. 장애인 평생교육과 전환교육의 연계성
2. 장애학생교육에의 부모 역할의 중요성
3. 청소년기 요구와 부모들의 고민
4. 전환기 교육에의 부모 참여의 어려움
5. 부모의 참여 유도 방안
6. 장애학생 부모의 역할
7. 기능적 교육과정에의 참여
8. 지역사회중심교수에의 참여
9. 서비스 학습에의 참여
10. 자기결정의 지도
11. 장애인 평생교육과 전환교육의 연계성
본문내용
부모 및 가족은 장애학생의 가장 강력한 옹호자이자 삶의 파트너
장애학생과 가장 가까운 교육자
미국 장애아동교육법의 원리
- 개별화 교육과 부모/학생의 참여
부모의 참여와 학교 성취간의 긍정적 관계
(1) 부모들은 현재 학생이 학교에서 보이는 학습과 행동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사적인 정보를 학교에 제공할 수 있다.
(2) 학교에서 내주는 숙제와 같이 교사가 학생에게 지시하는 것들을 가정에서 더 강화해줄 수 있다.
(3) 부모들은 교실에서 학생들의 보호자로서 또는 자원봉사자로서 교사를 도울 수 있다.
(4) 부모들은 교사가 학생의 흥미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어 장기적인 교육과 직업 교육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한다.
(5) 부모들은 학생에게 가장 효과적인 훈육방식과 공부하는 방식들에 대한 정보를 교사들에게 전해 줄 수 있다.
(6) 부모들은 교사들이 학생 개개인의 장점과 요구 사항들을 잘 찾아내도록 도와 주 어서 적절한 학습목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장애학생과 가장 가까운 교육자
미국 장애아동교육법의 원리
- 개별화 교육과 부모/학생의 참여
부모의 참여와 학교 성취간의 긍정적 관계
(1) 부모들은 현재 학생이 학교에서 보이는 학습과 행동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사적인 정보를 학교에 제공할 수 있다.
(2) 학교에서 내주는 숙제와 같이 교사가 학생에게 지시하는 것들을 가정에서 더 강화해줄 수 있다.
(3) 부모들은 교실에서 학생들의 보호자로서 또는 자원봉사자로서 교사를 도울 수 있다.
(4) 부모들은 교사가 학생의 흥미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어 장기적인 교육과 직업 교육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한다.
(5) 부모들은 학생에게 가장 효과적인 훈육방식과 공부하는 방식들에 대한 정보를 교사들에게 전해 줄 수 있다.
(6) 부모들은 교사들이 학생 개개인의 장점과 요구 사항들을 잘 찾아내도록 도와 주 어서 적절한 학습목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추천자료
정신보건법 개정과 관련된권력분석 / 의사결정 과정분석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개념,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특징,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
정신지체아의 분류, 정신지체아의 특성, 정신지체아교육의 어휘지도, 정신지체아교육의 자기...
소수자의 성적자기 결정권을 논하라
(정신건강)자기관리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안 및 발달적 기초에 대하여 논하시오
정신건강1공통)자기관리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안들을 설명, 자신만의 자기관리 방법에 대해...
[정신건강 공통] 자기관리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안들을 설명하고 자신만의 자기관리 방법에...
정신분석 [성격 자기방어기제, 상담 목적]
정신건강4공통)자기관리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정신건강 공통 2017>자기관리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정신건강 다음 중 한...
정신건강=자기관리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방통대 정신건강 - 다음 중 한 문제를 선택하여 자세히 논하시오 - 자기관리의 의미와 구체적...
[2017 정신건강론 3번] 자기관리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본문출처표기, 인...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의사결정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설명하고 개인의 자기 결정권에 대해...